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구조전환 직면, 성장잠재력 저하"..중점과제 대부분 성장·혁신에 방점

(세종=연합뉴스) 정책팀 = 정부가 17일 발표한 내년 경제정책방향은 경제활력 제고를 전면에 내세운 점이 눈에 띈다.

문재인 정부가 앞서 발표한 세 차례의 경제정책방향은 소득주도성장 등을 앞세웠는데 이번에는 기업투자 촉진을 포함한 경제 활성화를 강조한 것이다.

현 정부 출범 시 표방한 '사람 중심 경제'의 맥을 큰 틀에서는 이어가되 앞으로는 투자·혁신·구조개혁 등에 더 역점을 두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방안은 구체성이 부족하며 카풀(승차공유) 등 민감한 주제는 정책 자료에서 제외하는 등 규제개혁 청사진이 불명확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말하는 문 대통령 (창원=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전 경남 창원 경남도청에서 열린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2018.12.13 scoop@yna.co.kr

◇ 경제활력·구조개혁에 방점…소득주도성장 부각 안 해

2019년 경제정책방향은 경제정책 과제로 전방위적 경제활력 제고를 가장 먼저 꼽았다.

정부는 기업의 대규모 프로젝트에 걸림돌이 된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하고 민간 자본에 공공시설 사업을 전면 개방해 투자를 활성화하는 데 역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또 핵심 규제를 개선하고 신기술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며 서비스업을 육성하는 등 경제의 체질을 바꾸고 구조를 개혁하는 것을 정책 과제 중 두 번째로 제시했다.

소득주도성장에 해당하는 내용은 정책 과제에서 '경제·사회의 포용성 강화'라는 이름으로 세 번째로 소개됐다.

이번 경제정책방향에서 소득주도성장이라는 표현은 경제정책의 비전·전략을 표기한 부분에 '함께 잘사는 혁신적 포용국가'의 구성 요소로 혁신성장, 공정경제와 함께 기재됐고 그 외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간판만 보면 정부가 올해 9월에 내놓은 국가 비전을 인용했으나 정책 과제의 순서를 보면 무게 중심이 불평등 완화 등 사회통합에서 투자나 혁신 등 경제 활력 쪽으로 이동한 셈이다.

앞서 내놓은 경제정책방향과 비교하면 그간 소홀했다는 비판을 받은 분야를 전면에 내놓고 정치적 논쟁에 휩싸인 소득주도 성장을 상대적으로 덜 부각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초인 2017년 7월 내놓은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은 사람 중심 경제로의 전환을 선언하면서 4가지 경제정책 추진 방향 가운데 소득주도성장을 가장 앞에 배치했다.

작년 말에 발표한 '2018년 경제정책방향'은 '일자리·소득주도성장'을 경제정책 과제 중 첫째로 꼽았고 올해 7월에 발표한 '하반기 이후 경제여건 및 정책방향'은 '일자리·소득분배 개선'을 정책 방향 중 가장 먼저 거론했다.

정부가 정책의 우선순위를 과거와 달리한 것은 한국 경제가 처한 구조적 어려움이 그만큼 심각하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모든 정책을 동원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고용이 장기간 악화한 점 등을 고려하면 기업의 투자를 활성화하고 소비를 자극해 산업 활동을 촉진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것이다.

정부는 내년 경제정책방향에서 한국 경제가 "구조적 전환기에 직면"했고 "주력산업 경쟁력 약화, 혁신 지체 등으로 성장잠재력이 지속 저하"하고 있다고 진단하고서 "내년도 경제 상황이 적어도 금년 수준 이상으로 개선되도록 가용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이 생각하는 우선순위의 변화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전문가와 일반인 모두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공정한 시장질서를 경제정책의 1·2순위 과제로 꼽았는데 최근 조사에서 전문가는 62.5%가 경제활력 제고를 우선 과제로 꼽았다.

일반 국민은 미래대비(28.6%), 경제·사회구조혁신(28.4%), 경제 활력 제고(26.8%)를 포용성 강화(16.2%)보다 중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재인 정부 첫 경제정책방향과 2019년 경제정책방향 (세종=연합뉴스) 문재인 정부가 2017년 7월 발표한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위)과 2018년 12월 17일 발표한 '2019년 경제정책방향'(아래)의 목차. 새정부 경제정책 방향은 경제정책 방향의 첫번째 항목이 소득주도성장인데 2019년 경제정책방향은 경제정책의 첫 과제로 '전방위적 경제활력 제고'를 꼽았다. 2019년 경제정책 방향에서는 소득주도성장에 해당하는 내용이 세번째로 제시된 '경제·사회의 포용성 강화'에서 주로 다뤄졌다. [기획재정부 제공자료를 편집한 이미지]

◇ 16개 과제 중 10개 성장에 방점…"정책 선회했다" 해석도

정부는 16개 주요 과제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역점을 두겠다고 공언했는데 여기서도 정책 우선순위 변화가 감지된다.

이 가운데 10개 과제는 혁신성장, 규제개혁, 투자 활성화, 산업경쟁력 강화, 재정을 활용한 경기 부양 등 성장을 촉진하는 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규모 기업투자 프로젝트 착공 지원, 대형 민간투자사업 발굴·조기 추진, 숙박공유 등 공유경제 활성화, 서비스산업 육성 전략 수립, 중소·벤처 기업 선순환 생태계 보강, 4대 신산업 집중 지원 등이 대표적이다.

4대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 광역권 대표 공공프로젝트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재정 조기 집행 및 공공기관 투자 확대, 보건의료 서비스 확대도 같은 맥락에서 경제 활력에 무게를 둔 과제로 분류된다.

정부는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구조나 탄력 근로제를 보완하는 등 경직된 정책이 부작용을 낳았다는 지적을 수용한 정책도 상반기에 성과를 내야 할 과제로 제시했다.

소득주도성장과 밀접한 항목은 상대적으로 적은 4개였다.

정부는 이와 관련해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 발굴·확산, 청년 희망사다리 강화, 서민·영세자영업자 소득증대 및 부담 경감, 한국형 실업 부조 도입을 과제로 제시했다.

고용에 관해서는 임금 체계를 연공급 위주에서 직무급 중심으로 전환하는 등 혁신형 고용안정모델을 구축하겠다며 안정보다 혁신에 조금 더 방점을 찍은 과제를 내놓았다.

전문가들은 구조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우선순위에 변화를 준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내년 상반기가 가장 어려울 텐데 투자를 맨 앞에 내세웠다는 것은 긍정적"이라며 "단기 대응책으로 경제활력을 높이고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프레임으로 보인다. 인프라 투자는 건설업이 관련되니 고용유발계수가 높다"고 해석했다.

정부가 정책 방향을 사실상 수정했다는 적극적 해석까지 나왔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제팀을 1기에서 2기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정책은 그대로 간다는 분위기였는데 (경제정책방향을 보니) 많이 선회한 것 같다"며 "최근 대통령 발언이 기업 기 살리기나 투자 활성화에 초점을 많이 맞췄는데 경제정책방향에 많이 반영된 것 같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 경제팀 2기 사령탑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PG) [이태호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 공유경제 촉진한다더니 카풀은 배제…"규제개혁 의지표명 부족"

정부가 투자 활성화 등을 중시한 것은 의미가 있지만, 규제나 제도 개선에 관한 확신을 주기에는 경제정책방향에 구체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투자 활성화 전략에는 행정절차를 신속히 처리하고 이해관계를 조정해 현대차가 추진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센터 등의 조기 착공을 유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개별 사안 중심이라서 정부가 투자 환경을 어떻게 개선할지는 여전히 모호하다는 평가도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경제정책방향은 대표적인 제도 개선으로 기업에 메시지를 줘야 한다. 정부가 '이런 것을 이렇게 하겠다'고 하면 '다른 것도 개선할 것'이라는 메시지가 돼 기업에 의욕을 줘야 하는데 그런 메시지가 들어 있지 않은 것이 한계"라고 말했다.

정부의 투자 활성화 정책이 일부 기업의 가시화된 사업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측면도 있다.

윤 교수는 "투자 활성화에서 쉬운 것들만 건드리는 느낌"이라며 "중소기업·대기업 가리지 말고 행보를 넓게 가졌으면 한다"고 지적하고 정부가 노동 분야 개혁에도 속도를 내라고 주문했다.

카풀 서비스에 반대하는 택시 업계 (CG) [연합뉴스TV 제공]

공유경제 활성화를 주요 정책 과제로 내걸었지만 민감한 이슈는 제외하는 등 규제 개혁이나 서비스산업 활성화에 관한 정부 의지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대표적인 것이 승차공유 문제다.

정부는 작년 말에 내놓은 2018년 경제정책방향에서는 유상 카풀 서비스 운영기준 및 택시·카풀업계 간 공존방안을 올해 3월까지 마련하겠다고 밝혔으나 이번에는 카풀 문제를 아예 경제정책 방향에 담지 않았다.

대신 정부는 렌터카의 차고지 규제를 완화하는 '카셰어링 활성화'를 경제정책방향에 담았다. 명칭이 풍기는 뉘앙스는 비슷하지만, 성격이 다른 사업이다.

최근 카풀 서비스를 둘러싼 대립이 격해진 것이 정부가 관련 내용을 다루지 않은 배경으로 알려졌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카풀 등에 관한 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는 물음에 상생방안을 마련해 대화하겠다고 답했으나 구체적인 방법까지 설명하지는 않았다.

김현욱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규제개혁은 이해관계자의 첨예한 대립으로 안 되는 것이 많고 10년 넘게 한 걸음도 내딛지 못한 것도 있다"며 "규제개혁을 어떻게 추진할 것인지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고 청사진을 제공해야 하는데 그런 부분이 약하다는 느낌이다"고 말했다.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휴면28

2018.12.18 09:46
가입일: 2018:12.02
총 게시물수: 103
총 댓글수: 326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요..

profile

키무도우민

2018.12.26 00:50
가입일: 2018:12.09
총 게시물수: 5
총 댓글수: 237

잘좀 됐으면.. ㅠㅠ 

profile

ktree

2018.12.28 14:53
가입일: 2018:12.28
총 게시물수: 16
총 댓글수: 172

나라가 걱정됩니다.

profile

키득키득

2019.01.05 18:01
가입일: 2018:11.04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158

잘됬으면 좋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86 (부동산) ‘민간택지 상한제’ 카드, 공급부족 따른 가격 불안이 문제 탁꽁 06-29 25
385 (부동산) '양날의 칼'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집값 상승 고리 끊겠지만, 더 큰 부작용 우려도" 탁꽁 06-29 25
384 7월 수출도 부진한 출발…전년 대비 -2.6% 미래 07-11 25
383 금융위기 후 실업자 취직 확률↓…취업자는 취업상태 유지" 미래 07-11 25
382 올해도 '세수 풍년'…1∼2월 세금 3조6천억원 더 걷혔다 + 1 오에스유 04-11 26
381 기업들이 늘 하는 소리 file + 1 Bobono 04-13 26
380 갤럭시S8 예판 100만4천대…신기록 달성 + 7 흐른 04-18 26
379 금감원장 "삼성증권·농협 사건 부끄럽다" marltez 06-20 26
378 2018년 대한민국 전세계 부동산 상승률 1위 file 회탈리카 10-05 26
377 롯데주류, '처음처럼·클라우드·청하' 6월 출고가 일제 인상 천미르 05-24 26
376 살 빼주고 혈당 낮추는 일석이조 '양파 다이어트' 어때요? file 으악 05-31 26
375 6일부터 주요 손보사 車보험료 최고 1.6% 줄인상 file 으악 06-07 26
374 미국의 세탁기전쟁 니나노니 06-09 26
373 "中반도체, 10년내 삼성·SK 추월 못해..반도체굴기는 과장" 양귀비 06-15 26
372 (부동산)대·대·광 "우린 침체 몰라요" 탁꽁 06-18 26
371 '밑지는 장사' 반도체… 넘버3 마이크론, 추가 감산 선언 스톨게 06-28 26
370 카미카제 file 회탈리카 07-04 26
369 카드수수료 인하하면 연회비가 30만원??? file 회탈리카 10-07 27
368 하나금융, 외환은행 매각 관련 론스타 ICC 손배 '전부 승소'(종합) file 순대랠라 05-15 27
367 울진의 울분.. "건설인력 떠나 원룸 텅텅, 음식점 270곳 줄폐업" 양귀비 06-03 27
366 예견된 미·중 갈등, LG유플러스는 왜 화웨이를 5G 파트너로 선택했나 + 2 양귀비 06-07 27
365 삼성 이어 애플도.. 차이나 엑소더스 양귀비 06-21 27
364 (부동산) 아파트 10만가구 3분기 집들이 탁꽁 06-25 27
363 (부동산) 부동산 시장 활발해질 조짐? "온라인 커뮤니티 조회수 급증 탁꽁 06-29 27
362 (부동산) 색안경 낀 서울시 행정…"집 값 올리려는 욕심 탁꽁 07-01 27
361 도메인관리 1위업체 가비아, 디도스 공격으로 서버 다운 지후니빠 01-06 28
360 올 국세수입, 첫 300조 돌파 전망 file + 2 회탈리카 08-23 28
359 택시요금올해안에인상 file + 3 회탈리카 11-13 28
358 IMF “추경 환영”…한국에 적극적 재정 지출 권고 file + 1 순대랠라 05-14 28
357 "무역전쟁 두렵지 않다"..'초강수' 예고한 중국 + 1 양귀비 06-02 28
356 아마존 "몇 달안에 드론 배송 개시" file dukhyun 06-06 28
355 (부동산뉴스)"분양일정 글쎄요"…고분양가 논란에 공공택지 분양 줄줄이 지연 탁꽁 06-17 28
354 LG전자, 현대차와 협력해 ‘클로이 안내로봇’ 시범서비스 시작 하늘로 07-02 28
353 (부동산) “종부세 1600만원 절약” 부동산 부자 위한 그들만의 절세 ‘신탁 탁꽁 07-02 28
352 민간 아파트도 분양가 상한제" 김현미 결국 벼르던 칼 뺐다 미래 07-08 28
351 대우조선, 국민연금에 손실 ..산은 책임 + 2 달림이 04-10 29
350 꽃과 맥주를 가정으로 서비스 file 민초 11-11 29
349 캐나다 가상화폐 거래소 file 회탈리카 02-07 29
348 우체국 골드바, 한달 43억원 어치 판매..‘역대 최고’ 잡채킬러 06-10 29
347 G20 경제성장률 file 빈의자 06-29 29
346 (부동산) “출퇴근 대중교통 포기?”…후퇴한 광역교통정책 탁꽁 07-01 29
345 한국GM 노사, 임단협 큰 틀 합의…‘복리후생’ 막판 조율 짐쿨 04-23 30
344 건강보험료 개편…저소득층 부담 낮춘다 marltez 06-20 30
343 IT기업 4분기 실적 file + 1 회탈리카 03-21 30
342 전형적 가짜뉴스에 반박 '대졸실업자 사상최다 어쩌구..' file + 1 Reclear 05-22 30
341 롯데렌터카 '올 뉴 신차장기렌터카' 모빌리티 서비스 무료 제공 205 05-26 30
340 (부동산)강남 쏠리는 '갈아타기' 수요…'종착지' 압구정 아파트값 잇따라 최고가 탁꽁 06-24 30
339 (부동산) 특공 ‘깜깜이청약’ 방지…청약일 ‘15일 전’ 공고 의무화 추진 탁꽁 06-25 30
338 김현미 "분양가 상한제 시행령 준비 중…전매제한 확대 검토" file 나그넴 07-13 30
337 끝 없는 롯데 형제 싸움…신동주 또 경영권 뒤집기 나선다 + 7 백수건달 04-23 31
336 "이건희 35년간 위장계열사 보유"…벌금 1억원에 약식기소 - 연합뉴스 + 2 부니기 03-18 31
335 ‘행동주의 헤지펀드’ 엘리엇의 정체는? file 순대랠라 03-22 31
334 한국 국가경쟁력 15위…거시경제 안정성·ICT 분야 1위 . 자게보다 갑갑해서 올립니다. file 순대랠라 05-11 31
333 자한당텃밭. 경북구미의 눈물. file 순대랠라 05-27 31
332 美 LA 노숙인 급증.. 6만명 육박 file dukhyun 06-05 31
331 필리핀서 반송된 불법 수출 폐기물 4600여톤 처리 완료 잡채킬러 06-10 31
330 (부동산) 다시 뛰는 강남…마용성과 격차 더 벌어졌다 탁꽁 07-04 31
329 (부동산) 조단위 사업 시동...서울 부동산지도 달라진다 탁꽁 06-19 31
328 TK "통합 신공항 건설 박차" VS PK "동남권 새 공항 필요".. 공항건설에 열올리는 영남 미래 06-21 31
327 사우디 왕세자 "한국은 형제"…83억 달러 MOU 체결 하늘로 06-26 31
326 무디스 “일본 수출 규제로 한국 성장 둔화세 악화 우려” 미래 07-08 31
325 최순실 "박근혜 존경…차은택이 '실세', 나는 '허세' 노릇만" + 4 장미 04-17 32
324 7월부터 저소득층 589만세대 건보료 月 2만2000원 덜 낸다 marltez 06-20 32
323 3분기 전세계기업 영업이익 TOP7 file + 2 회탈리카 10-25 32
322 세법시행령 개정안 보도자료 원문 및 관련 기사 호재꾼 01-08 32
321 갤럭시 너마저.. 선을 버리고 라인 살렸다 + 1 양귀비 06-21 32
320 삼성전자·SK텔레콤·기아차 등 31개사 동반성장지수 최우수 미래 06-27 32
319 2018 추석 민생안정대책 file 회탈리카 08-31 33
318 3년전과 비교한 강남 집값, 얼마나 올랐을까 file + 1 회탈리카 10-25 33
317 1인 GDP 가장 높은 지역 file 회탈리카 02-06 33
316 (부동산) '후분양 1호' 과천주공1단지, 분양가 4000만원 가능성 탁꽁 06-27 33
315 트럼프 "비트코인, 화폐 아냐" vs 파월 "金의 대안 file 나그넴 07-12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