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70424/84031026/1#csidxe387ee58a45fd1eb77bff3fef283785]


민달희 서울대교수팀, 광감작제 활용… 체내 생분해돼 정상조직 손상 적어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만 골라 없앤 뒤 분해돼 사라지는 암 치료 물질을 개발했다. 항암제나 방사선 등 환자들에게 부작용으로 인한 고통을 줬던 기존 치료법의 한계를 극복한 것으로 차세대 암 치료법으로 주목된다.

민달희 서울대 화학부 교수팀은 빛에 반응하는 광감작제(光感作劑)를 활용해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기능성 2차원 광감작제-나노시트 복합체’를 개발하고, 동물 실험을 통해 암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광감작제는 빛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물질로, 빛을 쬐면 산화력이 강한 활성산소가 발생해 암세포를 사멸시킨다. 이처럼 최근에는 광감작제를 활용한 ‘광역동치료법’이 새로운 암 치료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활성산소는 정상세포도 파괴할 수 있어 치료 후 몸속에 광감작제가 남아 있을 경우, 햇볕을 쬐면 피부가 심각하게 손상되는 부작용이 있었다.

광감작제-나노시트 복합체는 이런 부작용이 없다. 혈액 내에서는 반응하지 않고, 암세포 내에서는 쉽게 분해되면서 암세포를 죽인다. 연구진은 대부분의 암세포에 엽산과 잘 결합하는 엽산수용체가 과다하게 발현돼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복합체가 암세포에만 결합하도록 나노시트에 엽산을 입힌 것이다. 암세포와 나노시트가 결합하면 나노시트는 완전히 분해되고, 광감작제만 암세포에 남는다. 여기에 빛을 쬐면 암세포에만 활성산소가 생성돼 선택적인 암세포 사멸이 가능하다. 정상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셈이다. 또 복합체가 체내에서 생분해되기 때문에 독성도 적다.

민 교수는 “폐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등 다양한 난치성 암에 대한 광역동치료법 효과를 높이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전임상 및 임상 시험을 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응용화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2D 머티리얼스’ 11일자에 게재됐다.

송경은 동아사이언스 기자 kyungeun@donga.com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임모두

2017.04.25 08:48
가입일:
총 게시물수: 7
총 댓글수: 128

암환우분들에게 기쁜소식이네요. 하루 빨리 사람들이 혜택을 받게 되기를...

profile

라이프니치

2017.04.29 21:52
가입일: 2018:11.08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101

하루빨리 보편화되서 혜택볼수 있기를..

profile

놀로리

2017.06.11 06:02
가입일: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129

빠른 시일 내에 상용화되길 기원합니다.

profile

블랙4

2017.07.16 16:36
가입일: 2018:08.28
총 게시물수: 56
총 댓글수: 137

언제 상용화 될까요?

profile

대공

2017.08.30 22:06
가입일: 2018:11.01
총 게시물수: 26
총 댓글수: 1150
profile

홀링홀

2017.12.03 14:46
가입일: 2016:11.08
총 게시물수: 68
총 댓글수: 3620

상용화해서 값싸게 치료해서 생명구하자.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