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보조배터리나 라이터를 넣은 채 짐을 부치는 여행객이 여전히 많다. [중앙포토]
 
최근 해외여행을 위해 인천공항을 찾은 30대 회사원 A 씨. 항공사 체크인 카운터에서 짐가방을 부치고 비행기 티켓을 받았습니다.

당시 카운터 직원은 "혹시 부치는 짐 안에 휴대전화 보조배터리나 라이터 같은 금지 물품은 없느냐"고 물었고 A 씨는 무심하게 "없다"고 답했는데요.

보안검색과 출국심사를 거쳐 출국장 안으로 들어간 지 얼마 뒤 전화벨이 울렸습니다. 받아보니 부친 가방 안에 보조배터리가 있는 것 같은데 수하물검사실로 와서 확인해달라는 요청이었습니다.

부친 짐이 비행기 화물칸에 실리기 전에 시행하는 엑스레이검사에서 보조배터리로 추정되는 물품이 발견된 겁니다.


금지물품 확인하느라 탑승 지연도
부랴부랴 수하물검사실을 찾아가 짐을 들여다보니 정말 보조배터리가 들어 있었던 겁니다. A 씨는 "오래전에 가방 한구석에 넣어뒀던 걸 깜빡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위탁 수하물 속에 보조배터리를 넣는 건 금지돼 있다. [중앙포토]
 

그나마 A 씨는 일찍 연락이 닿은 편입니다. 항공기 출발 직전까지 가방 주인과 연락이 안 되면 항공사 직원들이 탑승구 앞에서 직접 승객을 찾게 되는데요.
이때 승객이 "내가 직접 가서 확인해 봐야겠다"고 주장하면 항공사 직원이 수하물검사실까지 안내해서 다녀와야만 합니다.
 
승객이 부주의하게 부친 보조배터리 등으로 인해 출발이 지연되기도 한다. [중앙포토]
 

이러면 탑승 완료 시간이 당초 예정보다 늦어지고, 결국 항공기 출발까지 지연되는 상황도 생깁니다. 짐 가방 속에 무심코, 또는 부주의하게 넣은 보조배터리 때문에 자칫 다른 승객들에게 큰 민폐를 끼칠 수 있다는 얘기인데요.

보조배터리 등 확인, 한달 5만여 건
현장에서 근무하는 항공사 직원들은 "승객은 별 생각 없이 넣었다고 하지만 항공사 입장에서는 탑승 준비와 정상 운항에 상당한 지장을 받게 된다"고 말합니다.
 
위탁수하물 금지품목
 

그런데 확인해 보니 이런 사례가 꽤 많았습니다. 인천공항에서만 위탁수하물(부친 짐) 속에 보조배터리나 라이터가 있는 것으로 의심돼 수하물검사실에서 짐 가방을 확인하는 경우가 4월 기준으로 하루 평균 1800건이 넘습니다. 한 달로 치면 5만 4000건이나 되는 건데요.

이 가운데 실제로 금지품목이 확인된 경우도 절반 가까이 됩니다. 휴대전화 보조배터리가 가장 많고, 라이터가 그 뒤를 잇는다고 합니다.

금지 물품은 국내에서는 '항공안전과 보안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정해지며, 나라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공항에선 엑스레이 검사를 통해 금지물품 여부를 판별한다. [블로그 캡처]
 

항공사로 치면 운항 편수가 가장 많은 대한항공이 역시나 수하물검사실로 향하는 짐도 최다인데요. 한 달 평균 2만 2000건가량이 검사실로 가고, 그중 절반 정도에서 보조배터리 같은 금지 물품이 발견된다고 합니다.

휴대전화 보조배터리로 쓰는 리튬이온배터리는 폭발력이 크지는 않지만, 화재 위험성이 높아 화물칸에 실어 뒀다가는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위탁수하물에는 절대 넣지 못하도록 규정돼 있습니다.


리튬배터리, 폭발이나 발화 사고 우려
다만 개인 용도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한해 5개(용량 160Wh 이내)까지 기내에 가지고 탈 수는 있습니다.

지난해 8월에는 인천공항을 출발해 네팔로 향하던 대한항공 기내에서 승객이 충전 중이던 보조 배터리에서 연기가 나 승무원들이 급히 소화기로 진화하는 사고도 있었는데요.

다행히 기내라서 빨리 확인이 가능했기 망정이지 화물칸에서 벌어진 일이라면 큰 화재로 이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금지물품이 의심되면 승객을 찾아 짐을 열어본다. [블로그캡처]
 

이처럼 위험성이 적지 않은데도 여전히 보조배터리나 라이터를 위탁수하물에 넣는 경우가 많아 공항들에서는 엑스레이검사와 짐 개장 검사를 통해 이를 찾아내고 있는데요.
엑스레이 검사에서 이상이 의심되면 일단 수하물검사실로 짐이 옮겨집니다. 인천공항의 수하물검사실은 1 여객터미널에는 23개, 2 여객터미널에 2개가 있습니다.
 
인천공항에 설치된 수하물 검사장비. [사진 인천공항공사]
 

1 터미널의 경우는 항공사 체크인 카운터 주변에 검사실이 배치돼 있고, 2 터미널은 출국장 안쪽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1 터미널에서는 짐을 부치면 잠시 뒤 이상 유무가 확인되기 때문에 승객들은 잠시 체크인 카운터 주변에 머물러 달라는 요청을 받기도 합니다.

인천공항, 수하물검사실 20여개 운영
반면 2 터미널은 상대적으로 확인에 시간이 걸리는데요. 승객이 보안검색과 출국수속을 하기 전에 이상 유무가 확인되면 출국·보안검색대에 들어갈 때 탑승권과 여권을 찍으면 자동으로 신호가 뜹니다.
 
인천공항 2 여객터미널에 설치된 수하물검사실. [중앙포토]
 

그런데 이보다 먼저 통과를 한 경우에는 항공사 측에 연락이 가고, 항공사에서 승객에게 전화하는 등의 방식으로 찾게 된다고 합니다.

정 시간이 급한 경우에는 승객의 동의를 받아 검사실 요원들이 직접 가방을 열어서 문제의 물품을 빼낸 뒤 다시 화물칸으로 보내기도 하는데요. 이미 이륙한 뒤에 화물칸에 보조배터리가 실린 사실이 뒤늦게 확인되면 회항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항공 안전과 보안을 위해서 필요한 절차들을 이행하는 것이긴 하지만 승객이 애초에 짐을 쌀 때 조금만 더 주의했더라면 불필요한 수고나 민폐를 꽤 많이 줄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아이러니하게도 항공사 직원들도 종종 실수를 한다고 합니다. 짐을 쌀 때 규정이 모호하다면 인터넷에서 관련 규정을 찾거나, 아니면 항공사 안내 전화로 문의해서 확인하는 작은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자신뿐 아니라 다른 승객과 항공사, 공항을 위해서 말입니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무허도맨

2019.06.02 04:59
가입일: 2017:03.01
총 게시물수: 20
총 댓글수: 55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86 GM "미래급변 대비 선제적 구조조정" file 호재꾼 11-28 54
385 전세자금 대출받으실분(받으신분) 꼭 알고 있어야할 금융상식입니다 파아란 10-09 54
384 高價 1주택에 보유세 인상 추진…‘제 2의 종부세’ 파동 일어나나 + 5 짐쿨 04-09 54
383 한국 50대 부자 재산 1년새 17% 감소…최고부자는? + 1 미래 07-11 53
382 [경제 브리핑] 미국 '쥴' 맞서 국산 액상 전자담배 '릴 베이퍼' 출시 205 05-27 53
381 국내기업 어닝쇼크 file + 2 회탈리카 10-28 53
380 수치로 보는 역대 대통령 지표( 순수증가분 ) file + 2 회탈리카 05-13 52
379 참치왕 김재철 회장님 도미노스 04-19 52
378 최근 LNG선 발주가 늘어난 진짜 이유 file + 4 회탈리카 02-08 52
377 환율 file + 4 밀키웨이 12-03 52
376 2019년 창업지원사업(중기부) file + 1 토마군 01-02 51
375 산업부 "한국GM 일자리 총 15.6만명..30만명 사실 아냐" + 9 구소롤 02-16 51
374 새만금 개발 태양광풍력 + 1 달림이 10-29 50
373 새벽3시에 간장게장을 먹어야 했던 기자양반 file + 2 회탈리카 09-25 50
372 '사면초가' 자영업…작년 수익 증가율 1.0%, 6년 만에 최저 + 2 행운아 06-10 50
371 최저임금 후폭풍…유통·외식, 감원·폐점 우려에 물가도 불안 + 8 행운아 07-17 50
370 (부동산) 혼돈의 부동산 시장…전문가 4人 하반기 전망 '제각각' 탁꽁 07-04 49
369 여름철 전기요금 인하’ 받아든 한전, 정부에 청구서 내밀었다 + 1 미래 07-01 49
368 홈플러스, 무기계약직 전원 정규직 전환…정규직 비중 99% + 2 미래 07-01 49
367 황교안 뼈때리는 전우용선생! file + 1 Reclear 06-19 49
366 샤프전자가 망한 흐름을 배워봅시다 file SOSMania 03-20 49
365 2019 전세계 브랜드파워 file + 1 회탈리카 02-01 49
364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쿠팡에 2조 2500억 추가 투자 file + 3 회탈리카 11-21 49
363 베네수엘라 내년 물가 1천만% file + 1 회탈리카 10-09 49
362 현대중 이어 한국GM 군산공장 결국 폐쇄…지역경제 '직격탄' + 2 행운아 02-13 49
361 "집값 이리 뛰는 건 처음" 호재 제대로 맞은 인천 계양 ParkYA 06-28 48
360 자신이 입던 속옷 팔아 7000만원 번 여성 file 으악 06-19 48
359 여성기업 확인서'발급 2배이상 급증 file + 6 회탈리카 10-22 48
358 주식 바닥은 찍었다... + 1 비트러브 02-02 47
357 한국 경제 기자가 되려면...? file + 4 회탈리카 09-09 47
356 '카푸어라고' 수입차 할부 족쇄에도 행복한 그들은 왜? + 3 매니아 04-15 47
355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구속영장 기각 띠로링 07-20 46
354 러시아, 일 규제 불화수소 한국에 공급 제안 file + 1 나그넴 07-12 46
353 "경제불씨 살려라" 자동화 설비투자 세액공제 3년 연장 호재꾼 06-26 46
352 초고층빌딩 규제 피하는 방법 file 모니너 02-22 46
351 소득성장 대신 경제활력 전면배치..3년차 文정부 방향키 돌리나 + 4 백수건달 12-17 46
350 [일상톡톡 플러스] '현금=안전자산' 인식 여전…이러니 5만원이 동나지 + 2 지후니빠 01-06 46
349 Q&A로 풀어보는 일본의 반도체 수출 규제, 아예 수입을 못하는 건가요? + 1 양귀비 07-06 45
348 이런건 방송에 나지 않는다. - 한국, "국민소득 3만 달러 돌파 때 경제 상황, 과거 선진국보다 '양호'" 순대랠라 02-26 45
347 체감실업률 11.8%, 집계 후 최고…제조업취업자 4년만에 최소 + 4 행운아 08-15 45
346 젊은층 유혹하는 ‘아파텔’, 아파트와는 많이 다르다는데… + 4 행운아 04-15 45
345 LPG차량 규제 완화 긍정?부정? + 8 CM 03-24 44
344 "집 팔아도 전세금 못돌려줘"…지방 깡통주택·깡통전세 속출 + 2 왕형 11-12 44
343 [단독] "고무줄 비급여 표준화된다"…文대통령 직접 대책 발표 + 4 행운아 07-17 44
342 최배근 교수가 분석한 한일무역전쟁 file 회탈리카 07-11 43
341 (부동산) 위례선 사업 속도 낸다…서울시, 기본계획 용역 발주 탁꽁 07-04 43
340 3기 신도시, 2022년부터 분양…청약통장 지금 만드세요 + 1 아임파더 05-22 43
339 대한항공 조양호를 끌어내리다. file + 10 순대랠라 03-27 43
338 IMO, 40개 이사국 만장일치로 임기택 사무총장 연임안 이사회 통과 file + 2 민초 11-22 43
337 35년간 세계 국가 경제변화 file 회탈리카 10-03 43
336 아베 정부, 반도체 소재 수출 제재 발표…한국 “모든 조치 할 것” 반발 + 1 하늘로 07-02 42
335 해외社 국내 클라우드시장 67% 점유.. + 1 빈의자 06-29 42
334 (부동산) 규제의 역설···재건축 죌수록 커지는 희소성에 잠실주공5 최고가 + 1 탁꽁 06-27 42
333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한 한국기업의 대응방안 정리 file 방자선생 07-02 42
332 펑크 안 나는 타이어 개발···미쉐린의 자기파괴 역발상 스톨게 06-13 42
331 지역별 연봉 탑회사 file + 1 회탈리카 01-30 42
330 "2년간 내놓은 대책이 산지폐기뿐" 무안 양파농가의 분노 "올해 양파 밭 5번 갈아엎었다" + 3 양귀비 06-24 41
329 (부동산) 동대문구 이문3구역, 재개발 속도…소형주택 늘린다 탁꽁 06-25 41
328 나라 망한다는 망무새들 뼈때리는 팩폭 file + 1 Op 09-23 41
327 ‘호찌민 - 경주 엑스포’ 경제효과 2억달러 + 6 밀키웨이 12-06 41
326 [단독] 산업부 내부문건 보니… “한·미 FTA 파기 땐 美가 더 손해” + 1 왕형 04-21 41
325 아베의 조치 및 불매 운동이 벌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file 동네모자란형 07-07 40
324 산업부 "日수출규제 대비, 반도체소재 국산화 추진해왔다" + 2 하알 07-03 40
323 (부동산) 분양가 이중규제에 고민 빠진 강남 재건축, 사업 강행할까?후분양 전환,공급 일정 무기한 연기? 탁꽁 07-02 40
322 (부동산) '불법' 공급계약 취소 주택, 특공자격자·무주택자가 가져간다 탁꽁 06-28 40
321 치킨 한마리 4000원, 커피 한잔 900원..초저가 열풍 거세다 양귀비 06-19 40
320 넷플릭스 이용자 수가 장난 아니게 늘어나네요 + 2 지구대 02-11 40
319 ‘삼성 바이오로직스’ 고의 분식회계 결론 file + 1 민초 11-15 40
318 日정부 "韓 조선업 '공적자금 지원' 양자 협의 요청" + 1 민초 11-06 40
317 중국, 미국이 전쟁의 고통을 맛봐야 file 회탈리카 09-18 40
316 숙박·항공 예약대행 사이트, '취소·환급 지연 및 거부' 불만 가장 커 미래 06-24 39
315 檢, 음주운전 사망 최대 '무기징역' 구형..도주는 무조건 '구속영장' file + 1 dukhyun 06-23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