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하성태의 사이드뷰] '정치 색안경'으로 학생-학부모만 피해 봐

[오마이뉴스 하성태 기자]
 

▲  6일 방송된 KBS <오늘밤 김제동>의 한 장면
ⓒ KBS


 
"저도 조선일보 칼럼 자주 봅니다. 좋은 내용도 많고요. 그건 바로 잡아드려야겠습니다. 칼럼에서 <오늘밤 김제동> 시청률이 2% 안팎이라고 하셨는데요. 어제 4.6%였고요, 평균 4%고요, 최고 시청률은 6.5% 대입니다.

아마 성함을 봐야 되는데, 논설위원 분 성함은 잘 모르겠네요. 한현우 논설위원인가? 사실은 알고 쓰셔야지, 논설을 읽는 입장에서, 독자 입장에서 사실을 알고 쓰셔야 된다고 말씀드리고 싶었고요."

짧지만 강렬한 해명이었다. 사전에 고정 출연하는 기자와 얘기가 됐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방송만 놓고 보면 돌발 상황에 가까워 보였다. 6일 KBS1 <오늘밤 김제동>에서 진행자인 김제동이 고액 강연료 논란과 관련해 입을 열었다. <미디어오늘> 노지민 기자가 "화제와 논란, 제 앞에도 한 분 계시네요"라며 "스트레이트 기사에도 나오시고 칼럼에도 나오시고"라며 운을 떼자 김제동이 다짜고짜 <조선일보>을 거론했다.

"(나에게) 강의료 받아서 자꾸 어디 쓰냐고 하시는데, 아유 이런 말 안 하려고 했는데. 논설위원님 덕분에 말씀 드려야겠네요. 조선일보 스쿨 업그레이드 캠페인, 그리고 제 모교인 대구 달성고등학교에 5천만 원 합쳐서 1억 기부했습니다. 한현우 논설위원님께 답이 됐는지 모르겠습니다. 사실 관계를 잘 보시고 써주셨으면 합니다. 독자 입장에서. 조선일보 여러분들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주 정중한 톤이었지만, 콕 집어 <조선일보>를 거론하고 논설위원 이름까지 들먹인 김제동. 그는 "소속사에 저 하나네요"라며 "6명의 식구가 있단 말이에요. 같이 살아야죠"라고도 했다. 일각에서 고액이라 비판받은 1550만 원 강연료가 행사 전체 비용임을 우회적으로 밝힌 것이라 할 수 있다.

김제동의 해명이 사실이라면, 자사의 캠페인에 김제동이 수 천 만원을 기부를 한 상황 자체가 <조선일보>로서는 머쓱한 상황이 되어버리는 셈이다. 그렇다면 왜 김제동은 꼭 집어서 한현우 논설위원의 칼럼을 거론했을까. <김제동 강연료 1550만원>이란 제목의 6일자 만물상 칼럼과 <조선일보>가 쏟아낸 기사들은 당사자인 김제동이 충분히 반박할 만한 수위와 횟수를 자랑하고 있었다.

<조선일보>의 과도한 김제동 사랑

"개그맨 김제동이 15일 대전 한남대에서 청소년과 학부모 대상으로 1시간 30분 강연하고 1550만 원을 받기로 했다고 한다. 한 시간에 1000만 원 꼴이다. 인터넷에는 김제동이 "편의점 알바에게 물어보니 시급 1만 원 받으면 행복할 것 같대요. 그런 애들 행복하게 못 해 줍니까"라며 거의 울먹이는 영상이 있다. 강연 한 시간에 1000만원 받는 사람은 시급 1만원 주는 게 왜 그렇게 힘든 일인지 이해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김제동은 시청률 2% 안팎의 KBS 시사 프로그램 '오늘밤 김제동'을 진행하면서 월 5000만 원 넘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원도에 큰 산불이 났을 때 KBS가 재난 방송을 포기해 가면서 방송을 강행했던 그 프로그램이다. 김제동을 초청한 대전 대덕구는 교육부에서 받은 국비로 강연료를 지출한다고 한다. KBS 출연료나 교육부 예산이나 모두 국민 세금에서 나온 것이다. 김제동 기사에 달린 화난 댓글들에는 그런 정서가 반영돼 있다."

시청률 오류도 오류지만, "강연 1시간에 천 만원 받는 사람"과 "시급 1만원"을 동일 선상에 위치시키려는 시도가 눈에 띈다. <조선일보>의 이러한 비교는 여타 언론이 김제동을 비판하는 방향타가 되어줬다.

여기에 (KBS가 사과까지 한 사안인) "재난 방송 포기"라는 과거 <오늘밤 김제동>의 실수와 김제동의 출연료, '국비'라는 프레임까지. 이 만물상 칼럼은 김제동 본인이 "조선일보 칼럼 자주 봅니다"라거나 "조선일보 관계자 여러분 감사합니다"라던 비아냥 아닌 비아냥에 걸맞게 해당 논란을 <조선일보>의 시각으로 아주 잘 정리한 글이라 할 만하다.

특히나 김제동의 강연료를 '시급 1만원'과 함께 문재인 정권의 최저임금 인상과 소득주도성장과 함께 엮은 결론은 지극히 <조선일보>다운 논리였다. 김제동이 왜 "감사"를 표했는지 고개를 끄덕이게 될 만큼.
 

▲  6일자 <조선일보>에 실린 '[만물상] 김제동 강연료 1550만 원'
ⓒ 조선일보


  
김제동의 고액 강연료 논란은 지난 4일 대전 지역 매체들이 먼저 기사화했다. 자유한국당 대전시당의 비판을 전하면서다. 그러던 것이 같은 날 <노컷뉴스> <중앙일보> 등이 이를 기사화하면서 논란이 가속화 됐다. <조선일보>가 이를 놓칠 리 없었다. 7일 오후까지 <조선일보>는 무려 8건의 기사(칼럼과 지면기사 포함, 스포츠조선 제외)를 쏟아냈다.

<"공무원 월급도 겨우 주면서"…대전 대덕구, 김제동 1550만원 고액 강연 논란> (4일)
<90분에 1550만원… 김제동 강연료 논란> (5일)
<'90분에 1550만원' 김제동 고액 강연료 논란에 지역 정치권 비판 거세> (5일)
<[만물상] 김제동 강연료 1550만원> (6일)
<김제동 '1550만원 강연'…野 "세금 뜯어먹기" 주최측 "강행"> (6일)
<'1550만원' 김제동 강연 취소…"원활한 진행 어렵다고 판단"> (6일)
<90분에 1550만원… 고액 강연료 논란 '김제동 특강' 결국 취소> (7일)
<김제동 고액 강연료 논란에 입장 밝혀…"모교 등에 1억 기부"> (7일)

이쯤 되면, <조선일보>의 '김제동 사랑'이 집착은 아닌지 궁금해질 정도다. 그간 김제동에 대한 조선일보의 과한 관심이야 애정은 잘 알려진 터지만, 김제동의 강연료가 과연 이 정도로 집중할 사안인지, 1등 신문의 취재력을 전국 단위로 발휘할 사건인지는 독자들의 판단에 맡기는 바다. 그럼에도 짚어야 할 것은 짚어야 할 듯 싶다. 김제동의 강연료가, 행사 비용 전체로 알려진 그 금액이 정말, 유독 비상식적으로 과도한지 말이다.

1550만원이 비싸다고? 진짜?

얼마 전, 지방의 한 국가행사에 스태프로 참여했다. 그 행사의 유일한 초대가수였던 한 유명가수는 노래 3곡을 불렀고, 2천만 원 안쪽의 개런티를 챙겼다. 국무총리가 연단에서서 기념사를 읽은 그 행사에서 유일하게 개런티를 받은 유명인이었다. 단 십 수분 간의 공연을 통해 90분 전체 강연(토크 콘서트)을 책임지는 김제동보다 고액의 출연료를 받은 셈이다.

김제동의 강연료가 논란이 되면서 각 대학축제나 기업 행사의 무대에 오르는 가수나 아이돌 그룹 등의 개런티가 함께 도마에 오른 것도 같은 이치다. 연예인의 몸값이야말로 '자유주의 시장경제'의 가치 기준이 가장 엄격하게 적용되는(업계에서 통용되는 일부 몸값 부풀리기는 둘째 치더라도) 분야 아니겠는가. 김제동의 경우, '토크 콘서트'를 '브랜드화'시킨 유일한 연예인이기도 하고.

강연료로 범위를 좁혀 볼까. 국가 기관이나 각종 단체에서 지급하는 일반 강연료가 등급별로 엄격하게 차등화 돼 있다는 사실은 한 번이라도 강연을 해 본 경험이 있는 이라면 누구라도 알고 있는 사실일 터. 김제동의 강연료가 논란이 되자 소셜 미디어 상에서 "나는 얼마 받았는데", "나는 더 낮은 강연료를 받을 수 있는데"라는 고백이 터져 나온 것도 같은 이유일 것이다.

그러나, 김제동의 '토크 콘서트'는 일반인(교수나 강사의) 강연과는 분명 다르다. 그 강연의 질적 '가치'야 각자의 판단에 따라 다르겠지만 특급 연예인이 90분 간 출연하는 행사 전체 비용이 1550만 원이었다면 결코 '고액'이라 할 수 없다.

국비가 들어갔다거나 대덕구의 열악한 재정을 두고 나온 비판도 지엽적이긴 마찬가지다. 이번 대덕구의 '청소년아카데미'가 학생과 학부모들의 설문을 통해 출연자를 결정했다는 보도는 의미심장하다. 또 대덕구의 재정이 쓰일 것도 아니였고, 어차피 문화 행사로 사용될 국비로 행사료, 공연료가 지급될 예정이었다고 한다. 지방의 청소년들과 학부모들이 김제동의 토크콘서트를 '국비'로 관람하는 것이 이토록 문제가 될 사안인가.

대덕구 측도 논란에 대해 "이번 행사는 주민 의견을 수렴해 마련한 것"이라며 "유명인사에 대한 강연료 수준으로 책정했으나 강연료를 타 지역구보다 오히려 덜 받은 것으로 알고 있다"는 설명을 내놨다.

아울러 김제동은 지난 2017년 인접 지역인 세종시에서 세종시 주관으로 '토크콘서트'를 개최하기도 했다. 세종시는 특별자치시라 문제가 없고, 대덕구는 재정이 열악한 것이 문제인가. 그럴 리가.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인가.

결국 진짜 문제는 김제동? 

"유튜브엔 김제동이 정권을 노골적으로 지지하는 강연 영상이 넘쳐난다."

<조선일보> 한현우 논설위원의 칼럼에서 볼 수 있듯, 애초부터 정치적인 색안경이 문제였던 사안이었다. 최초로 문제를 제기한 것은 자유한국당 대전시당이었다. 대전시당은 4일 "김제동에게 줄 1550만 원이면 결식 우려 아동에게 급식을 3875번 먹일 수 있는 돈"이라며 "소득주도성장정책으로 아르바이트 일자리를 잃은 청년들을 1달간 12명이나 고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 논설위원의 칼럼과 엇비슷한 주장이다.

되묻고 싶어진다. 김제동의 강연료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김제동이란 출연자의 정치적 성향이 문제였던 것은 아닌가. 지역 언론에 따르면, 해당 지역은 여당 소속인 지자체장과 한국당 등 야당 시의원들의 갈등이 첨예한 곳이라고 한다. 여당을 향한 야당의 공격이 김제동에게 불똥이 튄 것은 아닌지, 이러한 사안에 <조선일보>와 같은 보수언론이 불을 지피고, 다시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논평으로 거든 것은 아닌지 의심해 볼만한 대목이라 할 수 있다.

강연은 결국 취소됐다. 김제동은 해당 지역에 기부금을 전달하기로 했다. 강연 취소로 인해 불편을 겪은 학생들과 학부모들을 위한 조치라고 한다. 냉정하게 따져보자. 결국 '정치적인 색안경'으로 인해 순수하게 토크콘서트를 즐기려던 애꿎은 지역 학생들과 학부모들만 피해를 입은 것은 아닐까.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able2happy

2019.06.08 21:09
가입일: 2016:07.18
총 게시물수: 21
총 댓글수: 1096

차라리 정치편향적인 사람에게 공공행사에 초청할 수는 없었다 라고 정치중립성을 걸고 넘어졌으면 차라리 나았을 것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741 2019년 6월 4일 [김용민의 그림마당] file dukhyun 06-03 10
740 "민주노총, 시위문화 퇴행"..민갑룡, 고강도 비판(종합) 닝기리렁 06-04 4
739 취업 막막, 답답해서 시작한 달리기.. 이젠 50만명이 저를 따라 달려요 file dukhyun 06-04 16
738 이정은, 역경 딛고 이겨낸 눈물의 우승.."가족 없었으면 불가능한 일" file dukhyun 06-04 9
737 당진∼대전 고속도로 역주행 사고..3세 어린이 등 3명 사망(종합) 양귀비 06-04 15
736 "한국인 위로하자" 헝가리 주부가 퍼트린 '추모의 나비효과' 양귀비 06-04 17
735 회원 70만명 '밤의전쟁' 집중단속..성매수자들 타깃 양귀비 06-04 13
734 제주 전 남편 살해 30대, 시신 유기 추정 장면 CCTV 포착 양귀비 06-04 14
733 '외할머니 살해' 손녀 미심쩍은 진술.."혼자 죽기 억울했다" 양귀비 06-04 9
732 울산서 밍크고래 죽은 채 발견…8100만원에 팔려 kwonE 06-04 12
731 헝가리 희생자 추정 남녀 시신 2구 수습... 100km 밖 발견도 kwonE 06-04 8
730 장희빈이 마신 사약 원료 ‘초오’ 끓여마신 70대 남자 숨져. kwonE 06-04 18
729 업소녀의 내수차별 file + 2 콜스로우 06-04 23
728 라보 고속도로 역주행 사고 file + 1 콜스로우 06-04 17
727 50분 동안 차에 갇힌 7살 file 콜스로우 06-04 14
726 극혐 운전 스타일 file + 2 콜스로우 06-04 32
725 꾸밈노동 하는 여경 신고 레전드 file + 1 콜스로우 06-04 29
724 전세계 수익 1위 유튜버 file 콜스로우 06-04 26
723 송도 주차장 아줌마 근황 file 콜스로우 06-04 23
722 7월1일부터 동네병원 2인실 입원료 7만원→2만8000원 file 으악 06-05 41
721 내년 의료기관 진료비는 얼마? file 으악 06-05 14
720 독일의 클라스 file + 5 킹제임스 06-05 23
719 20대 아빠 16개월 아기 사망 사건 반전 웅e 06-05 23
718 스타벅스, 환경의 날 맞아 '종이 카드' 출시 file dukhyun 06-05 12
717 광주 세계수영대회, 중국산 생수 때문에 골머리 file 호박죽 06-05 14
716 효과 낮은 걷기 운동하고 있다는 증거 3 file dukhyun 06-05 26
715 생존수영 배워요 덕애 06-05 9
714 건보적용 확대로 응급실 각종 검사비 등 최대 75%↓ file 으악 06-06 18
713 내달부터 응급·중환자 건보 적용..환자부담 최대 15만→6만원 file + 2 으악 06-06 23
712 노인인구 증가 이젠 고령사회 file 순대랠라 06-06 12
711 윤지오씨 후원자들, 후원금 반환 소송 낼 듯 양귀비 06-06 5
710 에베레스트서 쓰레기 11t 수거..시신 4구도 발견 + 1 양귀비 06-06 17
709 [탐정 손수호] "고유정, 살해 후 전 남편 행세했다" 양귀비 06-06 10
708 '설마 사고 나겠어' 안전띠 외면..내 목숨도, 가족도 잃는다 file dukhyun 06-06 17
707 "커피·흡연 치아건강의 적..양치질 오래해도 안돼요" file dukhyun 06-06 9
706 "밥 벌어먹냐…자식은 무슨 죄" 비아냥에 10대승객 택시에 감금 file 손뉨 06-06 6
705 어느 초등학교 배구 선수의 엉덩이 file + 2 호박죽 06-06 233
704 21세 美여성, 판문점 방문으로 세계일주 최연소 신기록 file dukhyun 06-06 21
703 90분에 1550만원 논란, 김제동 강연 결국 취소 + 2 GoodYU 06-07 18
702 기약없는 인양 크레인…묵묵히 인양준비 속 수심 체크에 '한숨' GoodYU 06-07 9
701 강한 비바람에 제주 하늘길·바닷길 차질…남부 곳곳 호우 GoodYU 06-07 13
700 윤지오 후원자 370여명, 후원금 반환 소송 제기할 듯…총 1억5000만원 이상으로 추정 GoodYU 06-07 5
699 [단독] 뭉친 근육 풀어준다더니…`성추행·몰카` 마사지사 덜미 GoodYU 06-07 14
698 [서소문사진관]애절·발랄·도도··· 강렬하게 새 프로그램 선보인 김연아 GoodYU 06-07 5
697 영화 ‘기생충’을 바라보는 청년층의 상반된 시각, 왜? + 1 GoodYU 06-07 23
696 언론까지 퍼진 트위치 갑질사건 file 호박죽 06-07 15
695 헝가리에서 유족 사칭하고 병원 들어가려고 했던 기레기들 file 호박죽 06-07 22
694 국민 80% "부잣집 출신이어야 성공" file 으악 06-07 16
693 정부, 저소득 구직자에 월 50만원씩 6개월간 수당 준다 file 으악 06-07 19
692 암을 이기고 다시 학교로 돌아온 선생님을 위해 file 킹제임스 06-07 15
691 인천서 생후 7개월 영아 숨져···경찰 “부모가 6일간 방치해 사망” kwonE 06-07 15
690 고백 거절당하자 커피에 최음제 넣은 대학원생..징역 5년 구형 양귀비 06-07 9
689 해운대 수영장 사고 초등생, 3명에게 새 생명 주고 하늘나라로 + 1 양귀비 06-07 7
688 '미투' 극작가, 대한민국연극제 퇴출..개명하고 지원 file dukhyun 06-07 26
687 안내견 식당 출입 항의한 고객에 "꺼지라"며 내쫓은 사장님 file + 2 손뉨 06-07 20
686 '제주 전 남편 살해' 고유정 얼굴 첫 공개 file + 1 손뉨 06-07 15
685 '전 남편 살해사건' 고유정 얼굴 공개, 믿기 힘든 '담담한 표정' GoodYU 06-07 8
684 김명환 민노총 위원장, 8시간 조사 마치고 귀가 '묵묵부답’…경찰 "영장 신청 검토" GoodYU 06-07 7
683 [단독] 동생이 형 살해하고 도주…대낮 카페서 흉기로 + 3 GoodYU 06-07 15
682 7개월 딸 방치 숨지게 한 어린부부 모두 구속…"도주 우려" GoodYU 06-07 7
681 헝가리 '유람선 인양' 크레인방식으로 다시 가닥…강 수위 관건 GoodYU 06-07 24
» 김제동 강연료 논란에서 드러난, '조선'의 본심? + 1 GoodYU 06-07 34
679 (중요) 전세사기, 청년 주거난민을 노리다 ( 2019년 6월 7일 23:00 방송 ) file 아크로유닛 06-07 11
678 수심에 발 묶였던 '인양 크레인', 어떻게 다리밑 통과했나 양귀비 06-08 27
677 지리산 '탈출곰' 오삼이, 김천 수도산에 방사했더니 금오산에 번쩍.. 왜? 양귀비 06-08 83
676 버스에서 동성 커플에게 키스 강요, 거부하자 무차별 폭행 + 2 양귀비 06-08 35
675 국내 최대 규모 성매매 사이트 단속 file 아크로유닛 06-08 38
674 NO MORE PLASTIC. "1분에 한트럭씩..30년뒤 바다엔 물고기보다 플라스틱이 많을것" file 순대랠라 06-08 16
673 영화 기생충에서 드러난 '빚'의 늪 file dukhyun 06-08 36
672 '만취 뺑소니' 중국인, 광란 질주…택시기사가 추격해 검거 + 1 손뉨 06-08 22
671 [정보] 2019년 여름 축제 file + 1 아크로유닛 06-08 14
670 파주 길거리서 중국인끼리 흉기 들고 난투극..3명 부상 양귀비 06-0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