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A씨는 "5만원권은 대부분 장롱 속에서 잠자고 있다"며 "은행 예금금리가 너무 낮은 탓도 있다"고 말했다.

B씨는 "설령 돈이 있어도 사회가 불안하니 투자를 제대로 못하고 있다"며 "안정된 삶을 위해 현금화하는 이들도 많다"고 전했다.

C씨는 "유능한 젊은이는 한국 외면하고, 기업하는 이들은 해외로 나갈 생각만 한다"며 "이런 상황에서 누가 투자하려고 하겠냐"고 반문했다.

D씨는 "장롱도 없고, 돈도 없는 사람들도 많다. 어느 나라 얘긴지 모르겠다"며 "일부긴 하나 장롱에 돈 쌓아놓고 기초수급자 혜택받는 사람들도 있다"고 밝혔다.

E씨는 "보이스피싱 사기 때문에 고객 보호 차원이라지만, 고액 현금 인출하는 게 너무 까다로운 측면도 있다"며 "경찰 부르고 확인까지 해야하는 게 귀찮아 은행에 안 넣고 싶다"고 강조했다.
20180105003089_0_20180106171006183.jpg?t


가계가 보유한 현금이 지난해 10조원 가량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다른 투자처의 수익성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가계가 그나마 손실이라도 면할 수 있는 안전자산을 선호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계)가 보유한 금융자산은 3577조552억원이었다.  그중 현금은 78조2559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가 보유한 현금은 2016년 말(68조2614억원) 대비 9조9945억원 증가했다.

◆그나마 손실 면할 수 있는 안전자산인 현금 '好好'

가계의 현금 보유는 부쩍 늘어나고 있다.

2016년 1분기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가계 보유 현금 증가율(전기 대비)이 금융자산 증가율을 밑돈 것은 지난해 2분기 한 차례뿐이다.

3분기에는 현금 증가율이 9.1%로, 금융자산 증가율(1.3%)의 7배에 달했다.

20180105003090_0_20180106171006194.jpg?t


3분기 가계 보유 현금은 전 분기보다 6조5536억원 늘어 분기 기준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이에 따라 가계 금융자산 가운데 현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8년 4분기 1.1%에 불과했지만,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 3분기에는 2.2%까지 높아졌다.

◆가계 현금 보유 증가, '불안한 미래' '급속한 고령화' 때문

가계가 현금을 쌓아두는 것은 안전자산 선호와 관련 깊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상화폐 투자 광풍(狂風) 속에서도 일부에서는 여전히 거품을 우려하면서 몸을 사리고 있는 가계도 있다는 것이다.

한은의 '2015년도 경제주체별 화폐사용행태 조사 결과'를 보면, 가계 38.7%는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면 현금 보유를 늘리겠다고 답하기도 했다.

가계 현금 보유 증가는 고령화가 심화하는 탓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은 보고서에 따르면 60대 이상의 월 소득 대비 현금보유액 비율은 16.4%로, 전체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고령층의 현금 선호 경향이 다른 연령층보다 높다"며 "향후 고령화 진전이 화폐수요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5만원권 환수율 높아졌지만 아직은 

이 같은 현금 선호 현상은 최고액권인 5만원권의 발행 비용을 지속적으로 늘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현재 5만원권의 누적 환수율(시중에 풀린 발행액 대비 회수액 비중)은 46.07%로 나타났다. 

5만원권 환수율은 상승하는 추세이기는 하나 1만원권과 비교했을 때는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환수율이 낮다는 것은 시중에서 돈이 돌지 않다는 의미인 만큼 화폐 발행비용을 키우는 결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자칫 현금이 지하경제 흘러들어가면 국가경제에 악영향이 우려된다.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짐쿨

2018.01.23 22:25
가입일:
총 게시물수: 27
총 댓글수: 118
그래도 수표를 대치해서 수표발행비용 어마어마하게 줄었을거 같네요..
profile

디오티마

2018.01.26 17:30
가입일: 2017:01.15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29
저도 5만원권 선호.집에 금고를 만들어야겠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98 최배근 교수가 분석한 한일무역전쟁 file 회탈리카 07-11 43
97 ''분양가 낮추면 로또 분양"이란 말의 검은 속내 미래 07-11 37
96 7월 수출도 부진한 출발…전년 대비 -2.6% 미래 07-11 25
95 금융위기 후 실업자 취직 확률↓…취업자는 취업상태 유지" 미래 07-11 25
94 한국 50대 부자 재산 1년새 17% 감소…최고부자는? + 1 미래 07-11 53
93 사상 최고가 찍은 美, 불안한 상승 미래 07-12 35
92 2020년 최저임금 8,590원으로 결정 file 회탈리카 07-12 34
91 러시아, 일 규제 불화수소 한국에 공급 제안 file + 1 나그넴 07-12 46
90 트럼프 "비트코인, 화폐 아냐" vs 파월 "金의 대안 file 나그넴 07-12 33
89 베일 벗은 '폴더블폰 커버유리'...세계최초 '접히는 유리' 완성 file + 1 손뉨 07-12 85
88 김현미 "분양가 상한제 시행령 준비 중…전매제한 확대 검토" file 나그넴 07-13 30
87 제철 옥수수 가장 맛있게 먹는 법은? file + 1 dukhyun 07-13 57
86 일본수출규제관련 팩트????만 보여주는 영상 회탈리카 07-14 58
85 불매운동의 힘이 계속 되길 바랍니다. file + 2 동네모자란형 07-14 79
84 일본 관광산업의 한국인 의존도 file + 14 회탈리카 07-15 219
83 국내 3대 커피전문점 작년 매출 2조원 file + 2 dukhyun 07-15 80
82 아베 다음 표적은 '한국車'…견딜 힘 있나 + 1 벨라 07-16 63
81 [아베는 왜] 韓 어느새 턱밑까지.."지금 치지 않으면 日 죽는다" + 1 양귀비 07-17 58
80 [단독]속도내는 脫일본..삼성 폴더블, SK 소재 쓴다 + 2 양귀비 07-17 78
79 일본의 난처한 상황 일본언론 보도 file + 3 발윤주 07-17 89
78 세계 최초 '3진법 반도체' 개발...이재용의 '반도체 진짜 실력' 이유있는 자신감 + 1 손뉨 07-18 76
77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구속영장 기각 띠로링 07-20 46
76 "애사심 없다".."2주 뒤 나가라" 권고사직 + 2 양귀비 07-20 81
75 금값 상승 눈여겨 봐야 할거 같네요. + 3 슈퍼옹굴리 07-21 79
74 일본재계"한국 불매운동 오래안가" file + 1 투구왕 07-24 55
73 수도권 제외 지방 아파트 가격 순위 file + 6 ROG 07-24 103
72 "삼성·하이닉스는 화웨이 아니다"..국제사회에 日비판론 '비등' + 2 양귀비 07-25 335
71 삼성은 日에 발목잡혔는데..5나노·3나노 치고나가는 대만업체 양귀비 07-25 113
70 백색국가 제외시 韓기업, 서약서 내야..수입방법·용도도 '트집' 양귀비 07-25 94
69 좋은 전략? 을 구사하다 file + 1 회탈리카 07-26 331
68 '일본여행 보이콧'..오만한 아베의 허를 찔렀다 + 2 양귀비 07-26 339
67 일본갈등이후 제주도가 뜨네요 + 5 슈퍼옹굴리 07-27 347
66 제주도 경제 포럼 부동산 관련 맛없는비스킷 07-30 89
65 자영업 다 망한다던 사람들, 틀렸습니다. - 기레기들 반성합시다.- file + 2 순대랠라 08-01 316
64 일본 석탄재 file + 1 회탈리카 08-01 302
63 아베 최측근 "불매운동? 반드시 한국에 돌아간다" 라고? file + 2 투구왕 08-01 331
62 유니클로 매출 한 달 새 40% 급감.."이번엔 다르다" + 4 양귀비 08-01 321
61 日 '실리콘' 웨이퍼 뛰어넘는다.."빠르고 전력 절감" + 2 양귀비 08-01 346
60 일본제품 불매 한 달…시장 어떻게 달라졌나 + 5 qkfka 08-02 347
59 원달러 환율 '미중 무역전쟁 재점화' 7원 급등 + 1 qkfka 08-02 301
58 원 달러 환율이 앞으로 30일 간 30원 까지 급등할 것 + 3 동무 08-04 309
57 올해 자동차 수출액 4년 만에 최대 + 2 동무 08-04 316
56 환율 1210원 뚫고, 코스닥 급락에 '사이드카'…금융시장 요동 + 3 스톨게 08-05 313
55 日지자체, 韓관광객 줄까 노심초사..韓항공사에 노선유지 '읍소' + 5 양귀비 08-06 338
54 환율 불안에 구두개입 나선 기재부, 증시 불안 진화 나선 금융위… 정부 ‘총력전’ + 2 qkfka 08-06 303
53 박영선 “8년 전 묻힌 ‘텐나인’ 불화수소 중소기업 어떻게든 살리고 싶다” + 5 qkfka 08-06 329
52 유니클로 부진 틈 타… 발열내의ㆍ다운점퍼 판매 앞당긴 토종 브랜드 + 4 qkfka 08-06 383
51 “日보복 위기를 기회로 바꾸자” 최태원 회장도 비상회의 + 1 qkfka 08-06 308
50 [단독] 삼성, 모든 반도체 소재 '脫일본' 플랜 + 6 양귀비 08-07 323
49 2030 직장인 2명 중 1명 "인생 이모작 준비 중" file + 3 dukhyun 08-07 320
48 일본 제조업 근황~~ file + 4 민지민아 08-09 343
47 삼성 6400만화소 이미지센서 中샤오미 탑재..'日소니 추격' + 3 양귀비 08-10 327
46 개빡친 일본 반도체 소재 기업 file + 5 회탈리카 08-10 369
45 "삼성, 벨기에서 최대 10개월치 반도체 소재 확보" + 2 동무 08-11 314
44 현대경제연 "한국 잠재성장률, 2026년이후 1%대로 하락" + 6 동무 08-11 313
43 日정부 주도 탄생 재팬디스플레이의 '자금 위기' + 4 양귀비 08-13 330
42 서머스 "세계경제, 금융위기 이후 최대 위기" + 5 호재꾼 08-13 329
41 '아베의 나비효과' 징용→반도체→후쿠시마..전방위 日 압박 자초 + 2 양귀비 08-15 335
40 숫자로 본 日 불매운동..."끝까지 간다" / YTN + 2 나루니 08-17 329
39 삼성보다 먼저 '폴더블폰' 큰소리치더니"..결국 꼬리 내린 화웨이 + 2 덕애 08-19 315
38 일본에 허 찔린지 한달반.. '불화수소 독립' 연말 판가름 + 2 덕애 08-19 338
37 탄소섬유, 일본 맞설 '국대'로 키우려면…'국가사업화' 관건 + 1 덕애 08-19 332
36 [단독]日 100% 의존한 폴더블폰·롤러블TV 핵심소재 '국산화' 성공 + 1 양귀비 08-20 314
35 '전 직원 유급휴가 검토'?..유니클로 "사실 아니다" 해명 file + 2 dukhyun 08-20 318
34 미국에서 나온, 주주자본주의 시대의 종언 file + 3 순대랠라 08-20 334
33 아베의 오판, 7월 수출감소 한국의 70배 OVER! + 8 순대랠라 08-23 387
32 日, 수출 감소폭 韓 보다 46배 컸다 file + 4 dukhyun 08-24 309
31 '지소미아 종료' 더 뜨거워지는 불매.."일본 여행 사라졌다"(종합) + 2 띠로링 08-24 321
30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1부 돈은 빚이다 + 3 호신 08-25 321
29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2부 소비는 감정이다 + 2 호신 08-25 289
28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3부 금융지능은 있는가 + 2 호신 08-25 306
27 [단독] 日 정부, 불화수소 수출조건 내세워 삼성전자 첨단공정 자료요구 file + 8 순대랠라 08-26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