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구조전환 직면, 성장잠재력 저하"..중점과제 대부분 성장·혁신에 방점

(세종=연합뉴스) 정책팀 = 정부가 17일 발표한 내년 경제정책방향은 경제활력 제고를 전면에 내세운 점이 눈에 띈다.

문재인 정부가 앞서 발표한 세 차례의 경제정책방향은 소득주도성장 등을 앞세웠는데 이번에는 기업투자 촉진을 포함한 경제 활성화를 강조한 것이다.

현 정부 출범 시 표방한 '사람 중심 경제'의 맥을 큰 틀에서는 이어가되 앞으로는 투자·혁신·구조개혁 등에 더 역점을 두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방안은 구체성이 부족하며 카풀(승차공유) 등 민감한 주제는 정책 자료에서 제외하는 등 규제개혁 청사진이 불명확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말하는 문 대통령 (창원=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전 경남 창원 경남도청에서 열린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2018.12.13 scoop@yna.co.kr

◇ 경제활력·구조개혁에 방점…소득주도성장 부각 안 해

2019년 경제정책방향은 경제정책 과제로 전방위적 경제활력 제고를 가장 먼저 꼽았다.

정부는 기업의 대규모 프로젝트에 걸림돌이 된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하고 민간 자본에 공공시설 사업을 전면 개방해 투자를 활성화하는 데 역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또 핵심 규제를 개선하고 신기술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며 서비스업을 육성하는 등 경제의 체질을 바꾸고 구조를 개혁하는 것을 정책 과제 중 두 번째로 제시했다.

소득주도성장에 해당하는 내용은 정책 과제에서 '경제·사회의 포용성 강화'라는 이름으로 세 번째로 소개됐다.

이번 경제정책방향에서 소득주도성장이라는 표현은 경제정책의 비전·전략을 표기한 부분에 '함께 잘사는 혁신적 포용국가'의 구성 요소로 혁신성장, 공정경제와 함께 기재됐고 그 외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간판만 보면 정부가 올해 9월에 내놓은 국가 비전을 인용했으나 정책 과제의 순서를 보면 무게 중심이 불평등 완화 등 사회통합에서 투자나 혁신 등 경제 활력 쪽으로 이동한 셈이다.

앞서 내놓은 경제정책방향과 비교하면 그간 소홀했다는 비판을 받은 분야를 전면에 내놓고 정치적 논쟁에 휩싸인 소득주도 성장을 상대적으로 덜 부각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초인 2017년 7월 내놓은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은 사람 중심 경제로의 전환을 선언하면서 4가지 경제정책 추진 방향 가운데 소득주도성장을 가장 앞에 배치했다.

작년 말에 발표한 '2018년 경제정책방향'은 '일자리·소득주도성장'을 경제정책 과제 중 첫째로 꼽았고 올해 7월에 발표한 '하반기 이후 경제여건 및 정책방향'은 '일자리·소득분배 개선'을 정책 방향 중 가장 먼저 거론했다.

정부가 정책의 우선순위를 과거와 달리한 것은 한국 경제가 처한 구조적 어려움이 그만큼 심각하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모든 정책을 동원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고용이 장기간 악화한 점 등을 고려하면 기업의 투자를 활성화하고 소비를 자극해 산업 활동을 촉진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것이다.

정부는 내년 경제정책방향에서 한국 경제가 "구조적 전환기에 직면"했고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혁신 지체 등으로 성장잠재력이 지속 저하"하고 있다고 진단하고서 "내년도 경제 상황이 적어도 금년 수준 이상으로 개선되도록 가용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이 생각하는 우선순위의 변화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전문가와 일반인 모두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공정한 시장질서를 경제정책의 1·2순위 과제로 꼽았는데 최근 조사에서 전문가는 62.5%가 경제활력 제고를 우선 과제로 꼽았다.

일반 국민은 미래대비(28.6%), 경제·사회구조혁신(28.4%), 경제 활력 제고(26.8%)를 포용성 강화(16.2%)보다 중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재인 정부 첫 경제정책방향과 2019년 경제정책방향 (세종=연합뉴스) 문재인 정부가 2017년 7월 발표한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위)과 2018년 12월 17일 발표한 '2019년 경제정책방향'(아래)의 목차. 새정부 경제정책 방향은 경제정책 방향의 첫번째 항목이 소득주도성장인데 2019년 경제정책방향은 경제정책의 첫 과제로 '전방위적 경제활력 제고'를 꼽았다. 2019년 경제정책 방향에서는 소득주도성장에 해당하는 내용이 세번째로 제시된 '경제·사회의 포용성 강화'에서 주로 다뤄졌다. [기획재정부 제공자료를 편집한 이미지]

◇ 16개 과제 중 10개 성장에 방점…"정책 선회했다" 해석도

정부는 16개 주요 과제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역점을 두겠다고 공언했는데 여기서도 정책 우선순위 변화가 감지된다.

이 가운데 10개 과제는 혁신성장, 규제개혁, 투자 활성화, 산업경쟁력 강화, 재정을 활용한 경기 부양 등 성장을 촉진하는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규모 기업투자 프로젝트 착공 지원, 대형 민간투자사업 발굴·조기 추진, 숙박공유 등 공유경제 활성화, 서비스산업 육성 전략 수립, 중소·벤처 기업 선순환 생태계 보강, 4대 신산업 집중 지원 등이 대표적이다.

4대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 광역권 대표 공공프로젝트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재정 조기 집행 및 공공기관 투자 확대, 보건의료 서비스 확대도 같은 맥락에서 경제 활력에 무게를 둔 과제로 분류된다.

정부는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구조나 탄력 근로제를 보완하는 등 경직된 정책이 부작용을 낳았다는 지적을 수용한 정책도 상반기에 성과를 내야 할 과제로 제시했다.

소득주도성장과 밀접한 항목은 상대적으로 적은 4개였다.

정부는 이와 관련해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 발굴·확산, 청년 희망사다리 강화, 서민·영세자영업자 소득증대 및 부담 경감, 한국형 실업 부조 도입을 과제로 제시했다.

고용에 관해서는 임금 체계를 연공급 위주에서 직무급 중심으로 전환하는 등 혁신형 고용안정모델을 구축하겠다며 안정보다 혁신에 조금 더 방점을 찍은 과제를 내놓았다.

전문가들은 구조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우선순위에 변화를 준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내년 상반기가 가장 어려울 텐데 투자를 맨 앞에 내세웠다는 것은 긍정적"이라며 "단기 대응책으로 경제활력을 높이고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프레임으로 보인다. 인프라 투자는 건설업이 관련되니 고용유발계수가 높다"고 해석했다.

정부가 정책 방향을 사실상 수정했다는 적극적 해석까지 나왔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제팀을 1기에서 2기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정책은 그대로 간다는 분위기였는데 (경제정책방향을 보니) 많이 선회한 것 같다"며 "최근 대통령 발언이 기업 기 살리기나 투자 활성화에 초점을 많이 맞췄는데 경제정책방향에 많이 반영된 것 같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 경제팀 2기 사령탑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PG) [이태호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 공유경제 촉진한다더니 카풀은 배제…"규제개혁 의지표명 부족"

정부가 투자 활성화 등을 중시한 것은 의미가 있지만, 규제나 제도 개선에 관한 확신을 주기에는 경제정책방향에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투자 활성화 전략에는 행정절차를 신속히 처리하고 이해관계를 조정해 현대차가 추진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등의 조기 착공을 유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개별 사안 중심이라서 정부가 투자 환경을 어떻게 개선할지는 여전히 모호하다는 평가도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경제정책방향은 대표적인 제도 개선으로 기업에 메시지를 줘야 한다. 정부가 '이런 것을 이렇게 하겠다'고 하면 '다른 것도 개선할 것'이라는 메시지가 돼 기업에 의욕을 줘야 하는데 그런 메시지가 들어 있지 않은 것이 한계"라고 말했다.

정부의 투자 활성화 정책이 일부 기업의 가시화된 사업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측면도 있다.

윤 교수는 "투자 활성화에서 쉬운 것들만 건드리는 느낌"이라며 "중소기업·대기업 가리지 말고 행보를 넓게 가졌으면 한다"고 지적하고 정부가 노동 분야 개혁에도 속도를 내라고 주문했다.

카풀 서비스에 반대하는 택시 업계 (CG) [연합뉴스TV 제공]

공유경제 활성화를 주요 정책 과제로 내걸었지만 민감한 이슈는 제외하는 등 규제 개혁이나 서비스산업 활성화에 관한 정부 의지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대표적인 것이 승차공유 문제다.

정부는 작년 말에 내놓은 2018년 경제정책방향에서는 유상 카풀 서비스 운영기준 및 택시·카풀업계 간 공존방안을 올해 3월까지 마련하겠다고 밝혔으나 이번에는 카풀 문제를 아예 경제정책 방향에 담지 않았다.

대신 정부는 렌터카의 차고지 규제를 완화하는 '카셰어링 활성화'를 경제정책방향에 담았다. 명칭이 풍기는 뉘앙스는 비슷하지만, 성격이 다른 사업이다.

최근 카풀 서비스를 둘러싼 대립이 격해진 것이 정부가 관련 내용을 다루지 않은 배경으로 알려졌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카풀 등에 관한 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는 물음에 상생방안을 마련해 대화하겠다고 답했으나 구체적인 방법까지 설명하지는 않았다.

김현욱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규제개혁은 이해관계자의 첨예한 대립으로 안 되는 것이 많고 10년 넘게 한 걸음도 내딛지 못한 것도 있다"며 "규제개혁을 어떻게 추진할 것인지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고 청사진을 제공해야 하는데 그런 부분이 약하다는 느낌이다"고 말했다.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휴면28

2018.12.18 09:46
가입일: 2018:12.02
총 게시물수: 103
총 댓글수: 326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요..

profile

키무도우민

2018.12.26 00:50
가입일: 2018:12.09
총 게시물수: 5
총 댓글수: 237

잘좀 됐으면.. ㅠㅠ 

profile

ktree

2018.12.28 14:53
가입일: 2018:12.28
총 게시물수: 16
총 댓글수: 172

나라가 걱정됩니다.

profile

키득키득

2019.01.05 18:01
가입일: 2018:11.04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158

잘됬으면 좋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386 (기사링크) 노르웨이 수소 충전소 폭발..현대차·토요타 수소차 출고 중단 ‘소동’ file 아크로유닛 06-16 82
385 "中반도체, 10년내 삼성·SK 추월 못해..반도체굴기는 과장" 양귀비 06-15 26
384 출시 멀어지는 `갤럭시폴드 美 AT&T, 선주문 전량 취소 file 민초 06-15 19
383 '제각각' 동물병원 진료비..표준진료제 도입한다 file 으악 06-14 18
382 화웨이 "노트북 생산 중단".. 미국 제재에 백기 들었다 양귀비 06-13 22
381 펑크 안 나는 타이어 개발···미쉐린의 자기파괴 역발상 스톨게 06-13 42
380 2019년 7월 국민임대주택 예비입주자 통합 정례모집 사전 안내 file 으악 06-13 15
379 실업자수 5월 기준 사상 최대…3040·제조업 취업자 감소 장기화(종합) 스톨게 06-12 15
378 르노삼성차 부분직장폐쇄 첫날 노조원 출근율 더 높아져 양귀비 06-12 12
377 자...자. 이건 무슨 멍멍이 소리일까요? file + 3 순대랠라 06-11 37
376 "거래 끊으면 응징하겠다"...삼성, SK 불러 경고한 중국 file 호박죽 06-11 23
375 영국 브렉시트 간단 정리. file + 3 익명의행인 06-10 39
374 필리핀서 반송된 불법 수출 폐기물 4600여톤 처리 완료 잡채킬러 06-10 31
373 고용부, 장마철 대비 건설현장 700여곳 불시감독 실시 잡채킬러 06-10 15
372 靑 "대외여건 불확실성 따라 우리 경제 하강 위험성 커져" 잡채킬러 06-10 16
371 우체국 골드바, 한달 43억원 어치 판매..‘역대 최고’ 잡채킬러 06-10 29
370 정부, 신북방 14개국에 농식품 수출 확대한다 잡채킬러 06-10 14
369 미국의 세탁기전쟁 니나노니 06-09 26
368 유가 16주만에 하락세 happyhappy 06-08 16
367 의존은 그만…함께 일하고 소비하는 新노년 GoodYU 06-07 20
366 [오디오래빗] 떡락해도 괜찮아…페이스북 #스테이블코인 GoodYU 06-07 17
365 [단독] 제철소 조업중단에 제동건 산업부, "환경부·지자체와 협의” + 1 GoodYU 06-07 24
364 삼성중공업, LNG 추진 초대형 유조선 개발 GoodYU 06-07 14
363 물 들어온 삼성重, 4500억 규모 수주에 LNG추진선 개발까지 GoodYU 06-07 13
362 경제·통일 중 하나 선택한다면 77%가 '경제’ GoodYU 06-07 8
361 경제 안정화가 먼저…국민 77% "통일보단 경제” GoodYU 06-07 10
360 김주현 前 예금보험공사 사장, 신임 여신금융협회장 내정 GoodYU 06-07 11
359 [단독] 르노삼성 존폐 위기인데…노조는 "파업 조합원에 보상금 더 줘라" GoodYU 06-07 15
358 예견된 미·중 갈등, LG유플러스는 왜 화웨이를 5G 파트너로 선택했나 + 2 양귀비 06-07 27
357 6일부터 주요 손보사 車보험료 최고 1.6% 줄인상 file 으악 06-07 26
356 [단독] 르노삼성 존폐 위기인데…노조는 "파업 조합원에 보상금 더 줘라" GoodYU 06-07 20
355 [단독] 서울·과천 '로또 분양' 늘어난다 GoodYU 06-07 22
354 지자체, 제철소 조업중단 조치 ‘탁상행정’ 논란 확산 GoodYU 06-07 14
353 IMF “미·중 무역전쟁에 세계 GDP 530조원 증발 우려” GoodYU 06-07 17
352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순위 file 아크로유닛 06-06 16
351 美대학에서 MBA 과정이 사라지고 있다 file dukhyun 06-06 11
350 아마존 "몇 달안에 드론 배송 개시" file dukhyun 06-06 28
349 中 '희토류 카드' 위협에 아프리카로 눈 돌리는 미국 양귀비 06-06 24
348 美 LA 노숙인 급증.. 6만명 육박 file dukhyun 06-05 31
347 기준금리 인하 힘 받는다..소수의견에 성장률 쇼크까지 닝기리렁 06-04 10
346 맥주, 종량세 전환..캔맥주 가격 싸지고, 생맥주는 오른다 닝기리렁 06-04 18
345 천안 빵마을, 작은 베이커리 네 곳서 월 수익 5억원 신화 '비결은?' file dukhyun 06-03 20
344 '멜론', 유령회사 세워 저작권료 빼돌린 의혹…검찰 수사 니나노니 06-03 19
343 내일부터 대출·연체정보 공개..금융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익명의행인 06-03 11
342 울진의 울분.. "건설인력 떠나 원룸 텅텅, 음식점 270곳 줄폐업" 양귀비 06-03 27
341 공공기관 작년 '무기계약직' 6배나 급증..무늬만 '정규직 전환' + 1 윤성파파 06-02 59
340 외식업 생존 절벽…"먹는 장사 30% 망했다"(종합) 니나노니 06-02 22
339 "무역전쟁 두렵지 않다"..'초강수' 예고한 중국 + 1 양귀비 06-02 28
338 무심코 부친 가방 속 보조배터리, 항공기 출발까지 늦춘다 + 1 양귀비 05-31 69
337 6월 제철 해산물 으악 05-31 18
336 살 빼주고 혈당 낮추는 일석이조 '양파 다이어트' 어때요? file 으악 05-31 26
335 이제는 상추 꽁다리 떼지 말고 드세요 으악 05-31 22
334 납입보험료 1년치+α 보험수수료, 설계사 수당 계산법 양귀비 05-30 63
333 '무조건 쌍방과실' 줄어든다..오늘부터 차 사고 과실비율 변경 양귀비 05-30 9
332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하반기 참가자 2000명 모집 file 으악 05-30 5
331 SKT, 20대 여행 지원 '0순위 여행' 참가자 모집 file 으악 05-30 12
330 래미안 아파트 안 짓던 것도, 이재용 승계작업 때문이었어? file 호박꽃 05-30 17
329 스타벅스 작년 매출 1조 5천억 ... 불황에도 커피는 마신다 file + 1 윤성파파 05-29 16
328 파산 기업 사상 첫 세자릿수.. 경기악화 가속페달 file + 1 윤성파파 05-29 11
327 미중 무역갈등 심화…울고 웃는 5월 한국증시 205 05-29 10
326 SM에 '유령 회사'?…행동주의펀드 칼 뽑았다 205 05-29 12
325 엠케이전자, 30억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205 05-29 9
324 외국인, 코스피 이탈 러시…5개월 만에 2020선 '털썩' 205 05-29 8
323 사라지는 韓 불야성 밤문화..24시간 매장 없어진다 양귀비 05-29 36
322 AMD도 화웨이 버렸다 file 호박꽃 05-29 19
321 트라우마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bestam 05-29 13
320 81살 할아버지가 학원 버스를..보행자 치여 숨져 양귀비 05-28 16
319 美 압박에도..화웨이 "5월 30일 서울에 첫 '5G 오픈랩' 개소" 양귀비 05-28 7
318 공원 '2천 곳' 사라질 위기.."다 사들이겠다"지만 양귀비 05-28 8
317 [Asia마감]일본 떠난 트럼프, 악재는 없었다 205 05-28 5
316 [마켓뷰] 나흘만에 오른 韓증시…외인 '팔자'는 여전 205 05-28 4
315 아이에이, 中염성시와 사업협력…"비메모리 반도체, 美·中 무역분쟁 반사이익 기대" 205 05-2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