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Warning!  자유 게시판에서 질문을 하시면 바로 강퇴 됩니다.
분류 :
일반
조회 수 : 98
추천 수 : 1
등록일 : 2018.08.13 10:13:02
글 수 21,851
URL 링크 :

 

 

♡밀레의 '만종(晩鍾)'에 얽힌 슬픈 이야기♡

 

밀레의 '만종'은

우리에게 잘 알려진 그림입니다.

그 그림이 밀레의 대표작이라서가 아니라,

초등시절부터 미술 교과서에서 익히 보아 왔던 그림의

원본를 직접 볼 수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당시 루브르 박물관에

있었던 다른 나라 관람객들도 '모나리자'와 '만종' 앞에 유난히 많이

 몰려있었습니다.그런데 저는 그 때 이 그림 속에 아주 슬픈 사연이

숨어 있었다는 것은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이 그림에 숨어있는

 슬픈 이야기는 귀동냥으로 알고 있었는데 최근에 한 지인이

바르비종 마을 사진과 사연을 보내왔어요.

그래서 글과 사진을 정리하고 다시

편집해 보았습니다.

 

혹시 앞으로 밀레의

'만종'을 보시게 되면

이러한 숨은 이야기를 생각하면서

그 그림을 감상해 보시면 좋겠다 싶어서요.

똑같이 그림을 보거나 음악을 들어도 그 배경과 숨은

이야기를 알고서 감상하는 것과 모르고 감상하는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또한 '아는 것 만큼 보이고,

 아는 것 만큼 즐길 수 있다.'는 말,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프랑스 화가하면

떠오른 사람은 밀레이고,

밀레하면 만종, 이삭줍기, 씨뿌리는 사람 등

명작들이 바르비종( Barbizon) 마을에서 그려졌다고 합니다.

 

바르비종 마을앞

명작을 탄생시킨 넓이를 간음할 수 없는

넓은 경작지. 밀레는 저 먼 숲 근처에서 화필을 들었을 것입니다.

 

 



 

바르비종 마을 입구에 세워진 안내판



바르비종 동구


바르비종 뒤편 마로니에 가 무성하다



바르비종 마을로 들어가는 길목



바르비종 안길 양편은 옛날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고 한다.








밀레가 사용했던 화방 , 지금은 유물 전시장 활용





 

밀레화방 입구 이 전시실에는

여러가지 유품이 전시되고 있다.

바르비종은 관광지화 되어 고급 휴양지로 변모되고

명작 진품은 루브르 박물관으로 옮겨 관리하고 있다고 한다.

 







 


지금으로부터 100년전,

백화점 소유주였던 '알프레드 쇼사르'가

80만 프랑에 이 작품을 구입해 루브르 박물관에 기증한 후

한번도 거래된 적이 없었던 '만종'은 값을 매긴다는게 불가능한 보물이다.

그러나 작품이 처음 만들어진

1860년 당시 밀레는 물감을 살 돈조차 없는

가난한 화가에 불과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화상

'아르투르 스테반스'가 그림을 인수하는 조건으로 1,000프랑을 지원한다.

이 1,000프랑으로

탄생한 그림이 바로 '만종'이다.

이렇게 탄생한 만종은 100년만에 80만 프랑

값어치를 얻었고 그로부터 또 100년이 지난 지금

프랑스의 자존심이자 전 세계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보물이 된 것이다.

1,000 프랑을 지원한 것이 국부(國富) 를 일구어 낸 것이다.

루브르에 돌아오기 전 '만종'은 미국 아메리카 미술협

회에 팔렸다. 프랑스 측은 국회와 행정부는 물론

모금활동까지 벌여가며 ' 만종'이 미국에

팔리는 것을 막으려 했다.

그러나 부자나라

미국을 당할 수는 없었다.

프랑스가 자존심이 상한 채 주저앉아 있을 무렵

백화점 재벌 알프레드 쇼사르가 미국에 엄청난 대가를

지불하고 ' 만종' 을 다시 사들인 것이다.

쇼사르는

이 그림을 개인 자격으로

유하지 않고 루브르에 기증했다.

예술의 가치를 알아본 쇼사르가 없었다면

 "만종"은 지금쯤 미국 어느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을 작품이다.

이 그림은 '이삭줍기'와 더불어 많이 알려진 그림 중 하나다.

그림을 보면 하루 일을 마치고 농부 부부가 교회 종소리를

 들으며 기도하는 평화로운 그림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이 그림에는 슬픈

이야기가 숨어 있다.

 

농부 부부가 바구니를

밭밑에 놓고 기도하고 있는데

사람들은 그 바구니가 감자씨와 밭일 도구를 담은

바구니로 알고 있었다. 그런데 사실은 그 바구니에는 씨

감자가 들어있던 게 아니라 그들의 사랑하는 아기의 시체가 들어 있었다.

 

그 시대,

배고픔을 참고

씨감자를 심으며 겨울을 지내면서

봄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의

아기는 배고픔을 참지 못해 죽은 것이다. 죽은 아기를 위해

마지막으로 부부가 기도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 바로 '만종'이다.

그런데 왜 그림 속의 아기가 사라졌을까? 이 그림을 보게 된

밀레의 친구가 큰 충격과 우려를 보이며 아기를

넣지 말자고 부탁을 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밀레는 고심 끝에 아기

대신 감자를 넣어 그려

출품했다고 한다.

그 이후 이 사실이 알려지지 않은 채

그저 농촌의 평화로움을 담고 있는 그림으로 유명해졌다.

'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1904-1989)는 정말 남 달랐다.

밀레의 '만종'을 보면 누구라도 신성한 노동후의 고요한 정적과 평화를 느낄 것이다.

그러나 이 그림을 보고 '달리'는 알 수 없는 불안감을 맛보았다.

그 불안감이 얼마나 집요하게 그의 뇌리에 달라 붙었는지

' 달리'는 오랜동안 그 까닭을 알아내려 했고,

그에 관한 책을 쓰기까지 했다.

' 달리'의 직관은 밀레의

<만종>에 그려진 감자 자루를 어린 아이의 관으로

보고 이루 말할 수 없는 불안을 느꼈던 것이다. 수십 년 후, 이러한

'달리'의 투시력은 환각이 아니라 실제로 정확한 관찰이었음이 밝혀졌다

루브르 미술관이 자외선 투사작업을 통해 그 감자 자루가 초벌

그림에서는 실제로 어린아이의 관이었음을 입증한 것이다.

바르비종(Barbizon)은 밀레나, 루소의 활동무대였다.

.

파리의 아틀리에 틀어 밖혀서

아카데믹한 그림만 그리고있는 어용화가들과

인연을 끊고 농촌으로 이주해 움직이는 농민의 모습을

그린테 그드로, 루소, 밀레, 디어스테라페나 등의 미술혁명가들이

농민과 함께 생활하던 곳이다.

이전글 다음글

덕산선생

2018.08.13
14:51:12
밀레의 "만종"과 "이삭줍기"의 그림을 보면 절로 고귀함과 순수함이 묻어나는 듯 한 느낌이 들더군요. 정말 잊혀지지 않는 명화인 것 같습니다.

떴다맨

2018.08.13
21:37:46
새로운 사실을 알아갑니다..
그렇쿤요 밑에 놓인 감자 바구니가 사실은 굶어 죽은 아기의 관을 그렸다 다시 지우고 감자 바구니로 둔갑한거 였군요...

아기의 마지막을 기도하는 모습 ...너무 가슴에 와 닿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불편 ※ 박제 (댓글도배) 리스트 ※ (Updated 2019-08-21) [14] file 은소라 2019-08-13 2266
공지 정보 오에스 매니아 [ OSManias ] 게시판 및 댓글 이용 안내 [ V : 3.0 ] UzinSG 2019-04-30 2924
공지 정보 오에스 매니아 [ OSManias ] 게시판 이용 안내 [ V : 3.0 ] UzinSG 2019-04-30 2200
공지 불편 오매에서 주관적인 댓글 작성하지 마세요 [56] file Op 2019-04-10 3067
11607 일반 희망을 만드는 사람이 되라 [1] file 응딱 2017-11-24 463
11606 일반 첫 눈 [3] 강글레리 2017-11-24 422
11605 정보 [오늘의 운세] 11월 24일 금요일~26일 일요일(음 10월 7일~10월 9일) [4] 아이콘 2017-11-24 53
11604 정보 11. 24 금요일 [고발뉴스 조간브리핑] [4] 아이콘 2017-11-24 72
11603 일반 중증외상센터 [6] 강글레리 2017-11-24 490
11602 일반 좋은 주말 보내세요~ [1] file 유비즈 2017-11-25 351
11601 일반 어느새 주말인데요 눈까지 펑펑왔네요 [5] 하늘소 2017-11-25 77
11600 일반 윈도우 11 IN 1 작업 한거 올려두었네요... [3] UzinSG 2017-11-26 106
11599 정보 호스팅업체도 블랙프라이데이 세일하내요 file 피터팬 2017-11-26 84
11598 고마움 가입인사 드립니다.. [5] 토마토좋아 2017-11-26 563
11597 일반 누구나 마음속에 사랑이 있습니다 [2] file 응딱 2017-11-27 52
11596 정보 [오늘의 운세] 11월 27일 월요일 (음 10월 10일) [2] 아이콘 2017-11-27 37
11595 정보 11. 27 월요일 [고발뉴스 조간브리핑] [3] 아이콘 2017-11-27 49
11594 일반 윈도우 XP [2] file 강글레리 2017-11-27 270
11593 일반 11월의 마지막 주~~ [1] 유비즈 2017-11-27 229
11592 사랑 라디오 감동사연 눈물 [2] file 달림이 2017-11-27 272
11591 일반 오랜만에 들러 발도장 찍고 갑니다.~ [2] 센토리 2017-11-27 54
11590 일반 아마존에서 프로그램 구입했어요~ [4] 디자인앨리스 2017-11-27 103
11589 일반 가입인사드립니다 [2] 꽃남자 2017-11-27 475
11588 일반 다음 윈도우 업데이트팩 만들시 추가적으로 좀 늘려고 하는 사항... [2] UzinSG 2017-11-27 91
11587 정보 윈도우10 레드스톤3은 버그가 많다고 하던데 사실인가요 헉~ 꽃남자 2017-11-28 63
11586 불편 윈도우10 레드스톤3는 크롬도 잘 알깔리는 버그가 있던데요 [1] 꽃남자 2017-11-28 58
11585 사랑 이제 3일만 있으며 겨울입니다 [2] 꽃남자 2017-11-28 39
11584 일반 가장 낮은 자세 [2] file 응딱 2017-11-28 417
11583 정보 메이저리그를 포기하고 국내로 돌아온 최고의 홈런타자 박병호 [1] 꽃남자 2017-11-28 51
11582 정보 국내 잔류 결정 손아섭 FA98억 대박 꽃남자 2017-11-28 108
11581 동영상 좋은글 좋은 영상이빈다 꽃남자 2017-11-28 415
11580 동영상 인생사 새옹지마 [1] 꽃남자 2017-11-28 466
11579 정보 미세먼지 조심애야겠네요 [1] 꽃남자 2017-11-28 459
11578 추천 장동건사진 [2] 꽃남자 2017-11-28 528
11577 일반 잔뜩 흐린 아침.... [2] 유비즈 2017-11-28 531
11576 불편 조금전에 오매 해킹을 당한것 같아요 [7] file Op 2017-11-28 158
11575 일반 피곤하네요. [1] 로임 2017-11-29 503
11574 일반 척박한 땅 [3] file 응딱 2017-11-29 523
11573 일반 절반의 빵 [1] 나연파파 2017-11-29 508
11572 일반 낙태 강글레리 2017-11-29 508
11571 일반 오진 강글레리 2017-11-29 505
11570 일반 쓸데없이 버려지는 시간을 활용하라 [1] 해마천사 2017-11-29 32
11569 일반 감쪽같이 파문을 지울 수 있다면 해마천사 2017-11-29 86
11568 일반 으름꽃 file 해마천사 2017-11-29 535
11567 일반 도자기 해마천사 2017-11-29 542
11566 일반 눈치를 안다는 것 해마천사 2017-11-29 567
11565 일반 최고의 것을 이끌어내는 가장 좋은 방법 해마천사 2017-11-29 31
11564 일반 저질렀다는 것은 해마천사 2017-11-29 589
11563 일반 계요등 file 해마천사 2017-11-29 614
11562 일반 저녁 맛있게 드세요~ [1] file 유비즈 2017-11-29 605
11561 일반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김밥 [3] 나연파파 2017-11-30 614
11560 정보 [오늘의 운세] 11월 30일 목요일 (음 10월 13일) 아이콘 2017-11-30 50
11559 정보 11. 30 목요일 [고발뉴스 조간브리핑] [2] 아이콘 2017-11-30 72
11558 정보 오매의 메인 게시판 목록 및 간단한 설명 입니다. [2] UzinSG 2017-12-01 80
11557 일반 가입인사 드려요... [8] 미카엘65 2017-12-01 513
11556 일반 러시아 월드컵 조편성 [2] file 강글레리 2017-12-02 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