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작년 9월 Rig Exploit kit, Sundown Exploit kit 의 SWF 취약점 통해 유포되는 CryLocker 랜섬웨어가 최초 발견되었다.


국내에 많이 알려진 다른 랜섬웨어 (Cerber, Locky 등)와의 차이점은 사용자 정보를 이미지 호스팅 웹사이트(Imgur), 익명 텍스트 파일 공유사이트(pastebin)에 업로드 하는 것이다.


CryLocker 랜섬웨어는 실행 시 내부에 존재하는 PE 이미지를 메모리 상에서 자기자신에 삽입하여 동작하며 파일 암호화 후 아래와 같은 화면을 띄워 사용자에게 금전적 요구를 한다.



2638113858AF813C0CA89F


[그림 1] 복호화 방법과 금전을 요구하는 랜섬노트



파일이실행 되면 복호화 관련 안내파일과 자신과 동일한 파일을 %temp% 폴더에 생성한다.


- C:\DOCUME~1\[사용자 계정]\LOCALS~1\Temp\[랜덤명].html


- C:\DOCUME~1\[사용자 계정]\LOCALS~1\Temp\[랜덤명].exe

 

그리고, 다음 예와 같이 시작 프로그램 경로와 %temp%폴더에 생성한 두 파일에 대하여 랜덤명으로 바로가기(*.lnk) 파일을 생성한다. 이로 인해 감염이 이루어지지 않은 파일들에 대해서 추가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시작 메뉴\프로그램\시작프로그램\MWTYtBtR.lnk


-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시작 메뉴\프로그램\시작프로그램\6KhIcB4O.lnk 

<v:shape id="그림_x0020_8" o:spid="_x0000_i1030" type="#_x0000_t75" style="width: 234.75pt; height: 251.25pt; visibility: visible;"><v:imagedata src="file:///C:\Users\kimsha\AppData\Local\Temp\msohtmlclip1\01\clip_image002.png" o:title=""></v:imagedata></v:shape>



2223873858AF813D0E352F


[그림 2] 원본 파일과 동일한 랜섬웨어를 실행하는 바로가기 (*.lnk)파일


25483F4D58AF830708234A


[그림 3] 복호화 관련 안내 파일을 실행하는 바로가기 (*.lnk)파일



암호화 대상 드라이브는 “A:\ ,B:\ “를 제외 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네트워크 드라이브, 램 디스크 드라이브다.


<v:shape id="그림_x0020_16" o:spid="_x0000_i1028" type="#_x0000_t75" style="width: 451.5pt; height: 70.5pt; visibility: visible;"><v:imagedata src="file:///C:\Users\kimsha\AppData\Local\Temp\msohtmlclip1\01\clip_image004.png" o:title=""></v:imagedata></v:shape>

2602293858AF813E19BE9C


[그림 4] 대상 드라이브 찾는 코드


<v:shape id="그림_x0020_11" o:spid="_x0000_i1027" type="#_x0000_t75" style="width: 249pt; height: 132pt; visibility: visible;"><v:imagedata src="file:///C:\Users\kimsha\AppData\Local\Temp\msohtmlclip1\01\clip_image005.png" o:title=""></v:imagedata></v:shape>

2302D13858AF813F196E6D


[그림 5] GetDriveTypeW의 값



위를 통해 구한 감염 대상 드라이브를 순회하며 암호화를 진행한다. 이 때, 아래 [표 1]에 해당하는 문자열이 존재하는 폴더는 암호화 대상에서 제외된다.



암호화 제외 경로 문자열

tmp

Temp

winnt

Application Data

Appdata

ProgramData

Program Files (x86)

Program Files

$Recycle.Bin

$RECYCLE.BIN

System Volume Information

Boot

Windows

WinSxS

DriverStore

League of Legends

steamapps

cache2

httpcache

GAC_MSIL

GOG Games

Games

My Games

Cookies

History.IE5

History.IE5

node_modules

All Users

AppData

ApplicationData

nvidia

intel

Microsoft",LF

MY_QWemsadkjasd

 


[표 1] 암호화 제외 경로 문자열



암호화 대상 확장자는 600개 이상이며, 아래한글 확장자인 .hwp도 포함 되어있다.


본문의 처음에 언급했듯 해당 랜섬웨어는 “MachineID, User Name, ComputerName”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무료 웹 사이트에 전송한다.


-       pastee.org


-       imgur.com



파일 암호화 후 아래 표와 같이 볼륨 섀도우를 삭제하여 Windows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파일 백업 및 복원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한다.


명령어

기능

vssadmin.exe delete shadows /all /quiet

볼륨 쉐도우 삭제


[표 3] 볼륨 섀도우 삭제



그리고, 기존 바탕화면에 존재하는 바로가기 파일(*.lnk)에 대해 “old_shortcut” 폴더를 만들어 모두 옮긴다.


236CA53858AF813F34CBE8


[그림 6] 바탕화면에 생성된 폴더/파일



감염 된 파일은 [원본파일명.cry]로 변경된다.


2706F13858AF814010AD68


<v:shape id="그림_x0020_21" o:spid="_x0000_i1025" type="#_x0000_t75" style="width: 417pt; height: 54pt; visibility: visible;"><v:imagedata src="file:///C:\Users\kimsha\AppData\Local\Temp\msohtmlclip1\01\clip_image007.png" o:title=""></v:imagedata></v:shape>

[그림 7] 감염 된 파일



랜섬웨어의 특성상 완벽한 복구 방법이나 예방법은 없지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항상 윈도우 보안 패치 및 V3 백신 프로그램을 최신 업데이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신뢰할 수 없는 출처의 메일 등의 첨부 파일 실행 및 확인되지 않은 웹 페이지 방문 시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와 플래시 취약점을 이용함으로 플래시 보안 업데이트도 최신으로 유지가 필요하다.



현재 V3 에서는 Crylocker 랜섬웨어는 다음 진단명으로 진단하고 있다


- Trojan/Win32.Ransom (2016.09.02.04)

-----------

http://asec.ahnlab.com/1058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프리네

2017.03.01 03:50
가입일: 2016:05.06
총 게시물수: 310
총 댓글수: 13182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shaula

2017.03.01 13:22
가입일: 2018:10.08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567

감사합니다.

profile

Bobono

2017.03.02 12:36
가입일: 2016:12.05
총 게시물수: 17
총 댓글수: 815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profile

hallasan

2017.04.09 19:31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375

감사합니다.

profile

세계일주

2017.09.28 22:21
가입일: 2018:10.09
총 게시물수: 86
총 댓글수: 737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보안 게시판 신설 file + 8 Op 2016-10-16 586
151 보안 소식 공유기 DNS 변조 조직, 큐싱 등의 진화된 공격으로 다시 등장 + 8 ordo 03-27 209
150 보안 소식 랜섬웨어 때문에 ‘아이웹’ 서버 암호화 파란하늘 09-27 210
149 보안 소식 1월 ‘위조 WhatsApp 알림메시지·발렌타인데이 선물’ 위장 스팸 많아 file + 7 따봉 01-04 213
148 보안 소식 '안전'표시 믿었는데…HTTPS 허점 악용한 피싱 사이트 주의 + 5 j1159 02-25 214
147 보안 소식 호기심에 클릭했다가… 음란물 위장 악성코드 '주의' + 11 티오피 08-04 215
146 보안 소식 스미싱 알림 모음 + 10 티오피 08-04 215
145 보안 소식 구글 플레이 스토어 ... 악성앱 + 2 루릿페 04-28 216
144 보안 소식 경찰도 당한 해킹… 공식 트위터에 낯 뜨거운 문구들이 + 7 크로커스 01-03 217
143 보안 소식 “ATM에 든 현금 다 뽑아내는” 멀웨어, 다크 웹에서 판매 중 file + 5 따봉 10-19 217
142 보안 소식 세인트시큐리티, 국산 인공지능 안티바이러스 개발 “100% 랜섬웨어 잡는다” + 12 언제나 12-11 218
141 보안 소식 세인트시큐리티 ‘MAX AI’, 악성코드 탐지율 100% 최고점수 획득 + 9 언제나 12-20 218
140 보안 소식 [긴급] 공유기 DNS 변조 악성앱 다시 기승...계정 탈취 시도 + 6 ordo 04-08 218
139 보안 소식 2017 결산-보안]지구촌 '울린' 랜섬웨어 + 3 덕애 12-30 218
138 보안 소식 윈도우 작업 스케쥴러 제로데이를 악용하는 악성코드 발견 + 1 티오피 09-08 220
137 보안 소식 시만텍과 구글, 한국전자인증의 인증서 소동...팩트는 이것 + 5 ordo 04-06 221
136 보안 소식 네트워크를 통해 퍼지는 Bad Rabbit 랜섬웨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공격 중 + 7 티오피 10-27 222
135 보안 소식 [KISA] Judy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3650만명이 넘는 구글플레이 이용자 감염 + 16 Soundofsol 06-04 224
134 보안 소식 Vault 8: 위키리크스, CIA의 멀웨어 제어 시스템인 Hive 소스 공개해 + 3 티오피 11-13 225
133 보안 소식 보안 앱인줄 알았는데 스파이웨어! 2년 만에 스토어에서 삭제 + 1 티오피 09-15 225
132 보안 소식 CryptoNar 랜섬웨어 출현! 모든 파일 암호화 + 3 파란하늘 09-17 227
131 보안 소식 '보안프로그램 사칭 토렌트 악성파일 주의보' file + 9 파란하늘 12-23 229
130 보안 소식 리투아니아, 보안 우려로 카스퍼스키 소프트웨어 사용 금지 + 3 티오피 12-25 231
129 보안 소식 한국 사이트 100여곳 홈페이지 변조...왜? file + 2 티오피 08-28 234
128 보안 소식 성공가도 달리는 랜섬웨어의 본질은 “속도전” + 7 크로커스 01-18 237
127 보안 소식 해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당신의 기기를 해킹하는 봇넷 발견 + 8 ordo 05-01 238
126 보안 소식 디즈니 ‘캐러비안의 해적’ 시리즈 최신판 유출? 결론은 허위 협박 + 11 크로커스 05-31 238
125 보안 소식 해킹 여부는 보안사항 + 5 덕애 10-12 238
124 보안 소식 해외 직구족 노리는 악성코드? 페이팔 계정 탈취 주의! + 12 j1159 03-03 239
123 보안 소식 애플의 macOS High Sierra 익스플로잇, 해커들이 키 체인 비밀번호를 순수 텍스트 형태로 훔치는데 악용할 수 있어 + 4 티오피 09-29 241
122 보안 소식 로키봇- 삭제 시도 하면 랜섬웨어로 변신하는 뱅킹 트로이목마 + 5 티오피 10-25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