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
작성자: 구소롤 조회 수: 238 PC모드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명절과 가족의 의미가 흐려지고 있는 시대, 그래도 설날 아침 차례상을 준비하는 당신. 전통과 관습을 존중하며 세대간 화합과 가족의 평화를 위한 노력에 경의를 표한다. 베테랑 주부가 아닌, 만약 신혼 초이거나 어르신들이 돌아가신 후 처음으로 준비를 도맡았다면 자칫 '멘붕'이 올 수 있다. 긴장하지 말자. 전통적으로 내려온 어르신들의 차례상 차리는 방식 ·용어와 지방 쓰는 법, 차례 지내는 순서를 알아보자. 생소하겠지만, 그 속에 숨어 있는 의미를 알면 담박에 이해가 될 것이다.
▲차례상, 산 사람 식탁과 원리는 같다
차례상을 차리는 법도 곰곰이 뜯어 보면 우리가 평상시 식탁에 음식을 차리는 법과 다르지 않다. 밥과 국, 수저, 술잔을 먹는 사람 앞에 놓고, 손이 더 자주 가는 음식 순서대로 배치한다. 과일, 과자 등 후식은 나중에 먹으니 상 맨 끝에 놓는다. 그 다음 제사상 바로 앞 가운데에 모사 그릇과 향로, 향, 술 주전자 등을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신주를 기준으로 맨 앞 첫 줄엔 식사류인 밥ㆍ국을 놓고 그 앞에는 술잔을 놓는다. 모시는 조상님 숫자만큼 준비한다. 밥은 흰 쌀밥, 국은 무우국 또는 생선국 등 맑은 국물을 대체로 쓴다. 술은 정종이나 전통 소주 등 맑은 술로 쓴다. 식초와 간장은 종지에 담아 놓는다. 두번째 줄에는 구이와 전, 세번째 줄에는 탕 종류, 네번째 줄엔 나물, 김치 등 밑반찬류, 마지막 줄엔 과일과 과자 등을 놓는다.
추석차례상 지방쓰는법 / 사진=다음 백과사전 캡처
부침개는 고기 전, 생선 전, 구이는 조기, 쇠고기, 닭, 포는 어포, 육포 등을 준비한다. 어포는 그릇에 담을 때 등을 위로 가게 한다. 김치는 나박김치, 나물은 3색 나물, 과일은 짝수로 담는다. 모든 제사 음식에는 마늘, 후추, 고춧가루, 파 등 향신료를 쓰지 않고 간장ㆍ소금만 쓴다.격식을 좀더 따지는 집안에선 차례상의 방향도 본다. 북쪽으로 신위를 배치하고 남쪽에 서서 차례를 지낸다. 병풍을 준비해 신위를 붙이거나 없다면 신위를 세워 둔다. 나이든 어르신의 주도로 차례상을 차릴 때는 다음과 같은 용어도 미리 알아 두면 좋다.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색의 과실은 동쪽 흰색의 과실은 서쪽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좌포우혜 :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동두서미(東頭西尾) : 생선의 머리를 동쪽, 꼬리는 서쪽 ▲동조서율(東棗西栗) : 대추는 동쪽 밤은 서쪽 등이다. 또 제사 때는 밥은 '메', 국은 '갱', 숭늉은 '숙수', 구이는 '적', 부침개는 '전', 찌개는 '탕'으로 부른다. 차례상을 다 준비했다면 다음은 지방을 쓴다. 조상님 위패를 대신해 간편화한 것이 지방이다. 폭 6cm 길이 22cm의 한지를 준비한다. 오른쪽에 여성, 왼쪽에 남성을 쓴다. 제주와의 관계, 직위,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神位)라고 쓰면 된다. 앞에 현을 쓴 후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 고조부모는 '고조고(高祖考)', '고조비(高祖?)'라고 쓴다.
남자 조상은 벼슬의 이름을 쓰거나 없으면 '학생'(學生)을 쓴다. 여자 조상은 남편의 직위에 따라 정경부인(貞敬夫人), 정부인(貞夫人), 숙부인(淑夫人) 등의 호칭을 쓴다. 남편의 벼슬이 없으면 '유인'(孺人)이라고 쓴다. 고인의 이름은 남성은 모두 부군(府君), 여성은 본관과 성씨(예 : 김해 김씨)만 쓴다. 단 자식이나 동생은 이름을 쓴다.
예컨대 벼슬없이 돌아가신 할아버지의 경우 현조고학생부군**신위, 할머니는 현조비유인***씨신위 등으로 쓰면 된다.
▲차례 지내는 순서
차례상 양 옆의 초에 불을 붙인 후 향을 피우면 차례가 시작된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그다음에 제주가 직접 상 위의 잔에 술을 따른다. 떡국 혹은 송편 위에 올려 놓은 수저와 젓가락을 정돈하거나 다른 반찬으로 옮겨 놓는다. 잠시 공손히 서 있다가 수저를 거둔 후 모두 두 번 절을 한다. 지방을 불사르고 신주를 다시 모신다. 차린 음식과 술을 모두 같이 나눠 마신다. 단 음주 운전을 피하기 위해선 '음복'(飮福ㆍ제삿상에 놓았던 술을 나눠 마시는 것)은 금물이다.
제수 준비와 설거지 등 명절 노동을 형제 자매간에, 남녀간 공평하게 나누는 것이 요즘 추세다. 명절 증후군, 형제 자매간 갈등을 줄이기 위해선 필수다. 차례를 지낸 후엔 세배를 주고 받되, 취업이나 대입, 결혼, 출산 등과 관련해 가뜩이나 예민한 조카나 친인척들을 배려해 따뜻한 격려의 장을 마련하면 좋을 것이다. 괜히 관심있는 척하며 상처를 건드리지 말고 차라리 쿨하게 모른 척하는 게 정답이다.
제사와 차례를 모시는 사람들의 원조 격인 공자도 예(禮)를 애인(愛人), 즉 인(仁)을 실천하기 위한 행동규범이라고 했다. 예는 사람을 사랑하기 위한 방법이지 괴롭게 만들라는 게 아니란 뜻이다. 모두가 행복한 명절을 만들기 위해 서로에 대한 배려와 소통에 좀더 노력을 기울여보자.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