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profile CPU 인텔 코어 i9-7900X

작성자: 피터노다 조회 수: 191 PC모드

insidelogo.php?image=%2Fhttp%3A%2F%2Ffil

인텔이 차세대 HEDT (하이엔드 데스크톱) 프로세서 코어 X 시리즈 첫 제품을 출시한지도 두 달 가까이 지났다. 그 중 최상위 모델인 코어 i9-7980XE는 18코어 36스레드라는 어마어마한 사양이어서 큰 관심을 받았는데 9월 말 출시 예정이어서 아직 더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현재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최상위 제품은 코어 i9-7900X인데 10코어 20스레드여서 인텔의 기존 HEDT 프로세서인 코어 i7-6950X와 동일하다.

비록 코어 개수가 같아도 내부에서는 CPU 근간을 이루는 아키텍처가 굉장히 크게 변화했고 새로운 기능도 추가되었으므로 실제 성능은 차이를 보일 텐데 이번 기사에서는 두 가지 프로세서를 직접 비교해보도록 하겠다.

 

인텔 코어 X 시리즈 선두주자 코어 i9-7900X

insidelogo.php?image=%2Fhttp%3A%2F%2Ffil

코어 i9-7900X는 현재 시장에 출시된 유일한 코어 i9 시리즈 모델이다. 스카이레이크-X 프로세서이며 2011년 2세대 코어 프로세서 샌디브릿지부터 올해 상반기 출시된 7세대 코어 프로세서 카비레이크까지 명맥을 이어온 링버스 아키텍처 대신 메쉬(Mesh) 아키텍처가 도입된 것이 특징이다.

최근 보드나라의 코어 X 특집 기사(기사 링크)에서 살펴보았듯이 링버스 아키텍처는 원형 구조에 양방향 순환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모듈이 증대하면서 프로세서 코어가 늘어나면 전체 데이터 소통이 느려지는 제약이 있다.

메쉬 아키텍처는 프로세서 내부에서 코어, 캐시, 각종 모듈이 여러 방향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소통이 원활해 응답 속도를 링버스보다 높이고 프로세서 코어를 여러 개 집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코어 X 프로세서는 이전 세대 프로세서와 코어 개수가 동일해도 이론상 더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코어 i9-7900X vs 코어 i7-6950X

insidelogo.php?image=%2Fhttp%3A%2F%2Ffil

현시점에서 코어 X 라인업 중 최상위 제품은 코어 i9-7900X이므로 기존 HEDT 프로세서 중 최상위 제품인 코어 i7-6950X와 어느 정도 성능 차이가 나는지 궁금할 것이다.

특히 코어 개수와 스레드, 제조 공정까지 동일하므로 아키텍처 변경이 얼마나 큰 성능 차이를 낼 수 있을지 비교하기 좋고 앞으로 출시될 코어 X 상위 제품들 성능은 어느 정도일지 가늠해보는 척도가 될 수도 있다.

게다가 두 프로세서는 국내 판매가 기준으로 가격이 50만 원 정도 차이나는데 코어 i9-7900X가 성능으로 코어 i7-6950X를 앞선다면 경쟁력은 매우 높아진다.

 

insidelogo.php?image=%2Fhttp%3A%2F%2Ffil

insidelogo.php?image=%2Fhttp%3A%2F%2Ffil

이번 기사에서는 CPU와 메인보드를 제외한 모든 부품을 동일하게 구성하고 각종 벤치마크 테스트를 실시하여 메시 아키텍처 기반 도전자 코어 i9-7900X와 링버스 아키텍처 챔피언 코어 i7-6950X의 성능을 차근차근 비교해보겠다.

 2. 코어 i9-7900X 성능 테스트hdw_subjectUnderline.gif

벤치마크 및 게임 테스트는 프로세서와 메모리 모두 오버클럭하지 않고 기본 상태에서 실시하였다. 테스트 별로 측정 단위가 차이 나기 때문에 그래프를 식별하기 쉽도록 코어 i7-6950X의 성능을 지표로 삼고 백분율로 높고 낮음을 가렸다.

각 테스트 결과는 기사 마지작 장에 본래 수치로 기재한 표도 싣도록 하겠다.

 

insidelogo.php?image=%2Fhttp%3A%2F%2Ffil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을 측정하는 PCMark 10 (Extended) 벤치마크는 마치 같은 시스템에서 테스트한 것처럼 서로 미세한 성능 차이만 보였다. PCMark 10은 다양한 상황에서 프로세서 뿐 아니라 메모리, 그래픽, 스토리지 성능도 종합적으로 따진 경우 코어 i9-7900X와 i7-6950X 시스템을 동급으로 취급하였다.

그러나 프로세서 성능 위주로 측정하는 다른 벤치마크에서는 결과가 확연히 달라진다. 작게는 3%, 크게는 30% 정도 격차가 벌어져 테스트를 재차 반복하고 나서야 사실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가장 큰 성능 차이를 보인 돌핀 벤치마크는 듀얼 코어까지 지원하는 것이 이유로 추정된다. 코어 i9-7900X는 i7-6950X보다 기본 클럭이 10% 높고 터보부스트 기술 작동 시에는 1GHz 가까이 더 높아지는데 돌핀 벤치마크는 코어 2개만 클럭을 높여도 되므로 터보부스트 효율이 극대화된 것으로 보인다.

 

insidelogo.php?image=%2Fhttp%3A%2F%2Ffil

이어서 그래픽 성능을 측정하는 3DMark 벤치마크로 각 시스템을 비교하였다.

프로세서와 GPU 성능을 통합한 점수는 둘 중 어느 쪽이 우세하다고 하기 어려울 정도로 비슷한 점수가 나와서 PCMark 10과 비슷한 결과였다.

프로세서 점수만 놓고 보면 다시 코어 i9-7900X가 앞섰다. 파이어 스트라이크 울트라 테스트에서는 4K UHD 해상도 특성상 GPU 의존도가 매우 높아 차이가 미세했지만 다른 테스트에서는 2~5% 가량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GPU 성능과 프로세서 성능을 고르게 요구하는 소프트웨어라면 코어 i9-7900X 시스템이 3DMark 벤치마크보다 나은 성능을 낼 가능성이 있다.

 

insidelogo.php?image=%2Fhttp%3A%2F%2Ffil

게임 성능 테스트에서는 의외로 코어 i9-7900X가 맥을 못 추었다.

총 네 가지 게임으로 테스트를 실시했는데 파이널 판타지 XIV를 제외한 모든 게임에서 코어 i7-6950X 시스템 성능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

이런 결과가 나온 첫 번째 이유는 기존 프로세서 아키텍처에 최적화된 게임들이 새로운 메시 아키텍처와는 궁합이 좋지 않은 것을 꼽을 수 있다. 이전 세대 프로세서들 중에도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는 성능이 앞섰지만 게임 환경에서는 최신 프로세서가 밀리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시간이 경과한 뒤 게임 개발사들이 제공하는 패치를 적용하면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다.

게다가 코어 X 프로세서의 메시 아키텍처는 무려 6년이나 지속된 링버스 아키텍처와 구조상 차이가 커서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 지원이 더 필요하다.

 

성능과 맞바꾼 소비전력과 온도

insidelogo.php?image=%2Fhttp%3A%2F%2Ffil

동일한 공정으로 제조한 프로세서라면 코어 클럭이 높은 쪽이 소비전력과 발열이 높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법칙은 코어 i9-7900X도 예외가 아니었다.

코어 i9-7900X는 코어 i7-6950X보다 기본 클럭이 10% 높은데 터보부스트 기술 작동 시에는 그 격차가 더 커진다. 윈도우 10 부팅 직후 아무 작업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차이가 8W 정도지만 모든 코어를 100% 활용하는 Prime95 테스트에서는 약 49W, 거의 26%나 차이가 벌어진다.

일부 코어만 높은 클럭으로 작동하는 3DMark 스트레스 테스트에서는 소비전력 차이가 조금 줄어들지만 그래도 9% 정도이므로 적은 편은 아니다.

우리나라처럼 전기 요금에 누진세가 적용되는 지역에서는 이런 소비전력 차이가 달갑지 않은 요소인데 물론 HEDT 프로세서 사용자들은 무엇보다 성능을 중시하므로 코어 i9-7900X 시스템이 압도적인 성능을 보인다면 감수할 수 있는 점이다.

 

insidelogo.php?image=%2Fhttp%3A%2F%2Ffil

일체형 수랭 쿨러 커세어(Corsair) HYDRO H110i

insidelogo.php?image=%2Fhttp%3A%2F%2Ffil

온도는 일체형 수랭 쿨러인 커세어(Corsair) HYDRO H110i를 장착한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2열 라디에이터와 140mm 쿨링팬 2개, 워터블록 등으로 구성된 제품인데 쿨링팬과 워터블록 펌프 작동 속도는 최고로 설정하였다.

프로세서는 소비전력과 온도가 비례하여 상승하므로 온도 역시 코어 i9-7900X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윈도우 10 부팅 직후부터 9도나 차이나서 모든 코어가 100% 작동하면 그래프를 작성하는 것이 무색할 정도로 차이나지 않을까 예상했는데 다행히 코어 i9-7900X는 2도 정도 더 높은 수준에 머물렀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결코 발열이 만만하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고급형 수랭 쿨러로 나온 테스트 결과이므로 그 점을 감안하고 코어 i9-7900X 시스템에 알맞은 쿨러를 마련해야 한다.


소프트웨어 최적화 필요, 납득 가능한 가격대
hdw_subjectUnderline.gif

insidelogo.php?image=%2Fhttp%3A%2F%2Ffil

지금까지 살펴본 테스트 결과를 종합한다면 코어 i9-7900X는 메쉬 아키텍처로 코어 여러 개를 이전 세대 제품인 코어 i7-6950X보다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다만 링버스 아키텍처와 비교해 너무나 큰 구조 변화로 인해 소프트웨어에 따라서는 오히려 성능이 떨어지고 속도가 느린 L3 캐시 비중이 커져서 거기에 맞춰 소프트웨어 지원이 있어야만 시장에서 진정한 최신 HEDT 프로세서로 자리 잡을 것이다.

가격대도 중요한 평가기준이다. 코어 i9-7900X가 아직 성능 면에서 불안한 요소가 있지만 170만 원대인 코어 i7-6950X보다 50만 원 정도 가격이 낮으므로 그 점을 생각하면 어느 쪽에 더 경쟁력이 있을지는 따 놓은 당상이다.

이제 다음 달이면 코어 i9-7900X의 상위 라인업 코어 X 프로세서가 출시되는데 과연 어떤 성능을 낼 지 기대감을 가지게 된다.

 

insidelogo.php?image=%2Fhttp%3A%2F%2Ffil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검정이

2017.10.10 11:52
가입일: 2017:10.03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555
profile

여름의시

2017.10.18 13:26
가입일: 2018:10.05
총 게시물수: 193
총 댓글수: 1127

그나마 쓰레드리퍼덕에 좀 개념으로 나온듯

profile

많은물

2017.10.19 07:05
가입일: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61

좋은정보 잘 봤습니다.

profile

이담

2017.10.19 20:26
가입일: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485

좋은정보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Shane

2017.10.20 14:04
가입일: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170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이상향

2017.11.09 21:33
가입일: 2017:11.05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31

좋은정보 고맙읍니다

profile

버터플

2017.11.12 20:50
가입일: 2017:10.21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7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갓데

2017.11.14 14:31
가입일:
총 게시물수: 3
총 댓글수: 130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wptmxm12

2017.11.21 10:49
가입일: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77

돈만 있다면 좋은 시퓨 쓰고싶어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지천공

2017.12.04 20:45
가입일: 2018:11.14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37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maxlee

2017.12.05 09:09
가입일: 2018:11.09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99

감사합니다. 좋은정보..

profile

omnibus7

2017.12.07 19:26
가입일: 2017:12.07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161

가격이. ㅎㄷㄷㄷ

profile

세계일주

2017.12.16 11:16
가입일: 2018:10.09
총 게시물수: 86
총 댓글수: 737

좋은정보 잘 봤습니다.

profile

앤디훅

2017.12.31 00:28
가입일: 2018:10.03
총 게시물수: 52
총 댓글수: 1297

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92 CPU CPU 비교 사이트 소개 + 37 대왕산 09-20 749
491 모니터 모니터 주시율 테스트 + 31 김군장 11-13 748
490 HDD Raid 구성에 대하여... 1부 + 29 드라이빙 09-19 744
489 HDD 무려 14TB…하드디스크의 미래는? + 56 bluesea 10-15 738
488 CPU 인텔 i9-9900K 뚜따 내부 file + 16 와일드 10-26 737
487 VGA 제이씨현시스템, GIGABYTE GTX1070 Ti 윈드포스 출시 + 19 세계일주 12-19 736
486 평가 95년도 PC사양 file + 52 Op 08-06 734
485 스피커 제가 사용하고 있는 PC 스피커~ file + 46 징징현아 10-24 714
484 케이스 내다버린 컴퓨터, 알고보니 '2억짜리' 스티브 잡스 작품 / YTN + 27 따봉 12-01 713
483 벤치마크 cpu 벤치마크 + 18 nagaya 10-03 713
482 메인보드 MSI, AMD 스레드리퍼 지원 메인보드 MSI X399 SLI PLUS 출시 + 12 세계일주 12-19 706
481 조립리뷰 인텔 i7 6700K, GTX1070 PC조립하고 오버워치하자!-PC조립편 + 24 따봉 12-01 704
480 VGA 누군가는 이렇게도 사용합니다 file + 25 Op 09-03 702
479 케이스 (약혐) 4일전 수리한 컴퓨터 최악의 먼지.. + 37 허수아비 12-05 701
478 VGA 팰릿, GTX 1050 Ti 무팬 버전 KalmX 발표 file + 29 코렐매니아 02-07 700
477 CPU CPU 2019 1월 성능 순위 (참고용) file + 21 꾸륵꾸르륵 01-28 691
476 케이스 [ABKO] NCORE 사파이어 3.0 풀아크릴 & 강화유리 (미들타워) file + 22 리엣 10-11 679
475 모니터 뷰소닉 XG3202-C 구입겸 듀얼 모니터 구성 file + 30 ☞패닉상태 01-21 675
474 SSD SSD 가격의 변화 + 33 쿠닝 12-25 675
473 벤치마크 vga 벤치마크 비교 + 16 nagaya 10-03 674
472 케이스 앱코, 아크릴 윈도우 PC케이스 화이트컬러 출시 + 12 세계일주 12-19 658
471 RAM [참고] 컴 사용중에 갑자기 꺼지거나 블루스크린 뜰 때 + 33 sky 11-29 657
470 CPU CPU 소켓 변경된 AMD 라이젠, 쿨러도 바꿔야 할까? + 10 j1159 02-20 653
469 메인보드 열을 잡아라~ 내 컴퓨터 쿨링 능력 업그레이드 시키기 + 51 피터노다 10-02 650
468 CPU AMD 라이젠 7 1800X 오버클럭 성능, 인텔 코어 i7 6950X 이상? + 17 j1159 02-27 636
467 CPU 카비레이크 i3가 오버클럭이 된다던대? + 9 따봉 12-23 635
466 CPU 커피레이크 국내 (예상)가격 유출 file + 41 물주전자 10-12 632
465 일반 구글 크롬 브라우저 플래시 강제 허용방법 + 12 qkfka 04-09 614
464 조립리뷰 컴퓨터 업그레이드~ file + 54 징징현아 10-24 609
463 모니터 모니터 해상도 관련 자료입니다. file + 27 위쌍 09-19 607
462 사용기 옵티컬? 레이저? 무엇이 다를까 + 16 따봉 12-26 580
461 벤치마크 RAM 벤치 테스트 비교 + 26 nagaya 10-03 580
460 조립리뷰 마이크로닉스)가 고성능 게이밍 데스크탑 PC를 + 12 따봉 12-28 571
459 메인보드 메인보드 바꾸니 부팅용 SSD가 사라졌다? + 20 따봉 12-07 570
458 HDD Raid 구성에 대하여... 2부 + 20 드라이빙 09-19 568
457 메인보드 기존 메인보드에 무턱대고 끼운 새 CPU + 21 따봉 12-07 567
456 CPU AMD 라이젠 출시 1년, 확 바뀐 PC 시장 file + 9 Op 07-31 561
455 VGA 더 생생하게 동영상을 보자. + 2 Guru 02-15 554
454 사용기 USB 부팅, USB 윈도우설치, USB CD영역 생성 및 삭제, rufus(루퍼스) 사용법 총정리 + 7 벨라 07-16 550
453 VGA 구석구석 온도 확인 ICX기술 탑재 EVGA 지포스 GTX 1070 FTW2 GAMING OC file + 47 인어공주 10-20 549
452 VGA 엔비디아, Full HD부터 4K까지 배틀그라운드 권장 사양 제안 + 5 세계일주 12-19 542
451 SSD 일반 소비자용 SSD 시장에 첫발을 내딛다 + 23 따봉 12-19 534
450 스피커 [PC-AUDIO] 한때 사용했었던 PC SPEAKER(?) file + 25 X-bias 10-29 533
449 사용기 블루스크린의 공포를 빠르게 벗어나기 + 20 따봉 12-09 519
448 사용기 거추장스런 선에서 해방되자 + 17 따봉 12-24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