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명절과 가족의 의미가 흐려지고 있는 시대, 그래도 설날 아침 차례상을 준비하는 당신. 전통과 관습을 존중하며 세대간 화합과 가족의 평화를 위한 노력에 경의를 표한다. 베테랑 주부가 아닌, 만약 신혼 초이거나 어르신들이 돌아가신 후 처음으로 준비를 도맡았다면 자칫 '멘붕'이 올 수 있다. 긴장하지 말자. 전통적으로 내려온 어르신들의 차례상 차리는 방식 ·용어와 지방 쓰는 법, 차례 지내는 순서를 알아보자. 생소하겠지만, 그 속에 숨어 있는 의미를 알면 담박에 이해가 될 것이다. 

▲차례상, 산 사람 식탁과 원리는 같다
차례상을 차리는 법도 곰곰이 뜯어 보면 우리가 평상시 식탁에 음식을 차리는 법과 다르지 않다. 밥과 국, 수저, 술잔을 먹는 사람 앞에 놓고, 손이 더 자주 가는 음식 순서대로 배치한다. 과일, 과자 등 후식은 나중에 먹으니 상 맨 끝에 놓는다. 그 다음 제사상 바로 앞 가운데에 모사 그릇과 향로, 향, 술 주전자 등을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신주를 기준으로 맨 앞 첫 줄엔 식사류인 밥ㆍ국을 놓고 그 앞에는 술잔을 놓는다. 모시는 조상님 숫자만큼 준비한다. 밥은 흰 쌀밥, 국은 무우국 또는 생선국 등 맑은 국물을 대체로 쓴다. 술은 정종이나 전통 소주 등 맑은 술로 쓴다. 식초와 간장은 종지에 담아 놓는다. 두번째 줄에는 구이와 전, 세번째 줄에는 탕 종류, 네번째 줄엔 나물, 김치 등 밑반찬류, 마지막 줄엔 과일과 과자 등을 놓는다. 
0004180707_002_20180216070014930.jpg?typ추석차례상 지방쓰는법 / 사진=다음 백과사전 캡처

부침개는 고기 전, 생선 전, 구이는 조기, 쇠고기, 닭, 포는 어포, 육포 등을 준비한다. 어포는 그릇에 담을 때 등을 위로 가게 한다. 김치는 나박김치, 나물은 3색 나물, 과일은 짝수로 담는다. 모든 제사 음식에는 마늘, 후추, 고춧가루, 파 등 향신료를 쓰지 않고 간장ㆍ소금만 쓴다.격식을 좀더 따지는 집안에선 차례상의 방향도 본다. 북쪽으로 신위를 배치하고 남쪽에 서서 차례를 지낸다. 병풍을 준비해 신위를 붙이거나 없다면 신위를 세워 둔다. 나이든 어르신의 주도로 차례상을 차릴 때는 다음과 같은 용어도 미리 알아 두면 좋다.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색의 과실은 동쪽 흰색의 과실은 서쪽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좌포우혜 :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 ▲동두서미(東頭西尾) : 생선의 머리를 동쪽, 꼬리는 서쪽 ▲동조서율(東棗西栗) : 대추는 동쪽 밤은 서쪽 등이다. 또 제사 때는 밥은 '메', 국은 '갱', 숭늉은 '숙수', 구이는 '적', 부침개는 '전', 찌개는 '탕'으로 부른다. 차례상을 다 준비했다면 다음은 지방을 쓴다. 조상님 위패를 대신해 간편화한 것이 지방이다. 폭 6cm 길이 22cm의 한지를 준비한다. 오른쪽에 여성, 왼쪽에 남성을 쓴다. 제주와의 관계, 직위,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神位)라고 쓰면 된다. 앞에 현을 쓴 후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 고조부모는 '고조고(高祖考)', '고조비(高祖?)'라고 쓴다. 
남자 조상은 벼슬의 이름을 쓰거나 없으면 '학생'(學生)을 쓴다. 여자 조상은 남편의 직위에 따라 정경부인(貞敬夫人), 정부인(貞夫人), 숙부인(淑夫人) 등의 호칭을 쓴다. 남편의 벼슬이 없으면 '유인'(孺人)이라고 쓴다. 고인의 이름은 남성은 모두 부군(府君), 여성은 본관과 성씨(예 : 김해 김씨)만 쓴다. 단 자식이나 동생은 이름을 쓴다.
예컨대 벼슬없이 돌아가신 할아버지의 경우 현조고학생부군**신위, 할머니는 현조비유인***씨신위 등으로 쓰면 된다. 
0004180707_003_20180216070014947.jpg?typ

▲차례 지내는 순서
차례상 양 옆의 초에 불을 붙인 후 향을 피우면 차례가 시작된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그다음에 제주가 직접 상 위의 잔에 술을 따른다. 떡국 혹은 송편 위에 올려 놓은 수저와 젓가락을 정돈하거나 다른 반찬으로 옮겨 놓는다. 잠시 공손히 서 있다가 수저를 거둔 후 모두 두 번 절을 한다. 지방을 불사르고 신주를 다시 모신다. 차린 음식과 술을 모두 같이 나눠 마신다. 단 음주 운전을 피하기 위해선 '음복'(飮福ㆍ제삿상에 놓았던 술을 나눠 마시는 것)은 금물이다. 
제수 준비와 설거지 등 명절 노동을 형제 자매간에, 남녀간 공평하게 나누는 것이 요즘 추세다. 명절 증후군, 형제 자매간 갈등을 줄이기 위해선 필수다. 차례를 지낸 후엔 세배를 주고 받되, 취업이나 대입, 결혼, 출산 등과 관련해 가뜩이나 예민한 조카나 친인척들을 배려해 따뜻한 격려의 장을 마련하면 좋을 것이다. 괜히 관심있는 척하며 상처를 건드리지 말고 차라리 쿨하게 모른 척하는 게 정답이다. 
제사와 차례를 모시는 사람들의 원조 격인 공자도 예(禮)를 애인(愛人), 즉 인(仁)을 실천하기 위한 행동규범이라고 했다. 예는 사람을 사랑하기 위한 방법이지 괴롭게 만들라는 게 아니란 뜻이다. 모두가 행복한 명절을 만들기 위해 서로에 대한 배려와 소통에 좀더 노력을 기울여보자.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anfy

2018.02.21 03:37
가입일:
총 게시물수: 6
총 댓글수: 673
간편히 정리해주셨군요
profile

f포메이션

2018.02.28 12:29
가입일: 2016:08.01
총 게시물수: 5
총 댓글수: 264
이것도 다 근거 없는 이야기라죠.
1969년 인가 그때 가정의례준칙인가 그거 만들면서 나온말이라고,
홍동백서, 어동육서 그런건 그전에는 없었던 단어라고 하더군요. 즉 일제감정기 전에는 없던 근본없는 단언들
profile

판교돌직구

2018.03.24 22:16
가입일: 2018:11.24
총 게시물수: 19
총 댓글수: 65
차례는 진짜 시대에 맞게 간결해져야 하는데 ㅠㅠ
profile

우야꽁

2018.03.28 19:42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12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t-time

2018.03.30 00:47
가입일: 2018:02.05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50
종이로 시늉만 내면 안되남?
profile

준상

2018.04.11 23:18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391
허례허식... 각자 알아서 자신의 환경와 형편에 따라 정성껏 하면 됩니다.
profile

버자이너

2018.05.18 17:10
가입일:
총 게시물수: 17
총 댓글수: 141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고랑몰라

2018.05.26 09:59
가입일: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153
정보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8 무선 이어폰' 해외 직구한다면 꼭 알아둬야 할 정보 file 회탈리카 11-07 227
67 샴푸에 숨겨진 무서운 진실 + 21 깜치 07-20 231
66 공기청정기, 거실 한가운데 둬야 하는 이유 file + 1 회탈리카 11-08 231
65 과학자가 말하는 우리몸 file + 1 회탈리카 11-13 231
» 알고 보면 쉬운 '차례상 차리기·지방 쓰는법' + 8 구소롤 02-16 235
63 전범맥주 아사히 마감 file + 6 달림이 03-13 235
62 유용한 전화번호 file + 16 건강하고행복하게 04-12 235
61 뇌파 기술 file 회탈리카 11-14 235
60 부산 중소업체 나이키와 1조규모 계약체결 file Chu~♥ 11-15 237
59 요즘 정류장에 생기고 있는중... file 회탈리카 11-07 238
58 양파의 놀라운 효능 53가지 + 7 깜치 02-02 241
57 재활용인 줄 아는 쓰레기 file + 1 회탈리카 11-07 242
56 화장실 변기에 뚜껑이 있는 이유 file + 13 농심 01-20 243
55 모토로라 폴더블 레이저 서마터폰 Chu~♥ 11-15 243
54 종부세 file 회탈리카 11-24 244
53 오미크론 file 회탈리카 11-28 244
52 백신반대론자 최신 주장 file 회탈리카 12-14 245
51 대박났다는 박명수가 차린 스터디카페 file 회탈리카 11-15 245
50 진열장 유리가 아니라, 삼성 전자가 만든 투명 OLED TV file + 3 회탈리카 11-10 246
49 겨울철 한번씩체크해주세요 file 회탈리카 11-14 246
48 제임스 웹 망원경 온도 file 회탈리카 01-01 248
47 자동차 정품 휠 확인할 수 있는 방법 file + 1 dodos 07-22 248
46 권총 격발의 원리 file Chu~♥ 11-15 250
45 과학계를 뒤흔들고 있는 '인간 커스터마이징' file 회탈리카 01-05 251
44 술 마시기전에 좋은 음식 + 5 지후니빠 12-27 251
43 하루 세 번 양치질, ‘이렇게’ 하면 되레 건강 악영향 Op 11-10 253
42 수박 쉽게 자르는 도구 file + 8 푸른바다처럼 07-22 254
41 55 75 86인치 tv 비교 file 회탈리카 11-15 254
40 코로나 중환자 병동 간호사와 CNN의 인터뷰 file 회탈리카 12-30 255
39 최근 성공한 신기술 file + 1 회탈리카 11-08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