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기상청이 25일 서해안에서 인공강우를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 실험을 수행한 가운데, 인공으로 비를 내려 미세먼지는 잡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회의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결국 ‘보여주기식’에 그칠 것이란 지적이다.

인공강우는 구름을 이루는 작은 수증기 입자들이 서로 잘 뭉쳐 물방울로 떨어지도록 구름씨(응결핵)를 뿌려 주는 것을 말한다. 자연적으로는 작은 얼음 결정이 구름씨 역할을 하는데 인공강우의 경우 항공기로 구름에 요오드화은(AgI)나 드라이아이스(CO2) 입자를 살포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다.

문제는 인공강우를 내리려면 비를 내릴 수 있을 정도의 수분을 가진 구름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고농도 미세먼지는 한반도가 고기압 영향권에 들어가 대기가 정체될 때 오염물질이 쌓이면서 발생하는데, 이런 고기압 상태에서는 구름이 없고 날씨가 맑기 때문이다. 구름이 없으면 아무리 많은 구름씨를 뿌려 줘도 비를 내릴 수 없다. 

구름이 있다 해도 인공강우로 내릴 수 있는 비의 양은 시간당 0.1~1㎜에 불과하다. 미세먼지를 쓸어 내리기에는 부족한 양이다. 기존에도 국립기상과학원은 가뭄 해소를 위한 대안으로 인공강우 실험을 해왔는데 9차례의 시도 중 4차례 비를 만드는 데 성공하긴 했지만 비의 양이 매우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실험 역시 인공강우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확인하기에는 만들어진 비가 매우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인공강우를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은 효과가 있다고 하더라도 일시적일 뿐이다. 김세웅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을 근본적으로 줄이지 않는 한 비가 온 뒤 잠깐 깨끗해질 순 있어도 곧 미세먼지는 다시 생성될 것”이라며 “인공강우 실험은 미세먼지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는 중국이 올림픽이나 국경이 같은 큰 이벤트를 앞뒀을 때 인공강우를 쓰는 이유이기도 하다. 중국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 개막식을 앞두고 구름 낀 하늘에 소형로켓으로 구름씨를 뿌려 인공강우가 내리게 했다. 개막식 도중 비가 오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대기 질을 일시적으로 깨끗하게 만든 것이다.

인공강우의 부작용도 고려해야 한다. 자연적으로는 구름이 이동하면서 비를 내리는데 특정 지역에서 구름의 수분을 인위적으로 다 써버리면 다른 지역에 비가 덜 내리게 된다. 또 이번처럼 실험 규모가 아니라 실제 대기 질 개선을 위해 대량으로 요오드화은을 살포할 경우 떨어진 비가 토양을 오염시키거나 생태계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 

국립기상과학원 관계자는 “해외에서 인공강우의 주목적은 비를 내릴 수 있는 구름이 있을 때 강우량을 늘리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주류 과학계에서는 오랜 기간에 걸쳐 가뭄 해소를 위해 인공강우 연구를 해왔지만 그 효과에 대해 회의적인 결론을 내렸다”며 “마치 인공강우가 미세먼지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처럼 홍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송경은 기자 kyungeun@donga.com]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팔라스

2019.01.26 17:00
가입일: 2018:01.18
총 게시물수: 26
총 댓글수: 26

실현하기만 한다면...

profile

왕미

2019.01.26 19:46
가입일: 2017:05.29
총 게시물수: 10
총 댓글수: 1564
추천
1
비추천
0

저게 개소리라고 여겨집니다. 


1. 다른 곳에 물이 부족하다. 

--> 그래서 바닷가에서 하는 건데요. 다른 곳에 무슨 물이 부족하다고 그래요? 


2. 요오드화 은 때문에 환경오염? 

--> 그래서 바닷강에서 하는 건데요. 요오드가 가장 많이 포함된 곳에 바닷물입니다. 

각종 서바이벌 키트를 구매하다보면, 해양에서 요오드 추출하여 살균제,살충제,소독약 등을 만드는 게 많습니다. 바닷물에는 그만큼 요오드가 많이 녹아 있기 때문이죠. 


3. 가뭄해소? 

--> 목적 자체가 가뭄과는 관련이 적은데요. 


4. 보여주기식 행정? 

--> 일단 성공하고 나서 그런 비판은 하자고요. 

아, 성공을 못했으니 저렇게 까는 건가? 


5. 미세먼지 해소의 근본 해결책이 아님. 

--> 일단 인공강우에 대해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은 저게 근본해결책이 아니라는 사실은 다 알고 있죠. 

그래도 저런 실험을 해서 그 데이터를 축적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 그러면, 실제로 인공강우가 필요할 때 써먹지 못하게 됩니다. 

인공강우의 이론에 대해 벌써 50년 전부터 대한민국에도 알려졌습니다. 그런데 시도는...? 거의 없었죠. 

이번 기회에 실험 데이터라도 많이 확보합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238 제철음식 캘린더 file + 1 bluesky 04-07 50
1237 무중력 볼펜?! + 1 난나니 04-01 50
1236 삼성, 갤럭시S10 수리비용 file + 1 회탈리카 03-28 50
1235 신형 소나타 야간주행 file 회탈리카 03-21 50
1234 패딩보관 꿀팁 file + 2 bluesky 03-07 50
1233 인공고기 근황 file + 2 회탈리카 03-06 50
1232 갤럭시 S10 카메라 손떨림 방지 기능 사기치다 걸림 file + 1 ROG 02-23 50
» 인공강우가 미세먼지 근본 대책이 될 수 없는 이유 + 2 별빛지기1 01-26 50
1230 삼성 엑시노스 9820 SoC 발표 file + 1 민초 11-17 50
1229 오늘자 수능 언어영역 멘붕 지문 file 회탈리카 11-15 50
1228 세계최초 폴더블 폰 근황 file 회탈리카 11-10 50
1227 우울증의 신체적 고통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file + 1 회탈리카 10-29 50
1226 서양의 Kim여사 file 회탈리카 10-17 50
1225 무제한 요금제 비교 file + 3 회탈리카 10-13 50
1224 오뚜기 '진라면', 신라면 턱밑까지 추격 file + 3 회탈리카 10-05 50
1223 생활 속 순 일본말 file + 2 회탈리카 09-25 50
1222 장사 안되는 가게 골라 인수… 매장 240개 치킨플러스 '돌풍' file + 2 시나브로 09-19 50
1221 휴가는 이곳으로 가세요 회원님들 file + 1 회탈리카 08-08 50
1220 수입 새우에서 바이러스 무더기 검출 file + 2 회탈리카 09-10 49
1219 고부 갈등 + 1 좋은이웃 07-27 49
1218 거식증을 예찬하다니.. 1020세대 날씬한 몸 동경 풍조 위험수위 file dukhyun 07-08 49
1217 속옷 어떻게 버리고 계세요? file 으악 06-19 49
1216 부산 해운대·송정·송도, 충남 만리포해수욕장 개장 file kwonE 06-01 49
1215 자동차보험 과실비율 100% 확대… 30일부터 시행 스톨게 05-27 49
1214 우주의 마지막 file + 2 회탈리카 05-19 49
1213 우리가 모르는 샤워의 효능 file bluesky 04-09 49
1212 나라별 피해야 할 여행시기 file + 2 회탈리카 03-28 49
1211 TV화면 크기 고르는 공식 file + 2 딸기향해열제 02-12 49
1210 구글-필기인식계산기 출시기념 무료. + 4 순대랠라 02-08 49
1209 해외의 안아키들 file + 1 회탈리카 01-22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