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
작성자: dukhyun 조회 수: 90 PC모드
https://news.v.daum.net/v/20190715050640915
스타벅스가 1.5조… 2위 ‘투썸’의 5.5배
직영점 중심 성장전략… 수익모델 다각화
점포당 매출 9700만원 는 12억 3700만원
국내 브랜드는 900만원 준 1억 6000만원
토종 커피점 생존 차원 경쟁력 향상 필요
국내 커피산업 규모는 7조원으로, 4년 뒤(2023년)엔 1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외형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스타벅스의 국내 매장 연평균 매출액은 지난해 12억 4000만원으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는 반면 국내 커피전문점은 1억 6000만원대에서 성장이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브랜드의 고급화 경향을 따라가지 못해 국내 브랜드는 시장을 잠식당하고 있다. 국내 브랜드도 트렌드 변화에 따른 차별화 전략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4일 이런 내용의 ‘커피산업의 5가지 트렌드 변화와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지난해 스타벅스의 국내 점포당 매출액은 12억 3700만원으로 전년 대비 9700만원이 늘었다. 반면 국내 커피 브랜드 가맹점의 지난해 연평균 매출액은 1억 6000만원으로 전년보다 오히려 900만원이 줄었다.
스타벅스의 지난해 전체 매출액은 1조 5220억원에 달했다. 2위인 투썸플레이스(2743억원)의 5.5배에 달했다. 3위는 가맹점수 기준으로 국내 1위 브랜드인 이디야(2005억원)였다. 3대 커피전문점의 매출액만 2조원에 달한다.
보고서는 커피전문점 시장에서 국내 브랜드는 가맹점수 증가 등 외형 확장이 지속되면서 평균 매출액이 떨어지는 등 수익성 악화에 직면했다고 분석했다. 반면 스타벅스 등 해외 브랜드는 직영점 중심의 성장전략에 집중하면서 매출액 등에서 차별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브랜드는 수익 모델도 다각화하고 있다. 스타벅스는 매장 확대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블루보틀은 고객이 원하는 원두를 배송해 주는 커피 구독 서비스를 도입했다.
한편 국내 커피산업은 매출액 기준으로 2016년 5조 9000억원에서 지난해에는 6조 8000억원까지 성장했다. 2023년에는 8조 6000억원 규모로 외형이 커질 전망이다. 반면 국내 커피 소매시장 규모는 지난해 매출액 기준 2조 4000억원으로 6년 전(2012년 2조 3000억원)과 비슷한 수준으로 정체돼 있다. 지난해 기준 국내 1인당 커피 소비량은 353잔으로 세계 1인당 커피 소비량(132잔)보다 3배 이상 많았다. 보고서는 “글로벌 브랜드, 프리미엄커피 등 커피 시장이 세분되고 고급화된 만큼 국내 커피 브랜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면서 “블루보틀은 창업 당시 소기업이었으나 투자 유치를 통해 성장한 만큼 정부 차원에서 투자 생태계를 조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커피시장 어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