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CrpytoMix의 변종으로 알려진 CryptoShield 2.0 (1.0 -> 1.1 -> 1.2 -> 2.0, 버전별 간략한 특징은 글 하위에 정리함) 국내에서 유포되고 있는 것을 안랩의 악성코드 위협 분석 및 클라우드 진단 시스템인 ASD (AhnLab Smart Defense) 에서 확인 되었다. CryptoShield는 CryptoMix와 유사한 점도 많지만 버전이 올라갈수록 대상 확장자의 증가, 윈도우 기본 유틸리티를 이용한 윈도우 복구 기능의 무력화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더 악의적으로 진화하는 랜섬웨어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사용자가 체감할 수 있는 CryptoMix 와의 가장 큰 변화는 다음과 같다.


2235CA4F58AF8641208718

[그림-1] CryptoMix에서 변화한 CryptoShiled 2.0 HTML 랜섬노트


CryptoMix 의 경우 랜섬노트가 단순한 텍스트 파일만 생성하던 것과는 다르게 상기 그림과 같이 감염된 파일이 있는 경로마다 HTML 파일을 추가하여 생성하고 감염 후 실행시킨다. HTML 파일의 내용은 상기 [그림-1]과 같다.


유포방식은 CryptoMix (클 릭 시 블로그내 분석 정보로 연결)와 유사하게 Rig-V EK (SWF 취약점 CVE-2015-8651 외)를 이용하였으며 취약점이 존재하는 웹 페이지를 방문할 시 사용자도 모르게 CryptoShield에 의해 파일들이 암호화가 된다.

 

최근 버전의 CryptoShield 2.0의 암호화 대상 확장자는 1200여개(버전 1.0의 경우 454개)로 CryptoMix 와 유사하며 아래한글 확장자인 .hwp 도 포함 된 것을 알 수 있다.

 

2457794858AF865510CEB6


[그림-2] CryptoShield 2.0기준 암호화 대상 확장자 일부


사용자의 컴퓨터 모든 드라이브(C~Z)를 탐색하며 상기 확장자 파일은 모두 암호화 한다. 하지만 CryptoMix와 같이 경로에 다음 특정 문자열이 있을 경우(ex: c:\WINDOWS) 해당 폴더내 파일은 암호화 하지 않는다.


WINDOWS

PACKAGES

COOKIES

PROGRAMDATA

MICROSOFT

BOOT

APPLICATION DATA

WINNT

TMP

INETCACHE

NVIDIA

SYSTEM VOLUME INFORMATION

$RECYCLE.BIN

TEMP

WEBCACHE

CACHE

PROGRAM FILES (X86)

PROGRAM FILES

TEMPORARY INTERNET FILES

APPDATA


[표-1] 암호화 제외 경로 문자열


 

암호화가 진행되면 파일은 다음과 같이 변경된다2567B74A58AF867034F1B6

[그림-3] 암호화 된 파일의 변경 전(위) 변경 후(아래)


CryptoMix 와 차이점은 ROT13 ( Rotate by 13 places ) 을 이용하여 파일명을 암호화 한 뒤 확장자인 .CRYPTOSHIELD. (버전2.0 기준 파일 확장자 끝 . 추가 됨)을 붙인다. 파일명이 한글이나 숫자일 경우는 변경하지 않고 확장자만 변경한 뒤 .CRYPTOSHILED.을 추가한다.

 

230A644D58AF8692202F2F


[그림-4] ROT13 암호화 알고리즘(ex: Penguins.jpg -> CRATHVAF.WCT)


출처 - https://ko.wikipedia.org 


파일 암호화를 마친 뒤 CryptoMix와 같이 윈도우 기본 유틸리티를 이용한 볼륨 쉐도우 삭제 및 부팅 구성 데이터 편집기(bcdedit.exe)를 이용하여 윈도우 복구 무력화를 진행한다


명령어

기능

vssadmin.exe  Delete Shadows /All /Quiet

볼륨 쉐도우 삭제

Net stop vss

볼륨 쉐도우 서비스 중지

bcdedit /set {default} bootstatuspolicy ignoreallfailures

Windows 오류 복구 알림창 표시 끔

bcdedit  /set {default} recoveryenabled No

복구 모드 사용 안함

vssadmin.exe  Delete Shadows /for=%c: /All /Quiet

(%c= a ~ z)

a~z 드라이브에 있는 볼륨 쉐도우 삭제(버전 1.2 추가)


[표-2] 사용자의 복구를 막는 명령어와 기능

 

다른 랜섬웨어인 Locky나 Cerber와는 다르게 CryptoMix 처럼 특정경로에 자기 복제 후 원본 랜섬웨어와 함께 모두 레지스트리 Run 키에 등록하여 재부팅 후에도 다시 동작하게 설정해둔다 


2744624E58AF86A20F19EA


[그림-4] 레지스트리 Run 키에 등록된 랜섬웨어 


레지스트리

DATA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Windows SmartScreen Updater

원본 랜섬웨어

HKCU\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Windows SmartScreen

복사된 랜섬웨어


[표-3] CryptoShiled 레지스트리 등록 정보(*변형마다 다름)


CryptoShield는 네트워크 접속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전송하고 종료된다.


접속 주소

45.76.81.110/test_site_scripts/moduls/connects/mailsupload.php

107.191.62.136/js/prettyPhoto/images/prettyPhoto/default/information.php


[표-4] CryptoShield 네트워크 접속 정보(*변형마다 다름)


 참고로 각 버전 별 간략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CryptoShield 1.0

CryptoShield 1.1

CryptoShield 1.2

CryptoShield 2.0

암호화 확장자

.CryptoShield

.CryptoShield

.CryptoShield

.CryptoShield.

랜섬노트 버전

CryptoShield 1.0

CryptoShield 1.1

CryptoShield 1.2

CryptoShield 2.0 Dangerous

Windwos복구 무력화 명령어

4개

4개

5개

5개

암호화 대상 확장자

454개

1209개

1209개

1209개


랜섬웨어의 특성상 완벽한 복구 방법이나 예방법은 없지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항상 윈도우 보안 패치 및 V3 백신 프로그램을 최신 업데이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신뢰할 수 없는 출처의 메일 등의 첨부 파일 실행 및 확인되지 않은 웹 페이지 방문 시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와 플래시 취약점을 이용함으로 플래시 보안 업데이트도 최신으로 유지가 필요하다.


현재 V3 에서는 CryptoShield 랜섬웨어를 다음과 같은 진단명으로 진단하고 있다.


- Trojan/Win32.CryptoShield(2017.02.03.00)


- Win-Trojan/CryptoShield.Gen (2017.02.07.00)

------

http://asec.ahnlab.com/1060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프리네

2017.03.01 03:49
가입일: 2016:05.06
총 게시물수: 310
총 댓글수: 13182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shaula

2017.03.01 13:23
가입일: 2018:10.08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567

고맙습니다.

profile

Bobono

2017.03.02 12:35
가입일: 2016:12.05
총 게시물수: 17
총 댓글수: 815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profile

hallasan

2017.04.09 19:30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375

감사합니다.

profile

hallasan

2017.04.09 19:31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375

감사합니다.

profile

세계일주

2017.09.28 22:21
가입일: 2018:10.09
총 게시물수: 86
총 댓글수: 737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보안 게시판 신설 file + 8 Op 2016-10-16 648
91 보안 소식 “올해도 여전히…” 새해 벽두부터 찾아오는 ‘악성코드’ 주의 + 6 크로커스 01-03 44
90 보안 소식 학회가 뽑은 2017년 정보보호 10대 이슈 file + 7 따봉 01-02 84
89 보안 소식 신년, 간략히 짚어보는 버그바운티의 역사와 미래 file + 7 따봉 01-02 44
88 보안 소식 보안’은 쏙 빠진 ‘웹 호환성 우수 사이트’ 이대로 괜찮나 file + 7 따봉 01-02 55
87 보안 소식 2017년 3大 보안 키워드: 랜섬웨어와 IoT, 그리고 클라우드 file + 7 따봉 01-02 51
86 보안 소식 2017년 보안 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5가지 file + 7 따봉 01-02 48
85 보안 소식 2017년 사이버 보안, 대담한 예측 6가지 file + 6 따봉 01-02 49
84 보안 소식 2017년 3월 국내 최대 보안 이벤트 ‘SECON 2017’ 열린다 file + 7 따봉 01-02 75
83 보안 소식 변하는 랜섬웨어에 맞는 새로운 사이버 적응력 필요하다 file + 7 따봉 12-30 168
82 보안 소식 랜섬웨어, 올해 최악의 ‘사이버 보안위협’ 자리 굳혔다 file + 7 따봉 12-30 126
81 보안 소식 파일 암호화 대신 삭제하는 랜섬웨어, 랜스캠 등장 file + 9 따봉 12-30 144
80 보안 소식 삭제형 멀웨어 킬디스크, 랜섬웨어를 업고 나타나다 file + 8 따봉 12-30 141
79 보안 소식 지능정보시대, 정보보호산업 육성에 1,285억 투입” file + 6 따봉 12-30 118
78 보안 소식 “2017년, CCTV통합관제센터의 지능화 구현에 역점” file + 7 따봉 12-30 56
77 보안 소식 긴급] 박○헤 포○노 영상 사칭까지...악성코드 스미싱 기승 file + 13 따봉 12-29 272
76 보안 소식 미라이 봇넷과 디도스, 4년 전부터 알고 있었다 file + 8 따봉 12-29 143
75 보안 소식 미라이 아닌 또 다른 사물인터넷 디도스 봇넷 발견 file + 8 따봉 12-29 156
74 보안 소식 KISA가 IoT 기기 버그바운티를 시작하는 이유 file + 8 따봉 12-29 132
73 보안 소식 미 국방부 이어 미군도 사상 최초 버그바운티 시작 file + 8 따봉 12-29 155
72 보안 소식 2016년 버그바운티 성과 보고서: 얻은 것과 잃은 것 file + 7 따봉 12-29 60
71 보안 소식 보안담당자여! 우리옆 의사,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공략하라 file + 8 따봉 12-28 119
70 보안 소식 긴급] 사용자 PC ‘원격 제어’하는 악성 파일, 토렌트 통해 급속히 유포 중 file + 5 따봉 12-28 130
69 보안 소식 2016년, 보안 업계를 깜짝 놀래킨 서프라이즈 5 file + 6 따봉 12-28 115
68 보안 소식 CCTV 영상정보 보안의 끝...데이터 암호화, 위변조 방지 등 기술적 필수요건 file + 7 따봉 12-28 132
67 보안 소식 [한국정보보호학회 칼럼] 학회가 뽑은 2017년 정보보호 10대 이슈 file + 7 따봉 12-28 66
66 보안 소식 난리의 유럽 : 10대는 디도스, 프랑스는 사이버전 강화 file + 5 따봉 12-28 109
65 보안 소식 연말정산 문서 함부로 열었다간 랜섬웨어 감염 + 7 크로커스 12-28 161
64 보안 소식 CA API 관리 솔루션, ‘자본시장 공동 핀테크 오픈플랫폼’ 지원 file + 8 따봉 12-27 58
63 보안 소식 보안, 구매자 끌어당기는 셀링 포인트 될 수 있을까? file + 6 따봉 12-27 59
62 보안 소식 상반기 결산] 보안업계 ‘합종연횡’ 실태...하반기 ‘지각변동’ 예고 file + 7 따봉 12-27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