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https://news.v.daum.net/v/20190827061307419

 

연세의대, 고혈압 165만명 10년 추적.."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선별·대책 필요"

 

대표적 만성질환인 고혈압에서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사망률이 높아지는 '건강 불평등' 문제가 심각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연구팀(김현창·이호규)은 2004∼2007년 새로 고혈압 진단을 받은 30∼80세 165만1천564명을 대상으로 10년간 사망률을 추적 조사한 결과,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고혈압 합병증에 의한 사망률이 높아지는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27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협회(AHA) 공식 학술지(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JAHA) 최신호에 발표됐다.

 

heart1.jpg

 

연구팀은 조사 대상 고혈압 환자를 소득수준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나눠 사망률을 비교했다.

 

이 결과, 소득수준이 하위 20%에 속하는 고혈압 환자는 상위 20%의 환자보다 사망률이 1.5배 높았다.

 

또 고혈압 환자들은 치료제를 정기적으로 처방받아 복용하는지를 기준으로 한 '치료 순응도'에 따라서도 사망률에 큰 차이가 났다. 치료 순응도별로 상, 중, 하 3개 그룹으로 나눴을 때, 고혈압 치료 순응도 하위 그룹의 사망률은 순응도 상위 그룹의 1.66배였다.

 

연구팀은 소득수준이 높고 치료도 열심히 하는 환자에 견줘 소득수준이 낮고 치료를 잘 하지 않은 환자는 사망률이 2.46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추산했다.

 

고혈압은 증상이 없으면서도 발병하면 동맥경화, 뇌졸중, 심근경색 등 치명적 결과를 초래한다고 해서 '침묵의 살인자'로 불린다.

 

대한고혈압학회의 '2018 고혈압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고혈압 환자는 2018년 기준으로 1천1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 중에서 최대 500만명이 고혈압인 줄도 모른 채 지내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학회의 분석이다.

고혈압 치료에는 혈압 강하제 약물요법과 함께 위험 요인을 일상생활에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고혈압과 관련된 위험 요인으로 가족력·음주·흡연·고령·운동 부족·비만·짜게 먹는 식습관·스트레스 등을 꼽는다.

연구팀은 이 연구가 소득수준과 고혈압 치료 행태가 복합적으로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처음 평가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현창 교수는 "우리나라는 최근 고혈압 관리 수준이 많이 향상됐고, 심뇌혈관질환 사망률도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소득수준이 낮은 환자의 사망률이 높은 건강 불평등이 여전한 것으로 확인된 만큼 저소득층 등 고혈압 관리 취약계층 대상을 선별하고 치료 실태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eart2.jpg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위험수위

2019.08.27 09:15
가입일: 2018:10.23
총 게시물수: 55
총 댓글수: 366

참고 해야 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808 가장 빠른 고속열차 -> 시속 504 돌파!!! 콩나물 05-30 11
1807 정부,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안…상시로 여름 냉방비 부담 던다 니나노니 06-03 11
1806 건강에 좋은 정보 이웃사촌 06-15 11
1805 알아 두면 좋은 생활 정보 이웃사촌 06-15 11
1804 "5G로 대한민국 산업·경제 재도약" 미래 06-20 11
1803 5개로 늘어난 스마트폰 '눈의 전쟁'..숫자보다 기능 대전 나그네량 10-07 12
1802 계단오르기 운동의 효과 file bluesky 02-25 12
1801 지구가 평평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지구평면론자들 file 회탈리카 02-25 12
1800 다양한 자동차 옵션들 file 회탈리카 02-25 12
1799 돼지고기 고르기 팁 file bluesky 02-28 12
1798 자동차 타이어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 file bluesky 03-01 12
1797 비내리는날, 진실 혹은 거짓 file bluesky 03-01 12
1796 거장이 직접 알려주는 명품 사진 9가지 꿀팁 file bluesky 03-02 12
1795 감동의 새끼 다람쥐키우기 file bluesky 03-02 12
1794 현대인의 인생을 망치는 8가지 습관 file bluesky 03-02 12
1793 약 보관 방법 정리 file bluesky 03-04 12
1792 벌들의 자기 방어 시스템 file 모니너 03-05 12
1791 애플 신형 아이패드 에어, 미니 발표 file 회탈리카 03-19 12
1790 올 여름, '역대 최악' 작년보다 덜 덥다.."6월엔 큰 비" 양귀비 05-23 12
1789 세계에서 여행하기 가장 안전한 나라 file 호박꽃 05-29 12
1788 내일부터 바뀌는 교통사고 과실비율 .jpg file 콩나물 05-29 12
1787 다가오는 여름 에어컨 셀프 청소팁! file 펭귄 05-30 12
1786 맥도날드에서 6월 3일 ~ 6월 7일 간에 오전 7부터 10시 까지 커피를 300잔 무료로 제공합니다 file 킹제임스 06-03 12
1785 서울시, 女 1인가구에 ‘불안해소 4종 세트’ 지원한다 file 호박죽 06-06 12
1784 생활에 유익한 정보 이웃사촌 06-15 12
1783 볶음밥레시피 모음 file 에단 06-17 12
1782 6월25일부터 음주운전 처벌강화. file + 1 볼트 06-25 12
1781 SKT, 넥슨과 손잡고 '카트라이더VR' 내놓는다 ckk2580 02-19 13
1780 삼성 vs 화웨이, 혁신 경쟁 본격화...'폴더블폰' 격돌 ckk2580 02-19 13
1779 찢어진 패딩 수선 file 모니너 02-2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