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 김철호(사진) 내고향씨푸드 대표는 과거 수협을 박차고 나와 갈비를 주 메뉴로 한 ‘계곡가든’을 열었다. 하지만 당시 밑반찬으로 나오던 꽃게장이 높은 인기를 누리는 것을 목격한 후 꽃게장 연구에 돌입했다. 현재 그는 꽃게장 사업을 통해 연 수십억원대 매출을 올리고 있다. [사진=박미나 기자] ⓒ스카이데일리

“우리나라 인기 밑반찬인 꽃게장을 앞세워 중국 시장도 정복할 생각입니다”
 
김철호(59) 내고향씨푸드 대표는 지난 2007년 대한명인협회로부터 ‘꽃게장 명인’으로 선정됐을 만큼 관련 분야에서 입지전적의 인물로 평가된다. 김 대표는 지난 1993년부터 꽃게장 사업에 뛰어들어 다양한 상을 수상하고 제조특허도 받았다.
 
군산의 야미도라는 섬에서 어부의 아들로 태어난 김 대표는 2살 때부터 어머니가 만들어 준 꽃게장을 맛보며 자랐다. 고등학교 시절 그림으로 성공하고 싶다는 생각에 미대에 진학했다. 하지만 졸업 후 그가 사회생활에 첫 발을 내딛은 곳은 군산수협이었다. 그곳에서 어장관리와 지도업무 등을 맡았다.
 
수협에서 일하던 그는 수산물을 가공해 부가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보고 지난 1990년 수협에서 나와 당시 퇴직금 570만원으로 수산물 관련 사업을 준비했다. 사업 준비에 한창 열을 올리던 그 때 폭우로 자재가 전부 떠내려가는 사건이 벌어졌다. 결국 그는 지인들에게 돈을 빌려 갈비를 주 메뉴로 한 ‘계곡가든’을 열었다.
 
기존 식당 반찬을 주메뉴로…어머니 맛 단점 극복하기 위해 꽃게장 연구만 3년 매진
 
처음 문을 열고 약 3년여 동안 ‘계곡가든’은 호황을 누렸다. 그러나 김 대표는 거기서 만족하지 않았다. 한창 장사가 잘되던 가게의 메인 메뉴 변경을 시도했다. 그가 선택한 메뉴는 바로 ‘꽃게장’이었다.
 
“3년 동안 호황을 누리면서 손님들에게 보답할 요량으로 꽃게장을 반찬에 추가했죠. 하지만 반찬으로 나간 꽃게장 반응이 폭발적이었어요. 꽃게장 리필하느라 일손이 모자랐죠. 손님들이 갈비를 먹으러 온 건지 게장을 먹으러 왔는지 착각이 들 정도였어요”
 
 ▲ 김 대표는 게장을 연구하며 무색소·무방부제 원칙을 고수했다. 이후 한약재를 활용한 요리법으로 꽃게장의 맛을 살리면서 그만의 비법을 갖게 됐다. ⓒ스카이데일리

게장 사업에 뛰어든 김 대표는 게의 생태 연구와 함께 한의학 관련 서적을 읽으면서 관련 지식 습득에만 꼬박 3년을 투자했다. 이 때 어릴 적 먹던 어머니의 게장에서 힌트를 얻었다. 맛있게 먹긴 했지만 어머니의 게장에서 단점을 찾아 이를 극복해 나간 것이다.
 
“어머니의 꽃게장은 첫째로 너무 짰어요. 냉장고가 없었기 때문에 짜지 않으면 빨리 상해 어쩔 수 없이 짜게 만들었을 거예요. 둘째는 비린내가 문제였죠. 마지막으로 게장의 색감에도 신경 쓰고 싶었어요. 방부제를 사용하면 고민이 수월하게 해결됐겠지만 무색소, 무방부제 원칙을 고수하고 했죠”
 
“그러다가 대학시절 동양화를 그리면서 단청을 그릴 때 재료에 송진가루를 넣으면 곰팡이가 생기지 않으면서 착색이 잘 된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랐어요. 이후 방부효과가 있는 재료를 자연 숙성 양조간장에 희석시켜야 한다는 사실을 깨달았죠. 결국 한약재에서 정답을 찾았어요”
 
김 대표는 짠맛과 비린내를 잡기 위해 간장과 딤파리, 멸치육수, 고추씨, 생강, 마늘, 1년 이상 발효된 생 젓국, 당귀·감초, 정향 등 한약재로 발효시킨 장국을 중불로 달였다. 이를 흐르는 물에 급속 냉각시켜 꽃게에 부었다. 같은 작업을 3일간 3번 가량 반복하면서 깊은 맛을 냈다.
 
이러한 노력 끝에 김 대표는 짜지 않으면서 비린내도 없고 떫지도 않은 주황색 알과 우윳빛 속살을 가진 꽃게장을 만들어냈다. 김 대표는 1993년 기존 계곡가든의 이름을 ‘계곡가든 꽃게장’으로 바꾸고 식당을 운영했다.
 
꽃게장 개발 후 식당 운영 통해 가능성 확인…기업화 이후 중국시장에도 진출
 
김 대표가 운영하는 식당은 1320㎡(약 399평) 면적에 4인실 8개, 8인실 4개, 12인실 3개, 20인실 2개, 60인실, 100인실 등을 갖춘 대규모다. 이곳에는 159㎡(약 48평)의 ‘꽃게 홍보관’과 1만890㎡(약 3294평) 부지에 주차장, 휴게시설도 있다.
 
“연휴 때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손님이 오곤 해요. 대기하는 경우가 다반사죠. 대기 인원이 너무 많아서 일부 손님들을 그냥 발길을 돌릴 때도 있어요. 어렵게 찾아온 손님들을 위해 어떻게든 모시고 싶은데 그렇지 못할 때 참 마음이 아파요”
 
식당 운영을 통해 꽃게장 품질에 자신감을 얻은 김 대표는 지난 1997년 지금의 내고향씨푸드의 전신인 ‘내 고향 꽃게랑’을 설립했다. 그는 1998년 국내 최초로 꽃게장을 TV홈쇼핑에 선보였고 방송 50분 동안 1억3000만원어치를 팔아치우는 진기록을 세웠다. 
 
 ▲ 김 대표는 지금까지 성장에 안주하지 않고 더 높은 목표를 향해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향후 종합 수산물 식품 기업을 일궈내기 위해 지금도 고군분투 중이다. 사진은 시계방향으로 계곡가든 꽃게장 전경, 꽃게장, 요리 연구 중인 김철호 대표 모습 [사진=내고향씨푸드]

이후 김 대표는 △2001년 중소기업청 벤처 인증 취득 △2002년 게장과 간장 소스 제조 방법 관련 국내 최초 특허 획득 △2003년 한국표준협회 ‘으뜸이’ 상표 인증 △2004년 ‘자랑스런기업인상’ 수상 △2005년 ‘내고향씨푸드’ 법인명 변경 △2007년 대한명인협회 ‘꽃게장 명인’ 및 해양수산부 ‘신지식인’ 선정 △2008년 대통령 산업포장 수상 등의 과정을 거치며 사업을 키워나갔다. 현재 그가 이끄는 내고향씨푸드는 수십억원의 연매출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2014년 7월에는 중국 수출을 위한 수산물 생산·가공시설 등록증을 취득하기도 했다. 그 후 중국 상하이 소재 지우광(久光) 백화점을 비롯한 다양한 업소에 ‘내고향씨푸드’ 일체의 상품에 대한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개업 이래 단 하루도 쉬지 않고 식당과 회사를 운영해 온 김 대표는 지금도 큰 꿈을 향해 전진하고 있다. 그는 꽃게장 사업에 머무르지 않고 지금의 기업을 종합 수산물 회사로 키워낼 목표를 가지고 있다.
 
“꽃게장 이외에 다른 수산물을 활용한 다양한 식품 개발을 계획하고 있어요. 지금도 실험은 계속하고 있죠. 우리 한방 재료와 같은 자연 재료를 활용해 약이 되는 먹거리를 많이 만들고 싶어요”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웃기는놈

2017.06.13 13:30
가입일: 2017:05.13
총 게시물수: 16
총 댓글수: 2192

성공하길 빕니다

profile

AlwaysUnI

2017.06.14 02:56
가입일: 2016:04.26
총 게시물수: 333
총 댓글수: 851

기원합니다..

profile

ekfskfk

2017.06.14 17:22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52

대박나시기를 기원합니다

profile

시장돌이

2017.07.06 03:45
가입일: 2016:10.17
총 게시물수: 7
총 댓글수: 127

터닝포인트를 놓치지 않았네요

profile

달대감

2017.08.09 07:24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14

일단 맛을 봐야 맛을 알지..

profile

대공

2017.08.30 18:22
가입일: 2018:11.01
총 게시물수: 26
총 댓글수: 1150

잘 읽어 봅니다

profile

까리뚜마

2017.10.02 06:23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441

대박 나세요

profile

이담

2017.10.28 11:10
가입일: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485

대박나시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8 '비트코인 선물' 국내 거래 금지...비트코인 가격엔 영향없어 + 6 밀키웨이 12-06 118
97 인도서 대박친 한국 사업가 제품 + 10 kainkim 04-21 120
» 미대 출신 예술적 감각으로 환상의 맛 표현하죠.... + 8 나연파파 06-13 124
95 <가상화폐 관련> 암호화폐는 어떻게 가치가 있는지? (투자의 소신을 키우기 위한 글) + 6 도우너너 01-22 126
94 국제적으로 부동산 거품터질 위기?? file + 14 회탈리카 01-13 126
93 새 '유통 괴물' 식자재마트? 알고도 한숨만 느는 전통시장 양귀비 06-28 128
92 6년 만에 부활한 당뇨 전용보험 + 6 행운아 08-01 135
91 [알면 돈되는 부동산 상식] 토지 투자때 '4대 서류' 필수체크 file + 1 오즈매냐 07-01 135
90 2018년 비트코인 1억의 투자가치 근황 file + 7 회탈리카 12-27 138
89 서울 9억 아파트 대출, 4억4200만원→ 2억4100만원 + 6 행운아 08-04 143
88 소비자 외면에 남양유업 현금창출력 ‘반토막’ file + 7 히라사와_유이 05-02 149
87 4년 적자를 초우량 기업으로..삼성바이오 '분식회계의 마법' file + 8 히라사와_유이 05-04 150
86 최저임금 이야기 나올때마다 생각나는 만화 file + 9 회탈리카 07-19 153
85 고구려의 약탈경제란 file + 3 회탈리카 06-20 155
84 로또 810회 1등 당첨 8명…당첨금 22억원씩 앙겔리아 06-10 176
83 휴면계좌 조회 사이트 + 16 낙장불입 07-04 178
82 KT-SK텔레콤-LG유플러스 “데이터 요금 과도하게 비싸” + 13 밀키웨이 12-06 182
81 [금리인상 예고] 대전환의 시대…'유동성 잔치' 끝나고 '긴축의 고통' 온다 + 17 행운아 10-22 184
80 [2019예산안]전기차 보조금 내년 더 줄어들듯 + 5 짐쿨 03-26 184
79 1천억짜리 수표 file + 5 과일집 05-19 193
78 U+ 로 월 4만원에 데이터 , 음성 , 문자 무제한 쓰는 팁! + 10 피터노다 10-02 198
77 파란색 번호판이 수소차에.... + 17 건강하고행복하게 07-05 205
76 일본 관광산업의 한국인 의존도 file + 14 회탈리카 07-15 217
75 공무원 평균 연봉 6264만원 + 8 짐쿨 04-25 237
74 역대급 무역 적자 vs 역대급 돌직구 file 회탈리카 04-02 241
73 65세 이상 어르신, 안전교육 받으면 車보험료 깎아준다 + 12 티오피 06-08 254
72 무조건 30시간치 수당 달라"…현대차 노조 또 '황당 요구 file 회탈리카 12-11 260
71 [씨티에 무슨 일이] 지점 80% 문 닫겠다 선언 + 10 백수건달 04-30 262
70 불매 꺾은 세일' 일본차 10월 판매량 '껑충 file 회탈리카 11-05 263
69 [단독]MB때 자원투자그룹, 코링크PE 주도·운용했다. file 순대랠라 10-08 268
68 BBQ 근황...ㅋㅋ + 20 흐른 06-20 270
67 택시업계 근황 file 회탈리카 12-29 274
66 세계 무역8위 도약 file 회탈리카 01-02 274
65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2부 소비는 감정이다 + 2 호신 08-25 279
64 1880억원 횡령 오스템 직원, 금괴 수백억원어치 샀다 file + 1 회탈리카 01-05 285
63 원달러 환율 '미중 무역전쟁 재점화' 7원 급등 + 1 qkfka 08-02 293
62 환율 불안에 구두개입 나선 기재부, 증시 불안 진화 나선 금융위… 정부 ‘총력전’ + 2 qkfka 08-06 295
61 “日보복 위기를 기회로 바꾸자” 최태원 회장도 비상회의 + 1 qkfka 08-06 296
60 코스피 2000 회복 file + 5 revo 09-05 296
59 [WTO 한일 소송] WTO 한일 공기압밸브 반덤핑 분쟁 韓 승소…'이변은 없었다' file + 3 순대랠라 09-11 296
58 日, 수출 감소폭 韓 보다 46배 컸다 file + 4 dukhyun 08-24 297
57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3부 금융지능은 있는가 + 2 호신 08-25 297
56 "밀레니얼 직원이 불행하면, 인사관리는 실패한 것" + 2 호재꾼 11-13 298
55 [백척간두에 선 보험산업(上)] 韓보험업 70년만에 첫 `역마진 쇼크` + 5 호재꾼 11-14 299
54 환율 1210원 뚫고, 코스닥 급락에 '사이드카'…금융시장 요동 + 3 스톨게 08-05 300
53 日 제치고 은나노 국제표준 '역전승'…그래핀도 韓 표준안 채택 file + 4 ROG 09-04 300
52 도쿄올림픽 준비... 5G 기술은 삼성, 8K 생중계는 LG패널 공식채택 file + 4 회탈리카 09-30 301
51 일본 석탄재 file + 1 회탈리카 08-01 302
50 삼성보다 먼저 '폴더블폰' 큰소리치더니"..결국 꼬리 내린 화웨이 + 2 덕애 08-19 303
49 카드 결제 영수증 발급 비용 1년에 500억 든다! file + 3 손뉨 10-01 303
48 올해 자동차 수출액 4년 만에 최대 + 2 동무 08-04 304
47 반도체 산업 일본의 행복회로와 현실 file + 3 회탈리카 11-08 304
46 "삼성, 벨기에서 최대 10개월치 반도체 소재 확보" + 2 동무 08-11 305
45 산업부 " 10월 말 브렉시트 이전에 한.영 FTA 비준절차 완료" file + 1 순대랠라 09-09 306
44 '백색국가서 日 제외' 오늘 시행.."국제공조 어려운 국가" + 1 양귀비 09-18 306
43 현대경제연 "한국 잠재성장률, 2026년이후 1%대로 하락" + 6 동무 08-11 307
42 GTX-A노선, 이르면 이달말 터널공사 착수 file + 3 dukhyun 09-14 307
41 日맥주 편의점 납품가 최대 30% 낮춰 file + 3 회탈리카 11-05 307
40 원 달러 환율이 앞으로 30일 간 30원 까지 급등할 것 + 3 동무 08-04 308
39 2030 직장인 2명 중 1명 "인생 이모작 준비 중" file + 3 dukhyun 08-07 309
38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제1부 돈은 빚이다 + 3 호신 08-25 309
37 [단독]日 100% 의존한 폴더블폰·롤러블TV 핵심소재 '국산화' 성공 + 1 양귀비 08-20 310
36 '지소미아 종료' 더 뜨거워지는 불매.."일본 여행 사라졌다"(종합) + 2 띠로링 08-24 310
35 '전 직원 유급휴가 검토'?..유니클로 "사실 아니다" 해명 file + 2 dukhyun 08-20 311
34 자영업 다 망한다던 사람들, 틀렸습니다. - 기레기들 반성합시다.- file + 2 순대랠라 08-01 312
33 숫자로 본 日 불매운동..."끝까지 간다" / YTN + 2 나루니 08-17 316
32 [팩트체크] 문재인 정부가 증시를 망쳤다고? file + 5 순대랠라 09-06 316
31 유니클로 매출 한 달 새 40% 급감.."이번엔 다르다" + 4 양귀비 08-01 317
30 [단독] 삼성, 모든 반도체 소재 '脫일본' 플랜 + 6 양귀비 08-07 317
29 서머스 "세계경제, 금융위기 이후 최대 위기" + 5 호재꾼 08-13 317
28 아베 최측근 "불매운동? 반드시 한국에 돌아간다" 라고? file + 2 투구왕 08-01 318
27 삼성 6400만화소 이미지센서 中샤오미 탑재..'日소니 추격' + 3 양귀비 08-10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