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내게 맞는 SD카드 선택, 어떤 기준으로 할까?


메모리카드 시장의 강자, SD카드

안녕하세요! 에이서입니다. 다양한 메모리카드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본 지난 포스트에서 예고했던 대로 플래시메모리 규격의 표준이 된 SD카드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xD 픽처 카드, 메모리스틱, 컴팩트플래시(CF) 등 많은 회사들에서 선보인 다양한 메모리카드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는데요.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카드는 현재 디지털카메라부터, 스마트폰, 블랙박스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SD카드(Secure Digital Card)가 가장 대중적인 메모리카드가 되었습니다.


SD카드란 무엇인가?

SD카드, SD Card는 Secure Digital Card의 약자로 Secure Digital Memory라고도 부릅니다. 단어 그대로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겠지만 통칭 SD카드라고 부르며 본 형식은 파나소닉, 샌디스크, 도시바가 1999년에 내놓은 규격입니다. 첫 등장 이후 2010년대에 들어서는 미니SD와 마이크로SD와 같이 더 작은 크기의 SD카드가 등장하게 되는데요. 현재는 디지털카메라, 내비게이션에서 사용되는 SD카드와 스마트폰, 블랙박스에서 사용되는 마이크로SD카드의 2가지를 주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마이크로SD카드의 경우 어댑터를 사용하여 SD카드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위키피디아

사실 SD카드의 크기에 의한 분류는 용도에 의한 차이라고 보는 것이 이해하기 쉽습니다. 스마트폰과 같이 더욱 소형화되는 디바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해 크기가 작아진 마이크로SD카드는 현재 400GB 용량의 제품까지 등장했으며 용도에 맞는 규격과 용량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장 방식으로 SD카드 분류하기

단순히 크기와 모양이 아닌 실제 사용될 기기에 맞는 성능과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로 저장 방식과 클래스, 용량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SD카드를 구성하는 요소인 플래시 메모리는 SLC, MLC, TLC로 분류됩니다. SLC의 경우 수명은 길지만 단가가 비싸기 때문에 시장에서는 MLC 혹은 TLC 종류를 주로 마주하게 됩니다. 최근에는 수명은 짧지만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TLC를 가장 많이 찾고 있으며 굳이 MLC라고 광고하지 않는 경우라면 TLC에 해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출처 :: SK하이닉스 블로그

용량에 의해 분류되는 SDHC와 SDXC의 차이

혹시 어떤 용도로 사용할 SD카드를 찾고 계시나요? 우리가 사용 중인 SD카드는 용량에 따라 SD카드, SDHC, SDXC로 나뉘게 되는데요. 엄밀히 말하면 우리가 흔히 말하는 SD카드는 이미 오래전부터 사용하지 않았을지도 모릅니다. 일단 SD카드의 최대 용량은 2GB이며 윈도 95까지 사용했던 FAT16이라는 포맷 방식의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2GB SD Card

최대 용량이 2GB를 넘어서면서 SD카드는 SDHC로 변화합니다. 최대 용량이 4GB에서 32GB까지 늘어나면서 PC와 마찬가지로 FAT32 방식으로 포맷이 바뀌게 되는데요. PC와 다른 점이라면 안정성과 성능 문제로 인해 파일당 최대 크기가 4GB로 제한되며 최대 용량은 32GB에 그치게 됩니다.

32GB SDHC

앞서도 언급했지만 최근 400GB 용량의 마이크로SD카드가 등장했고 SD카드와 같은 경우 이미 512GB 용량을 가진 제품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바로 32GB를 넘어가는 SD카드를 SDXC라고 부릅니다. 포맷 역시 FAT32에서 exFAT 방식으로 변경되는데 이론상 일반인이 다루기 힘든 6만 4천 TB까지 수용하므로 당분간 기록 방식의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512GB SDXC

속도에 의해 구분되는 클래스(Class)는 무엇일까?

크기, 저장 방식, 용량에 의해 구분되는 SD카드는 속도에 의해서도 나뉘게 됩니다. 당초 속도에 대한 기준이 없던 SD카드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면서 CD의 기록 속도를 기준으로 속도를 삼았습니다. 하지만 이를 계산하거나 표기하는 방식이 애매하다는 이유로 클래스라는 규격을 정하게 되는데요. 최소 쓰기 보장 속도를 일컫는 클래스는 DSLR 카메라로 연사를 촬영하거나 비디오카메라로 4K 동영상을 촬영할 때 이를 기록하는 메모리의 속도가 일정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표기하는 일종의 스펙입니다.

출처 :: sdcard.org

그렇게 정해진 클래스는 SD카드의 규격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됩니다. SD카드의 경우 대문자 C 안에 새겨진 숫자로 구분하며 1초에 최소 2MB를 기록할 수 있는 클래스2 혹은 초당 10MB 이상을 기록하는 클래스10 등으로 나뉘게 됩니다. 그리고 기술의 발전과 함께 SDHC에 적용된 보다 빠른 속도의 버스 규격을 울트라 하이 스피드 (Ultra High Speed), UHS라 부릅니다. UHS는 다시 3가지 전송속도에 의해 구분됩니다. 아직 시장에 등장하지 않은 UHS-III와 기존 UHS-I, UHS-II의 2가지 방식을 포함하여 총 3가지 방식이 존재합니다.

출처 :: sdcard.org

SDHC와 SDXC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UHS는 UHS-I의 경우 104MB/s, UHS-II는 312MB/s, UHS-III는 624MB/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하지만 실질적인 최소 보장 속도는 U1과 U3에서 각각 최소 10MB/s, 30MB/s의 보장 속도를 확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출처 :: sdcard.org

영상 촬영을 위한 비디오 스피드 클래스가 따로 있다?

그런데 사진 촬영 시 이루어지는 연사와 다르게 4K 또는 풀 HD 60P 동영상을 위한 고속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비디오 스피드 클래스(Video Speed Class) 규격도 존재합니다. 2016년에 처음으로 발표된 것으로 최저 보장 속도인 V6(6MB/s)부터 4K에 대응하는 V60(60MB/s), V90(90MB/s)을 필요로 하는 8K까지 이제는 심심찮게 만날 수 있습니다.

출처 :: sdcard.org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본인이 고화질, 고용량의 동영상을 촬영한다는 가정하에 비디오 스피드 클래스를 기준으로 메모리카드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스마트폰 혹은 디지털카메라 등의 제품 사양에 명시된 메모리카드 성능 조건을 참고하면 대부분 사용상에 큰 무리는 없습니다. 간혹 성능 조건에 부합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상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캐논 EOS 5D Mark IV와 같은 제품은 포털이나 커뮤니티를 통해 호환성 높은 메모리카드를 찾아보길 권해 드립니다.

출처 :: sdcard.org

복잡하고 어렵기만 한 SD카드, 어떻게 선택할까?

이렇게 해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메모리카드인 SD카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남은 것은 앞서 확인한 SD카드의 특징을 토대로 본인이 필요로 하는 SD카드를 찾는 일인데요. 4K 초고화질 동영상을 촬영한 것인지 혹은 안정적인 기록이 필요한 블랙박스에 사용할 것인지, 스마트폰에서 대용량 컨텐츠를 위해 사용할 것이지에 따라 나뉠 수 있습니다.

(micro) SD카드
(micro) SDHC
(micro) SDXC
기본 용량
~4GB
2GB~32GB
32GB~2TB
포맷 방식
FAT16
FAT32
exFAT
전송 속도
Class10, 느림
U3, 보통
V90, 빠름


먼저 사용할 기기에 맞는 크기로 SD카드와 마이크로SD카드 중 하나를 선택한 다음 각 용도에 맞는 용량 및 방식을 선택하면 보다 완벽한 디지털 라이프를 위한 준비가 끝나지 않을까요?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풀린신발끈

2018.04.07 22:22
가입일:
총 게시물수: 24
총 댓글수: 760
잘 몰라서 그냥 제품 설명서에서 쓰라는거 쓰긴 합니다만 좀 알아야 겠군요.
profile

청나무

2018.04.08 10:41
가입일: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541
유용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profile

발자국

2018.04.08 19:42
가입일: 2018:10.16
총 게시물수: 40
총 댓글수: 1086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여여

2018.04.08 20:27
가입일: 2018:03.26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48
정보 감사드립니다.
profile

제리

2018.04.09 10:01
가입일: 2019:03.02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136
배우고 갑니다. 감사.
profile

왕미

2019.04.25 09:17
가입일: 2017:05.29
총 게시물수: 10
총 댓글수: 1564

FHD 해상도에서 30 MB/s라면, 충분하겠네요. 

H.264압축시 1초에 40~45Mbps인데, 이것은 45Mb/s = 5.6 MB/s 입니다. 

즉, 30 MB/s가 하드디스크에 비해 느리고, SSD에 비해 기어가는 속도이지만, 단순 영상 저장으로는 충분한 속도입니다. 

참고로, USB 2.0 최대 속도가 480 Mb/s (=60 MB/s)라서 엄청 빨라 보이지만, USB 메모리를 읽어보면 20~30 MB/s 정도가 한계이며, 평균적으로 10~20 MB/s 나옵니다. 

즉, 30 MB/s는 엄청난 고속 전송 속도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93 윈도우 hit ImageSAFER 제거하기 file + 8 건강하고행복하게 01-03 4758
892 윈도우 hit 윈도 탐색기 열 너비 고정으로 조정하기 + 31 코요테 08-24 4713
891 일반 hit anydesk 프로그램 사용시 한,영 전환key + 7 happyhappy 05-26 4688
890 윈도우 hit 윈도우10설치후 PS/2 키보드 마우스 인식시키기 + 19 암즈룸 10-12 4614
889 윈도우 hit 윈10 윈도우디펜더 및 자동업데이트 끄기 file + 32 아앗 04-23 4586
888 윈도우 hit 무인 응답 파일에서 productkey 설정을 읽을 수 없습니다 + 8 메이데이컴퓨터 12-22 4510
887 PCTip hit 아직도 모르고 계실수도있는 분들을 위한 윈10 100% 선택적 업데이트 하는방법~^^ file + 43 이노 12-01 4476
886 유틸리티 hit 완전 쌩초보용 Rufus 를 이용하여 USB 로 윈도설치하기 file + 82 피터팬 01-28 4460
885 윈도우 hit (추가)크롬과 램디스크 최고의 꼴라보~정리 + 43 Addi 05-20 4352
884 일반 hit 구글 세이프 서치 강제 적용 간단 해제법 + 31 심청사달 12-14 4334
883 일반 hit Adblock 사용시 판도라 TV의 광고 제거 + 12 FAKE 02-16 4299
882 기타 hit 쓰기금지되었다면서 포맷도 안되는 SD카드 포맷하기 + 20 암즈룸 11-19 4249
881 PCTip hit 크롬 사용자의 캐시 폴더의 이동법 + 19 FAKE 02-12 4218
880 윈도우 hit 윈도우 설정에서 지워지지 않는 기본앱 CCleaner 로 간편하게 삭제하기 + 35 허걱이냥 12-15 4163
879 드라이버 hit Windows 10에서 NVIDIA드라이버 설치 오류 해결 방안 + 10 데스윙 09-04 4146
878 일반 hit 1TB 하드가 931GB인 이유 (하드 실제용량이 표시용량보다 작은이유) + 25 매니안 01-18 4113
877 윈도우 hit 윈도우10 설치 후 ‘알 수 없는 장치’가 생겼다 + 35 구피 04-14 4081
876 윈도우 hit 윈도우 10 작업표시줄 미리보기 기능 해제 (끄기) 팝업 file + 15 더럭셔리오너 02-12 4051
875 일반 hit 인터넷 케이블 만들기 커넥터 연결 방법.. 랜선 만들기 utp file + 17 매니안 10-17 4022
874 기타 hit 바이두 휴대폰 인증 가능해졌군요. + 1417 하민아빠 11-28 3943
873 네트워크 hit 인터넷 끊김현상 해결법(win7 이후~) + 24 BellumGod 10-30 3914
872 유틸리티 hit 탐색기 보다 편한... 클로버 + 37 메인보드 12-22 3911
871 윈도우 hit 알아두면 유용한 윈도우 단축키 + 29 SMILE 12-30 3909
870 일반 hit 구글 드라이브 빠른 속도로 다운받기 file + 15 단테9 02-02 3904
869 기타 hit 유용한 자막사이트 (영화,드라마 등등 ) + 51 아지해커 12-20 3834
868 윈도우 hit 윈도우10 파일탐색기에서 바로가기메뉴 삭제하기 + 13 졸갱이 06-01 3806
867 윈도우 hit 윈 10 에서 usb 마우스 키보드 먹통 일때 + 33 기쁨의노래 02-23 3744
866 윈도우 hit 초보자용 Win10PE 활용하여 UEFI 윈도 설치하기 + 50 범접할수가없다능 06-21 3741
865 일반 hit [모바일] 통신사 기본 앱 삭제하기 file + 16 촌꼬마 10-16 3698
864 네트워크 hit 인터넷 뱅킹시 가상키보드 안보는 방법 file + 17 무정 03-06 3669
863 유틸리티 hit Avira(아비라) 백신 쾌적하게 사용하기 file + 18 Addi 06-25 3647
862 네트워크 hit 윈도우 엣지 시작페이지 변경/설정 방법 + 30 해마천사 06-24 3644
861 관리/보안 hit uTorrent 보안 문제와 해결 file + 45 암닭=運營者㖈 02-25 3628
860 일반 hit 토렌트 클라이언트 추천 file + 22 봉봉이 02-09 3617
859 정보 hit 한컴오피스 2018 업데이트 안뜨게하기 file + 33 메이데이컴퓨터 03-30 3578
858 윈도우 hit [Windows 10] KMS없이 또는 이전 버전의 설치 / 업그레이드없이 디지털 라이센스 (HWID) 생성 file + 16 Op 08-20 3564
857 정보 hit Windows 10 Home --> pro 키 없이 업그레이드 [2019-06-07 정상작동] file + 17 whtie12 06-07 3522
856 윈도우 hit [WinNtSetup] PE 상에서 ISO를 가지고 윈도우 설치하기 + 39 메이데이컴퓨터 08-03 3515
855 PCTip hit 영어가 되신다면 윈도우7 속도 향상 팁 + 20 달림이 02-15 3498
854 윈도우 hit 윈도우 10 계정사진 목록 삭제 하기 및 윈도우7 기본사진 첨부 file + 13 한국인 12-17 3493
853 PCTip hit 화면캡쳐하는방법 스크린샷 찍는방법; 펌 + 27 달림이 02-24 3488
852 PCTip hit 불량 화소를 무료로 수리해주는 서비스? + 37 초원의빛 12-17 3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