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0002717826_001_20170507080027494.jpg?typ© News1 최진모 디자이너
모바일뱅킹 이용률 30대는 62.1%…60대 이상은 13.7%

(서울=뉴스1) 신건웅 기자 = # 강원도 양구에 사는 김이숙씨(78·가명)는 은행에 가려면 읍내까지 나가야 한다. 집에서 왕복 1시간 거리다. 하루에 네 번만 다니는 버스를 이용하거나, 동네 주민 차를 얻어 타야 한다. 김씨에게 금융 서비스는 딴 나라 얘기다. 자산관리는커녕 자금 이체도 쉽지 않다.

서울에서 대학에 다니는 김씨의 손자 박민기씨(22·가명)는 은행갈 일이 거의 없다. 학교 가는 길에 은행 지점만 8개가 있지만 간단한 업무는 스마트폰으로 해결한다. 송금이 필요할 때는 토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 해외여행을 갈 때는 모바일뱅킹으로 환전한다. 최근에는 인터넷전문은행에도 가입했다.

금융의 디지털 세대 격차다. 스마트폰 하나면 각종 금융서비스를 누릴 수 있지만, 시골 노인과 도시 청년이 느끼는 차이는 '하늘과 땅' 수준이다.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뱅킹은 "금융서비스는 은행에 가야 받을 수 있다"는 고정관념을 허물었다. 때와 장소에 상관없이 금융 업무를 이용할 수 있다. 은행들은 고객 편의를 위해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신한은행 써니뱅크와 우리은행 위비뱅크, KB국민은행 리브(Liiv), KEB하나은행 원큐(1Q)뱅크 등이 대표적이다. 터치 몇 번이면 계좌조회와 송금은 물론 환전, 대출신청, 펀드 가입까지 할 수 있다.

0002717826_002_20170507080027518.jpg?typ© News1 이은주 디자이너
시골에 거주하는 노인들에겐 이런 모바일 시대가 생소하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의 '2016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만 55세 이상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 수준은 전체 국민의 54% 수준에 불과하다. 지역별로도 도시(101.5%)보다 군(83.8%) 지역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이 낮았다.

한국은행 조사에서도 60대 이상의 모바일뱅킹 이용률이 13.7%로 저조했다. 30대의 이용률이 62.1%인 점을 고려하면 세대별 차이가 크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고령층은 스마트폰의 사용을 불편해 한다"며 "조작 미숙과 노안 등으로 통화나 문자 등 단순한 업무 외에는 사용을 꺼린다"고 했다.

고령층과 젊은층의 금융 서비스 접근성 차이는 금융 혜택 차별로 이어진다. 모바일뱅킹이 지점보다 금리와 수수료 등의 혜택이 훨씬 많다.

문제는 모바일 시대가 일상화되면서 디지털 세대격차가 더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1호 인터넷은행 케이뱅크의 경우, 출범 24일 만에 24만명이 가입했다. 젊고 경제활동이 활발한 30대~40대 고객 비중은 69.9%에 달했지만, 60대 이상은 2.1%에 그쳤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점을 방문하는 노인 중에는 현금자동입출금기(ATM)도 사용 못 하는 분들이 많다"며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더라도 모바일뱅킹을 이용하는 고객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했다.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Op

2017.05.07 17:34
가입일: 0:00.00
총 게시물수: 1886
총 댓글수: 9691

진짜 이럴수 있겠네요 ㅠㅠ

profile

디폴트

2017.05.26 17:50
가입일:
총 게시물수: 8
총 댓글수: 248

어쩔 수 없는 현실...

profile

웃기는놈

2017.06.13 13:33
가입일: 2017:05.13
총 게시물수: 16
총 댓글수: 2192

갈수록 더하겠죠

profile

대공

2017.08.15 15:45
가입일: 2018:11.01
총 게시물수: 26
총 댓글수: 1150

누구나 다 늙어 갑니다

지금 젊은세대 또한 세월은 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6 무디스 “한국의 불매운동, 일본 경제에 위협” file + 5 순대랠라 08-26 339
25 日 제치고 은나노 국제표준 '역전승'…그래핀도 韓 표준안 채택 file + 4 ROG 09-04 300
24 코스피 2000 회복 file + 5 revo 09-05 296
23 [팩트체크] 문재인 정부가 증시를 망쳤다고? file + 5 순대랠라 09-06 316
22 산업부 " 10월 말 브렉시트 이전에 한.영 FTA 비준절차 완료" file + 1 순대랠라 09-09 306
21 [WTO 한일 소송] WTO 한일 공기압밸브 반덤핑 분쟁 韓 승소…'이변은 없었다' file + 3 순대랠라 09-11 296
20 GTX-A노선, 이르면 이달말 터널공사 착수 file + 3 dukhyun 09-14 308
19 '백색국가서 日 제외' 오늘 시행.."국제공조 어려운 국가" + 1 양귀비 09-18 307
18 "우리은행만 믿고 맡겼는데"..목숨같은 내 돈, 어디로 사라졌나요? + 6 양귀비 09-18 325
17 닛산과 길을 잃은 아베노믹스 + 4 제트건담 09-24 328
16 도쿄올림픽 준비... 5G 기술은 삼성, 8K 생중계는 LG패널 공식채택 file + 4 회탈리카 09-30 302
15 카드 결제 영수증 발급 비용 1년에 500억 든다! file + 3 손뉨 10-01 305
14 또! 아시아 최초로 한국이 " FTA" 성공 / 외교클래스가.... + 1 순대랠라 10-04 362
13 [단독]MB때 자원투자그룹, 코링크PE 주도·운용했다. file 순대랠라 10-08 269
12 유니클로가 슬슬 살아나고 있다??? file + 12 던킨도넛77 10-11 341
11 불매 꺾은 세일' 일본차 10월 판매량 '껑충 file 회탈리카 11-05 264
10 日맥주 편의점 납품가 최대 30% 낮춰 file + 3 회탈리카 11-05 310
9 남양 근황 file + 3 회탈리카 11-07 339
8 반도체 산업 일본의 행복회로와 현실 file + 3 회탈리카 11-08 305
7 "밀레니얼 직원이 불행하면, 인사관리는 실패한 것" + 2 호재꾼 11-13 301
6 [백척간두에 선 보험산업(上)] 韓보험업 70년만에 첫 `역마진 쇼크` + 5 호재꾼 11-14 301
5 무조건 30시간치 수당 달라"…현대차 노조 또 '황당 요구 file 회탈리카 12-11 263
4 택시업계 근황 file 회탈리카 12-29 276
3 세계 무역8위 도약 file 회탈리카 01-02 275
2 1880억원 횡령 오스템 직원, 금괴 수백억원어치 샀다 file + 1 회탈리카 01-05 287
1 역대급 무역 적자 vs 역대급 돌직구 file 회탈리카 04-0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