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profile 돈 없는 정부 돈이 문제로다

작성자: 티오피 조회 수: 40 PC모드

2012년 12월. 18대 대통령에 오른 박근혜 전 대통령은 다음과 같은 약속을 했다. “국민 100%를 위한 정치를 하겠다” “민생을 살려 중산층 비중을 70%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 “행복한 세상을 만들겠다”…. 하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국민은 좌절에 빠졌다. 문재인 대통령, 그에게 ‘공약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국민은 약속에 예민해졌고, 문 대통령을 향한 기대치도 높기 때문이다.

▲ 재원을 마련하지 못하면 공약을 이행하기 어렵다. 이는 문 대통령을 압박하는 또다른 변수다.[사진=뉴시스]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를 만들겠다는 열정으로 가슴이 뜨겁다. 신명을 바쳐 일하겠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사의 일부다. 취임식은 당선의 기쁨을 누리는 자리가 아니었다.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겠다고 다짐하는 자리였고, 최소한의 의례로 끝냈다. ‘일하러 왔으니 일 하겠다’는 뜻을 확실히 보여준 셈이다.

‘대통령 직속 국가일자리위원회 설치하고 청와대에 일자리 상황실을 만들라.’ 지난 10일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후 가장 처음으로 했던 업무지시다. 대선 기간 강조해왔던 1호 공약을 곧바로 추진하겠다는 거다. 현실을 제대로 직시한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대한민국 경제는 지금 벼랑에 몰려 있다.

청년실업률(15~29세)은 4월 기준으로 11.2%로 역대 최고치(통계청)다. 실제 청년실업률은 34%를 넘는다는 조사결과(20 16년 현대경제연구원)도 있다. 대ㆍ중소기업 임금격차는 62.9%(고용노동부ㆍ2016년 임금총액 기준)에 달한다. 자영업 생존율은 30.8%(국세청ㆍ창업과 폐업 단순 비교)에 불과하다. 특히 대출금리가 0.1% 포인트 오를 때 자영업 폐업위험도는 7〜10.6 % 상승(한국은행)했다.

1344조원(한국은행ㆍ2016년 기준)에 달하는 가계부채는 시한폭탄이 된 지 오래다. 올해 1월 국제통화기금(IMF)에서는 “한국의 가계부채는 20년 전 일본의 부동산버블 때보다 위험한 상황”이라 경고하기도 했다. 기업도 죽을 맛이다. 2016년 수출액은 전년보다 5.9% 감소(산업통상자원부)했다. 자동차ㆍ선박ㆍ석유제품 등 주요 산업의 수출이 죄다 줄었다. 여기에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ㆍT HAAD) 배치와 통상외교를 둘러싼 미국ㆍ중국발 외부변수까지 있다. 이런 상황들을 인지하고 있는 만큼 문 대통령도 발 빠른 행보를 보일 수밖에 없지 않겠냐는 거다.

눈여겨볼 점은 문 대통령이 추구하는 해법은 그간 역대 정부가 해왔던 방향과는 사뭇 다르다는 것이다. 사실 IMF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는 각종 규제완화, 통상개방, 민영화, 노동시장 유연화 등을 표방했다. 정부 역할을 줄이고 민간기업의 경제성장을 도모하는 정책들이다.

반면 문 대통령은 공공부문 확대, 복지 확대, 정부의 시장 개입, 노동권 강화 등을 강조한다. 정부 역할이 커지는 만큼 재정지출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문 대통령이 재정지출 증가율을 현재 연평균 3.5% 수준에서 7%로 2배 늘리기로 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경제정책의 큰 틀을 바꾸려 한다는 얘기다.

재원 없으면 공허해질 공약들

일단 시장의 반응은 좋다. 대선 이후 코스피는 연일 사상최고가를 기록 중이다. 11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26.25포인트(1.16%) 오른 2296.37로 마감했다.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문 대통령이 추진하는 기업 지배구조 개선, 4차 산업혁명 육성, 친환경 에너지 확대 정책의 수혜 업종들이 오름세를 보였다.

하지만 과연 장밋빛 전망만 있을까. 아니다. 문 대통령의 경제정책에 큰 걸림돌이 있어서다. 바로 재원이다. 문 대통령의 공약들은 보면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정책들이 꽤 많다. ‘공공부문 중심 일자리 81만개 창출(5년간 21조원)’ ‘청년구직촉진수당(연 4500억원)’ ‘출산수당(연 4800억원)’ ‘기초연금 확대(연 4조4000억원)’ ‘아동수당 도입(연 2조6000억원)’ 등이 대표적이다.

문 대통령이 추산한 공약 이행에 필요한 재원 총액만 해도 5년간 약 178조원이다. 박근혜 정부가 공약 가계부에서 밝힌 필요 재원 총액보다 43조원이나 더 많다. 어떻게 이 많은 돈을 끌어 모을 것인지가 문 대통령 경제정책의 핵심인 셈이다.

문제는 재원마련 방안이 명확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대선 기간, 경쟁후보들로부터 재원마련 방안을 놓고 가장 많은 공격을 받았던 것도 이 때문이다. 물론 기본적인 방향성은 있다. ‘재정개혁(112조원)과 세입개혁(77조원)’을 통해 마련하겠다는 거다. 그러나 방향성일 뿐이다. 389페이지에 이르는 방대한 공약집에서 재원마련 방안 페이지는 고작 2페이지이고, 수치상으로 기재된 내용은 1페이지에 불과하다.

어디서 어떻게 얼마를 마련하겠다는 내용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다양한 방법론을 고민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예컨대 단순히 소득세와 법인세를 인상하겠다는 계획만 내놓을 게 아니라 예상되는 반발을 어떻게 잠재우고 설득할 것인지가 함께 나와야 한다는 거다. 복지를 하겠다면서 재원을 마련하지 못해 공약을 내팽개쳐버린 박근혜 정부의 전철을 밟을 수도 있다는 우려는 결코 기우가 아니다.

재원 대책이 文 평가기준 될 것

특히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공기업 부채 등을 제외한 순수 정부부채만 올해 기준으로 683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40.4%에 달한다. 아무리 선진국 대비 부채 수준이 낮은 편에 속한다는 주장을 받아들인다 하더라도 무작정 정부부채를 늘릴 수는 없다. 차기 정부에도 부담을 줄 수 있고, 정치공세의 빌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국채발행은 최후의 보루다.

문 대통령의 적극적인 행보에 국민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명확한 재원마련 대책을 구체적으로 내놓지 못하고 주먹구구식으로 대처한다면 큰 기대만큼 국민의 실망도 커질 것이다. 그러면 정책 추진력도 약해진다. 국민은 그런 걸 원하지 않는다. 더구나 국민이 문재인 정부에 바라는 기대치는 ‘박근혜 정부보다 나은 정부’가 아니다. 문 대통령의 취임사 구절처럼 “지금껏 경험해보지 못한 정치”를 원한다. 문 대통령이 5년간 곱씹어야 할 말이다. 



http://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502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웃기는놈

2017.05.25 01:24
가입일: 2017:05.13
총 게시물수: 16
총 댓글수: 2192

간단하게 더 걷고 더 받는게 최선입니다.

profile

홀링홀

2017.11.28 20:17
가입일: 2016:11.08
총 게시물수: 68
총 댓글수: 3620

지하경제와 탈세만 잡아도 그돈으로 충분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85 10월 12일자 장도리 file 회탈리카 10-13 41
684 7월 20일자 장도리 file + 1 회탈리카 07-20 41
683 남북, 최전방 확성기 철거 완료···'판문점선언’ 첫 이행 file + 5 히라사와_유이 05-05 41
682 환율조작국 지정 '급한 불'은 껐지만…불씨는 여전 file + 2 따봉 10-18 41
681 '내가 안찍어도 문재인 될텐데' 심상정에 몰리는 진보층 백수건달 04-27 41
680 팩트체크 중앙일보 전직기자 양심고백 파문..노건호·용산참사 허위기사 논란 카피닌자 07-08 40
679 야당 경찰 "'패스트트랙 몸싸움' 고화질 영상 확보..의원들 곧 조사"(종합) 하늘로 06-25 40
678 야당 황교안 '아들 스펙 발언 논란'에 "강의한 것 잘 보고 이해해달라" ppmle 06-23 40
677 나베의 눈물? file + 1 순대랠라 05-30 40
676 [단독] '명품 소총'이라던 K-11..결국 '백지화' 가닥 양귀비 05-28 40
675 박근혜정부와 문재인정부의 가계소득차이 + 4 bestam 05-27 40
674 나라가 점점 재앙이네요 + 4 bestam 05-27 40
673 5월 8일 지구촌 뉘~우스 file + 1 회탈리카 05-09 40
672 ~ ~ 줄 모르고 file + 2 발윤주 05-07 40
671 4월 25일자 장도리 file 회탈리카 04-25 40
670 3월 22일자 장도리 file + 3 회탈리카 03-22 40
669 나경원] 일본으로 보냅시다. + 2 순대랠라 02-10 40
668 경북 시군의회 의장 십팔명 오늘 저녁 베트남 연수 떠남 file + 1 회탈리카 01-10 40
667 LA에서 열린 태극기 집회 참석한 조원진 file + 1 회탈리카 10-07 40
666 7월 11일자 장도리 file + 2 회탈리카 07-11 40
665 안철수의 대한민국 헌법 부정 file + 4 피터노다 10-02 40
» 돈 없는 정부 돈이 문제로다 + 2 티오피 05-24 40
663 정치시사 정치권 8·15 맞아 “선조들 광복이뤘듯, 일본 경제도발 당당히 극복” qkfka 08-15 39
662 야당 국회 가동되자 초조한 자유한국당, 내부서 ‘조건 없는 등원’ 목소리 확산 하늘로 06-28 39
661 대구경찰 ‘청소차 발판 오른 황교안 고발사건’ 수사 file 호박꽃 05-31 39
660 5월 16일자 장도리 file 회탈리카 05-15 39
659 4월 22일자 장도리 file + 2 회탈리카 04-22 39
658 대한항공 상속세 file + 4 발윤주 04-10 39
657 자유당이 극렬 반대하는 것. 002 + 1 순대랠라 03-09 39
656 김성태 '여론공작 수사' 주장. 댓글 팩폭! + 2 순대랠라 02-01 39
655 여성폭력방지법의 대상에서 남성이 빠진 과정 file 회탈리카 12-27 39
654 자화자찬 남발 file 회탈리카 11-10 39
653 5층 좁은 창문의 비밀 file + 4 회탈리카 09-14 39
652 자~~ 알~~한~~당 근황 file + 1 회탈리카 09-04 39
651 [장도리] 2018년 8월 17일 file + 1 회탈리카 08-17 39
650 7월 26일 지구촌 뉘~우스 file + 3 회탈리카 07-27 39
649 7월 19일자 장도리 file + 1 회탈리카 07-19 39
648 7월 18일자 장도리 file + 1 회탈리카 07-18 39
647 지방선거 앙겔리아 06-10 39
646 어르신 공경(?)하는 국정원 file + 2 피터노다 10-02 39
645 팩트체크 北매체, 문재인-김정은 손잡은 사진 보도···남북관계도 다시 움직이나 미래 07-01 38
644 일반 6월 18일 지구촌 뉘~우스 file + 1 회탈리카 06-18 38
643 일반 6월 17일 지구촌 뉘~우스 file 회탈리카 06-18 38
642 장애인등록증에 '낙인', 이건 안될 일입니다 양귀비 06-09 38
641 '세월호 막말' 차명진 "4억1천만원 손배소송당해..이 순간 지옥" + 1 닝기리렁 06-04 38
640 오늘도 여전히 막말로 한건 해주시는 한국당~~ file 나루니 06-01 38
639 文대통령, 747일만에 인사수석 교체..국세청장·법제처장도 데브그루 05-28 38
638 518논란 종결자/북한특수부대장교출신 임천용씨의 폭탄발언 + 4 스톨게 05-22 38
637 4월 18일자 장도리 file + 2 회탈리카 04-17 38
636 3.1절 장도리 file + 2 회탈리카 03-01 38
635 친절한 현미씨 Op 02-17 38
634 2월 7일 지구촌 뉘~우스 file 회탈리카 02-08 38
633 [김용민의 그림마당]2019년 2월 1일 file + 2 발윤주 02-01 38
632 [펌] 아베입국/ 러시아 상황 전파. 이후 상황. + 1 순대랠라 01-24 38
631 1월 8일자 장도리 file + 2 회탈리카 01-08 38
630 11월 28일자 장도리 file + 1 회탈리카 11-28 38
629 개국 이틀째인 김성태TV file + 1 회탈리카 10-15 38
628 7월 24일자 장도리 file + 3 회탈리카 07-24 38
627 文대통령-트럼프, 백악관서 첫 만남 file + 2 Op 06-30 38
626 북한에 화난 중국…김일성 책임론까지 거론하며 맹비난 + 2 백수건달 05-05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