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MS 오피스의 내장 기능, 자가 복제 멀웨어를 생성하는데 악용될 수 있어

MS Office Built-In Feature Could be Exploited to Create Self-Replicating Malware


이탈리아의 보안 전문가가 누구나 마이크로소프트의 보안을 우회하고 MS 워드 문서에 숨겨진 자가 복제 멀웨어를 생성할 수 있는 간단한 기술을 소개했습니다.

이 연구원은 지난 10월 마이크로소프트에 이 이슈를 제보하였으나,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를 보안 결점으로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기능이 MS 오피스 DDE 기능처럼 원래 의도된 대로 동작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DDE 기능은 현재 해커들이 활발히 악용 중입니다.



새로운 'qkG 랜섬웨어', 자가확산 기술 사용


연구원들이 베트남의 누군가가 VirusTotal에 업로드 한 qkG 랜섬웨어 샘플들을 발견했습니다. 그들은 이 랜섬웨어가 “실제로 활발히 사용 되는 멀웨어보다는 실험적인 프로젝트나 PoC같아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qkG 랜섬웨어는 Auto Close VBA 매크로를 사용합니다. 이는 피해자가 문서를 닫을 때 악성 매크로를 실행하는 기술입니다.

qkG 랜섬웨어의 가장 최근 샘플은 비트코인 약 $300 상당을 요구하는 랜섬노트를 포함합니다.

랜섬노트에 포함된 비트코인 주소로 아직까지 입금 된 돈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아직 사람들을 대상으로 배포되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이 랜섬웨어는 현재 하드코딩 된 동일한 패스워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영향을 받은 파일의 잠금을 해제하는 패스워드는 "I’m QkG@PTM17! by TNA@MHT-TT2"입니다.



새로운 공격 기술이 동작하는 방법


PoC 1: Macro-Based Self-Replicating Malware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JVTZYBkXLKc


해당 연구원은 악성 VBA코드가 포함 된 MS 워드 문서가 어떻게 자가 복제 다단계 멀웨어를 전달하는지 보여주는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998C62335A1D163A0D706C



“VBA 프로젝트 개체 모델에 안전하게 액세스할 수 있음” 세팅을 활성화 하면, MS 오피스는 모든 매크로를 신뢰하고 사용자에게 보안 경고를 보여주거나 허가를 받지 않고 모든 코드를 실행합니다.

연구원은 이 설정이 윈도우 레지스트리를 수정하는 것 만으로 활성화/비활성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동의나 인지 없이 더 많은 매크로를 활성화 할 수 있게 됩니다.

 

영상에서 보여진 대로, 악성 MS Doc 파일도 동일합니다. 먼저 윈도우 레지스트리를 수정 후 동일한 매크로 페이로드(VBA) 코드를 희생양이 생성, 수정 또는 오픈하는 모든 doc 파일에 삽입합니다.



피해자, 자신이 알지 못하는 사이 멀웨어 확산시켜


즉, 피해자가 실수로 매크로를 실행하게 되면 그의 시스템은 매크로 기반 공격에 노출 됩니다.

게다가 이 사실을 알지 못하는 피해자는 악성 코드가 포함 된 문서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퍼뜨려 자신도 모르는 사이 멀웨어를 확산시킬 수 있습니다.

이 공격이 더욱 걱정스러운 점은, 악성 파일을 수신하는 사람이 신뢰하는 사람으로부터 파일을 받는다는 것입니다. 또한 수신자 역시 다음 공격 벡터가 됩니다.


이 기술은 아직 실제로 악용 되지는 않았지만, 연구원들은 곧 위험한 자가복제 멀웨어를 확산시키는데 악용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이는 정상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안티바이러스 솔루션들은 이에 대한 경고를 표시하거나 VBA 코드가 포함 된 MS 오피스 문서를 차단하지 않습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도 이 기능을 제한할 패치를 발표할 계획이 없습니다.


연구원은 “이 취약점을 부분적으로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AccessVBOM 레지스트리 키를 HKCU 하이브에서 HKLM으로 이동시켜 시스템 관리자만이 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999457335A1D16FF21A1BA



참고 : 

https://thehackernews.com/2017/11/ms-office-macro-malware.html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루인루

2017.12.07 00:26
가입일: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104

정보 잘보고 갑니다

profile

블로거준

2017.12.09 04:44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2

매크로를 통한 자가복제 멀웨어 확산이라 이건 처음 들으면서도 무섭네요. 참고되었습니다.

profile

은희사랑

2017.12.09 13:13
가입일: 2017:11.18
총 게시물수: 81
총 댓글수: 360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두리번

2017.12.14 16:48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16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mantoman

2017.12.27 16:21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185

좋은자료 고맙습니다..

profile

suhyou

2018.01.10 09:09
가입일: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78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보안 게시판 신설 file + 8 Op 2016-10-16 586
320 일반 [대중문화와 사이버 개념 이해] ④SNS의 지속 성장은 유용성과 보안성에 있다 + 5 ordo 05-01 118
319 보안 소식 Apple(iOS) 보안 업데이트 권고 + 6 ordo 04-09 120
318 보안 소식 2017년 해킹을 일반인에게 이해시켜야 할지도 모르는 해 file + 7 따봉 01-04 121
317 일반 [대중문화와 사이버 개념 이해] ⑧사이버 보안의 기본은 물리적 보안이다 + 6 ordo 05-01 121
316 보안 소식 CCTV 영상정보 보안의 끝...데이터 암호화, 위변조 방지 등 기술적 필수요건 file + 7 따봉 12-28 122
315 보안 소식 안랩, `해외 직구족 노린 랜섬웨어` 주의 당부 + 10 언제나 12-09 124
314 보안 소식 랜섬웨어, 올해 최악의 ‘사이버 보안위협’ 자리 굳혔다 file + 7 따봉 12-30 124
313 보안 소식 중국발 사이버공습이 시작됐다 file + 8 Op 03-08 125
312 일반 광고 산업의 기생충, 애드웨어 사용자와 광고 사기범들 + 8 크로커스 03-09 125
311 일반 몰지각한 10대들의 돈벌이 해킹에 보안 전문교육 ‘불똥’ + 4 ordo 04-05 125
310 보안 소식 미국 민주당 해킹 사건 범인, 우크라이나 포병부대도 노려 file + 10 따봉 12-23 126
309 보안 소식 긴급] 사용자 PC ‘원격 제어’하는 악성 파일, 토렌트 통해 급속히 유포 중 file + 5 따봉 12-28 128
308 일반 [대중문화와 사이버 개념 이해] ⑤보안 프로그램도 악용될 수 있다 + 6 ordo 05-01 128
307 보안 소식 KISA가 IoT 기기 버그바운티를 시작하는 이유 file + 8 따봉 12-29 129
306 보안 소식 랜섬웨어 기승에...모방 악성파일까지 등장 file + 7 파란하늘 07-12 129
305 보안 소식 새로운 콜드 부트 공격, 거의 모든 최신 PC에서 디스크 암호화 해제해 + 1 티오피 09-15 129
304 바이러스 MBR 감염형 랜섬웨어 ‘골든아이’ 출현 file + 11 따봉 12-12 130
303 보안 소식 [긴급] NSA 해킹 의혹 해커조직, MS 윈도우 공격도구 공개 파장 + 5 ordo 04-18 130
302 일반 [대중문화와 사이버 개념 이해] ①모든 해킹의 단초는 인간이다 + 6 ordo 05-01 130
301 보안 소식 [KISA]Samba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 7 Soundofsol 05-29 131
300 보안 소식 본격 냉전시대 다시 열리나? 미국, 러시아에 응징 시작 file + 8 따봉 01-03 132
299 보안 소식 인니 해커들의 국내 홈피 해킹 일지! 속수무책 당해야만 하나 + 9 ordo 04-25 132
298 보안 소식 "침해사고 대응 더 쉽게"... 카본블랙, 한국 공식 상륙 + 11 언제나 12-16 133
297 보안 소식 MS는 20년동안 존재했던 SMB 취약점에 대해 수정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 7 티오피 08-04 133
296 보안 소식 [보안뉴스]국내 중견그룹 홈피 디페이스 공격! 중국발 해킹 본격화되나 + 5 ordo 03-28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