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profile 청력 상실 치료 가능성 열렸다

작성자: 덕애 조회 수: 56 PC모드

청력 상실 치료 가능성 열렸다"입력 2019.08.08. 15:57

자동요약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은 내이(內耳)의 달팽이관을 통해 소리의 진동이 전달돼야 들을 수 있다.

되츨호퍼 교수는 "액티빈 A와 폴리스타틴이 서로 반대로 작용하며 세포를 제어한다는 걸 알고 있다"면서 "(내이에선) 달팽이관 나선 구조를 따라 유모세포가 질서 있게 형성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두 단백질이 전구세포에 대해 균형 조절을 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쇄하기 새창열림
The copyright belongs to the original writer of the content, and there may be errors in machine translation results. 版权归内容原作者所有。机器翻译结果可能存在错误。 原文の著作権は原著著作者にあり、機械翻訳の結果にエラーが含まれることがあります。 Hak cipta milik penulis asli dari konten, dan mungkin ditemukan kesalahan dalam hasil terjemahan mesin. Bản quyền thuộc về tác giả gốc của nội dung và có thể có lỗi trong kết quả dịch bằng máy.
미 존스홉킨스대, 달팽이관 유모세포 발달 메커니즘 규명
생쥐 달팽이관의 유모세포(녹색)와 청각신경(붉은색) [존스홉킨스대 의대 되츨호퍼 랩 제공]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인간과 같은 포유동물은 내이(內耳)의 달팽이관을 통해 소리의 진동이 전달돼야 들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게 달팽이관의 코르티 기관에 존재하는 유모세포(hair cell)다.

음향 정보를 뇌에 전달하는 유모세포는 외측·내측 두 종으로 나뉘는데, 외측 모세포(1만2천~2만 개)가 내측 모세포(4천500개)보다 훨씬 많다. 각 유모세포에는 진동을 감지하는 머리카락 모양의 부동섬모가 10~300개 있다.

청력 상실은 유모세포의 손상이나, 뇌와 유모세포를 연결하는 청각 신경의 손상으로 생긴다. 하지만 주원인을 꼽으라면 단연 유모세포의 손상이다.

특히 유전적 청력 상실은 약 90%가 유모세포 손상에서 기인한다. 큰 소음이나 바이러스 감염 등 후천적 요인으로 청력을 잃는 것도 유모세포가 손상되기 때문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조류나 다른 포유류 동물과 달리 인간은 유모세포의 재생 능력이 없다는 것이다. 한번 유모세포가 손상되면 영원히 듣지를 못하게 되는 것이다.

포유류의 내이에 유모세포가 생기는 메커니즘과 이 과정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한 쌍의 단백질을 미국 존스홉킨스대 과학자 들이 발견했다. 이 발견은 듣지 못하는 환자의 청력을 복원하는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과학자들은 기대한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존스홉킨스대 의대의 앙겔리카 되츨호퍼 신경과학 부교수팀은 관련 보고서를 저널 'eLife'에 발표했다. 대학 측은 6일(현지시간) 온라인(링크)에 연구 개요를 공개했다.

되츨호퍼 교수는 "오래전부터 이 분야의 과학자들은 유모세포의 형성을 촉발하는 분자 신호를 찾는 데 매달려 왔다"면서 "손상 시 청력을 잃게 되는 유모세포의 발달 과정을 이해하면, 손상된 유모세포를 대체하는 방법도 알아낼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유모세포의 발달이 달팽이관의 가장 바깥쪽 부위에서 시작된다는 건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여기부터 전구세포는 달팽이관의 나선 구조를 따라 유모세포로 변하며 가장 안쪽에 이르면 변형을 중지한다.

연구팀은 여러 종의 단백질을 검사하다가 특이한 패턴을 보이는 두 종류의 단백질을 발견했다. 바로 액티빈 A(Activin A)와 액티빈 결합 단백질인 폴리스타틴(follistatin)이다.

액티빈 A의 수위는, 달팽이관의 나선 구조를 따라 전구세포가 유모세포로 변하는 부위에서 높아졌다. 반대로 폴리스타틴 수위는, 전구세포의 유모세포 변형이 시작되는 달팽이관의 가장 바깥쪽 부위에서 낮고 가장 안쪽에서 높았다.

되츨호퍼 교수는 "액티빈 A와 폴리스타틴이 서로 반대로 작용하며 세포를 제어한다는 걸 알고 있다"면서 "(내이에선) 달팽이관 나선 구조를 따라 유모세포가 질서 있게 형성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두 단백질이 전구세포에 대해 균형 조절을 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정상인 생쥐의 달팽이관에서 액티븐 A의 수위를 높였더니 전구세포가 너무 이르게 유모세포로 변해, 나선 구조 전체에 유모세포가 너무 빨리 나타났다.

그러나 너무 많은 폴리스타틴을 생성하거나, 액티빈 A를 전혀 생성하지 않게 조작한 생쥐에선, 형성 시기를 놓친 유모세포가 원래 들어서야 할 열(列)을 벗어나 혼란스럽게 흩어졌다.

또한 폴리스타틴 수위가 과도히 올라가면 전구세포의 분열 횟수가 늘어나고, 더 많은 전구세포가 질서 없이 내측 모세포로 변하는 이상 현상이 나타났다.

되츨호퍼 교수는 "생물학적으로 유모세포의 발달 과정은 흥미로운 주제"라면서 "나아가 청력 상실을 치료하는 새로운 전략을 세우는 데 이번 연구 결과가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아버지

2019.08.09 08:29
가입일: 2015:11.29
총 게시물수: 17
총 댓글수: 5020

청력에 관한 자세한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니오63

2019.08.11 12:43
가입일: 2018:10.25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22

이제 귀가 어두워지는 일은 없어지나요?

profile

qkfka

2019.08.15 13:56
가입일: 2019:03.02
총 게시물수: 52
총 댓글수: 19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658 일본의 농산물 수확 file 모니너 03-05 17
1657 과일과 야채를 자르는 25가지 손 쉬운 방법들 풀린신발끈 03-17 17
1656 [다큐3일] 하늘아래 첫동네, 옥수 13 재개발구역 + 2 동팔이 05-18 17
1655 서동주, 로펌 근무 당시 뒷이야기…"男 상사 性 스캔들 억울했다" 자유부인 05-21 17
1654 현아, 버블팝서 시작된 섹시 콘셉트 ‘봉인 해제’…계명대에 발령된 패왕주의보 자유부인 05-21 17
1653 아프리카 사람들은 왜 요통이 없을까 누리 05-23 17
1652 국민銀, 10%대 예금금리 다음달부터 2%로 인하 스톨게 05-24 17
1651 겸손한 행복 + 1 누리 05-24 17
1650 생활속정보 file 슈퍼옹굴리 05-25 17
1649 국제 질량 단위 ‘킬로그램’…금속덩어리서 기본상수로 ‘재정의’ 돌까루 05-26 17
1648 MS "스마트시티 두 축은 거주성과 지속성" 돌까루 05-29 17
1647 아내의 믿음 좋은이웃 06-02 17
1646 여행가서 꼭 사와야 하는 전세계 지역별 쇼핑리스트 총정리 | file 펭귄 06-03 17
1645 ‘화웨이 불똥’ 튄 한국…LG유플러스 “새우등 터질 판” GoodYU 06-07 17
1644 "외계행성의 이름 지어주세요" GoodYU 06-07 17
1643 [사이언스프리즘] AI 드론 시대가 온다 GoodYU 06-07 17
1642 생활의 지혜 -4 이웃사촌 06-21 17
1641 월간 낚시21 file 으악 07-22 17
1640 MOTORBIKE file 으악 07-23 17
1639 이 가을, 영광은 다시 시작되었다 - 전남 영광군 file 손뉨 10-03 17
1638 가을 타는 추남들 file 회탈리카 10-07 18
1637 맥도날드 신메뉴 file + 1 회탈리카 02-20 18
1636 키를 줄어들게 만드는 나쁜습관 BEST6 file bluesky 03-01 18
1635 영단어 꿀팁 file + 1 bluesky 03-01 18
1634 작지만 강하다 file bluesky 03-02 18
1633 숟가락 DIY file 모니너 03-04 18
1632 네오디움의 위력 file 모니너 03-05 18
1631 유명인들의 신에 대한 의견 file 모니너 03-05 18
1630 비트박스 feat.MRI CM 03-24 18
1629 [MT리포트]현대車 매장에 팰리세이드 '라이트' 켜둔 이유 양귀비 05-2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