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
작성자: 나그네량 조회 수: 15 PC모드
2019년 4월3일 국내 통신3사는 삼성전자 첫 5G 스마트폰 ‘갤럭시S10 5G’ 1호 가입자를 탄생시키며, 세계최초 5G 상용화의 종을 울렸다. 5G는 LTE보다 최대 20배 빠른 속도를 구현하고, 1~4ms의 초저지연을 가능케 한다. 이에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을 기반으로 파생되는 4차 산업혁명에도 시동을 걸었다. 자율주행차‧스마트팩토리 등 다양한 산업을 통한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고, 이는 곧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5G망을 쥐고 있는 통신3사 경쟁에도 불이 붙었다. 이와 관련 <디지털데일리>는 5G를 선점하기 위한 통신3사 경쟁구도를 조망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편집자주>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초기 5G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통신3사 주도권 쟁탈전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당장 눈앞에 놓인 커버리지 및 5G 단말 가입자 확보부터, 새로운 수익모델을 창출하기 위한 5G 기반 기업(B2B) 서비스 발굴까지 패권다툼은 이어지고 있다.
우선, 현재 통신3사가 가장 주력하는 부분은 5G 가입자다. 5G는 통신3사가 시장 내 순위를 바꿀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보통 이용자는 2년 약정으로 스마트폰에 가입하는데, 초반 5G 시장이 향후 2년 이상을 좌우하게 된다. 지키려는 자, 뺏으려는 자가 뒤섞여 5G 가입자 모집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일단, KT 선제공격으로 5G가 상용화되자마자 무제한 데이터 시대가 열렸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속도제어(QoS)를 적용한 5G 요금제를 내놓았으나, KT가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포문을 열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뒤이어 무제한 요금제를 출시했다. KT에 5G 가입자가 몰리는 상황은 막아야 한다는 판단이다.
갤럭시S10 5G와 LG전자 5G 스마트폰 ‘V50씽큐’ 공시지원금도 상향됐다. 이례적으로 5G 단말에서는 25% 선택약정할인보다 높은 공시지원금이 적용되고 있다. 통신사는 V50씽큐 출시 직후 최대 77만3000원까지 지원금을 책정했다. 갤럭시S10 5G도 마찬가지다. KT는 갤럭시S10 5G 지원금을 최대 78만원까지 올렸고, LG유플러스도 최대 76만5000원까지 높였다.
통신3사는 임직원 대상으로 5G 단말 지원 정책과 가입자 유치 프로모션을 내걸며 내부 직원부터 5G 단말 교체를 유도하고 있다. 이에 더해 시장도 과열되고 있다. V50씽큐는 한 때 공짜폰을 넘어 현금을 도리어 받고 구매하는 마이너스폰으로 전락하기도 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차별적 지원금을 우려하며 통신3사 임원을 불러 경고 조치했다.
5G 설비투자(CAPEX)는 올해뿐 아니라 향후에도 지속돼야 하는데, 무선매출 감소를 겪고 있는 통신사 입장에서는 출혈경쟁으로 비춰질 수 있다. 그럼에도 5G 가입자 확보에 혈안이 된 이유는 5G 시장도 규모의 경제가 작용되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품질 논란도 터져 나왔다. 세계최초 상용화 타이틀을 차지하기 위해 무리하게 출시 일정을 앞당기고, 가입자 확대에 따라가지 못한 커버리지도 한몫했다. 물론, 5G 초기 시장인 점을 감안해야 한다. 특히, 통신사는 노키아 등 일부 5G 장비사 공급문제도 해결해야 하고 최적화 작업도 더 진행돼야 한다. 통신3사 최고경영자(CEO)는 이용자 불만을 인지하고, 품질향상과 전국망 구축에 전사적 역량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용자들은 5G 속도가 기대 이하고, LTE 전환이 잘 이뤄지지 않고, 5G가 터지지 않는 지역이 많다는 점을 불만 사항으로 꼽고 있다. 이에 통신3사 중 누가 가장 먼저 5G 커버리지를 확보하는지도 쟁점이다. 통신3사 모두 5G 커버리지 지도를 공개했으며, 연말까지 80% 이상 5G 커버리지를 확보하고 다음 달까지 품질 안정화를 이루겠다는 방침이다.
소비자들이 5G를 체감할 수 있는 콘텐츠도 마련돼야 한다. 이는 통신사의 새로운 먹거리로도 이어진다. 통신3사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홀로그램 등 실감형 미디어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프로야구 등 스포츠와, 게임도 넘나들고 있다. 여기에 더해 커넥티드카,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등 5G 기반 B2B 시장 진출도 꾀하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통신3사가 진행하는 5G 콘텐츠와 서비스들이 비슷한 측면이 많아 차별화를 더 꾀해야 하는 상황이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