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Forum rules

포인트를 의식한 너무 짧은 내용이거나 내용이 부실한 피드백은 피드백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너무 부실한 내용이거나 너무 간단한 내용은 통보 없이 게시물 이동 합니다

그와 동시에 지급된 포인트를 모두 회수 합니다
URL 링크 :  

좋은 소식을 전해드리지 못하고..실패기를 또 전해드리게 되어서 죄송합니다..


초보는...잘 모르다보니..상상을 많이하죠...

고수님들께서 보시면 전혀 불가능하다는것을 알고 계시지만..초보는 그런 지식이 없다보니 이렇게 하면 좋겠나..저렇게 하면 어떨까 하고..상상을하죠..


초보에게는..이 상상을 현실로 할수 있는 기술이 없다보니..대부분은 상상으로 끝나거나..

고수님들의 조언으로..아! 이런것을 불가능한것이구나 하고 깨닫고...현실에 안주하게 됩니다


저도..이번에 마음씨 좋은분이 선물로 주신 COLite PE 에서..상상을 했습니다..

프로그램을  Y:로 두고 사용하는 pe들이 있죠...이렇게 하면....wim 파일 용량이 줄어서..구닥다리 컴퓨터에서도

부팅이 조금이나마 빨라지겠지 하는 상상이었습니다.. 이렇게 하는 pe들이 있지만....초보가 상상을 현실로 하기에는 역시..능력부족이죠.....


프로그램을 몽땅 USB로 빼놓았을때...마음씨 좋으신분의 조언으로 바로가기등을 잘 해결이 되었지만..

빠른실행(Quick Launch)에서..문제가 발생하네요..


아래와 같은..특이한 현상이 있습니다..초보의 생각에는 어디인가에서 설정이 있는것 같기도 합니다만..

파일들을 살펴보아도...제 눈에는 안보이네요....


이와 비슷한 문제로 고민하신분들이 있으시지만...레지등으로 해결을 하시는것 같습니다..

레지는..초보에게는 천적이죠..레지 단어만 들어가도..손이 떨리고..어지럽습니다.


혹시..Y: 드라이브에 있는 프로그램을 빠른실행에 등록하는 비법에 대해서 아시는 고수님이 계시면 가르침을 부탁드립니다..



1. 원본으로 부팅한 모습입니다...맨 아래에 빠른실행에 아이콘들이 보이시죠..이 빠른실행에 있는것들은 꼭 필요한 것을만 선정해서 등록하는 편이죠..

1.png


2. X: 드라이브이 Programs 폴더안에 빠른실행에 등록된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2.png


3. pecmd.ini에서 빠른실행에 등록하는 명령어 들이 있습니다....

3.png


4. 이번에는 USB를 Y: 드라이브로 만들어 주는 명령어를 pecmd.ini에 추가하였습니다..

    그리고..Y: 드라이브로 변경후..탐색기에서 정확하게 인식이 되도록 5초의 여유와...탐색기를 재시작까지 하였습니다.. 테스트용이어서..일단을 시간을 충분히 주어보았습니다

4.png


5. 빠른실행에 등록하는 프로그램중에서 3개를..Y: 드라이브로 변경을 하였습니다...

   현재..테스하는것에는 X: 드라이브에도 Programs 폴더가 있고..Y: 드라이브에도 같은 Programs 폴더가 있습니다..

5.png


6. pe로 부팅한 모습입니다... X: 드라이브에 있는 프로그램들만..빠른실행에 등록이 되었습니다..

   USB Y: 드라이브에 있는 프로그램들은 빠른실행에 등록되지 못하였습니다..


   이것이 문제입니다...왜! Y: 드라이브에 있는 프로그램들은 등록이 되지 않은지...저의 능력으로는 이유를

   찾는다는것이 불가능한 일이네요...

6.png


7. USB는 Y: 드라이브로 잘 변경이 되었습니다....그런데 특이한것은 아래 사진에서 왼쪽에는 Y: 드라이브가 2개가 보입니다..이것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것인지요...

7.png


8. X: 드라이브에 있는 Programs 폴더의 모습입니다..신기하게도 X: 드라이브에 있는것만 빠른실행에 등록이 됩니다

8.png


9. Y: 드라이브에 있는 런처 프로그램입니다..빠른실행에 등록되지 못하였습니다.

 

   USB가 Y: 드라이브로 변경이 되면서 확실히..인식되게 하기 위해 5초의 여유와 탐색기를 재시작하는 명령이

   있지만..결국 등록이 되지 않았네요.. 5초이상이 필요하면..pe 부팅시간이 너무 걸리죠...만약 등록이 되어도 필요가 없는 기능이죠..

9.png


10. 이번에는...Programs 폴더 자체를 삭제를 하고 이제까지 적용했던것들을 다 적용해서 부팅을 하여 보겠습니다

10.png


11. 빠른실행에 등록도 모두 Y:로 바꾸어야죠..실제 등록이 안되다보니 의미가 없습니다..cfg에 등록하고 해보아도..안되네요..

11.png


12. 빠른실행에 하나도 등록이 되지 않았습니다..

12.PNG


13. X: 드라이브에 Programs 프로그램 폴더가 없죠...Y: 드라이브로 변경이 잘 되었습니다

   왼쪽에 Y: 드라이브가 2개인것이 영 눈에 거슬리네요

13.PNG


14. 시작 메뉴에 바로가기 추가하는것은...pe를 선물해 주신분이 가르침을 주셨습니다..감사합니다

    Programs 폴더에서 아래사진 처럼 폴더들이 다 보입니다..이것은..레지 파일설정에서 변경을 하여야 하네요

14.PNG


15. 바로가기들을 몽땅 수정을 해서...Y: 드라이브에 있는 프로그램들이 잘 연결이 되었습니다.

    저기 DirectX 설치는 아이콘이 따로 있습니다..바로가기에 어떻게 아이콘을 추가해야 하는지를 모르다보니

    아이콘이 없는 모습입니다..이것도 배워야 하는 것이네요..

15.PNG


16. 마무리

초보가..상상을 현실로 만든다는것은..너무 어려운 일인것 같습니다...어디엔가 관련 정보들이 있지만..찾는것도

능력이죠..

지금까지는 여기까지 해 보았습니다


빠른실행의 경우..초보가 선택할수 있는것은 탁! 한가지네요..꼭 필요한 몇개만..X:드라이브에 두어서 빠른실행에 등록하고 런처와 로켓독은..바탕화면에 바로가기를 두거나..시작메뉴에 바로가기를 두거나..아니면..

로켓독만 pe가 실행될때 자동으로 실행하게하여서 사용하는 것 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하고나서 생각해 보니..문제가 또 있네요....이미 pe 고수님들께서는 다 경험을 하셨을것 같습니다

프로그램이 USB로 빠져 나오게 되면..프로그램 추가 삭제가 자유로워지죠..이럴때....pe 메뉴들에 등록하는것이

문제가 되네요...


빠른실행은..몇개만 등록하는것으로 대체하고...진짜 중요한... 프로그램 추가 삭제를 어떻게 wim파일 수정없이

가능한지 공부를 해야 할것 같습니다

이마..고수님들께서 이런 방식으로 만드신 pe들이 있으신것 같습니다....방법은 다 비슷할것 같기도 합니다만..

초보는..고수님을 따라하다가는..참새가 황새 따라하다..가랑이 찢어지는것처럼...큰일나죠..

초보에게는 초보의 무식한 방법이 있을것 같기도 합니다..


오늘도..좋은 소식을 전해드리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pe는 바로가기를 만들어 사용하는 정도의 수준이다보니..모르는것이 태반이네요


pe에 빠져있다보니 시간이 총알이네요..벌써 점심시간이 다가왔습니다

즐거운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COLite

2016.11.15 17:38:15

추천
1
비추천
0

왕초보님.....PE를 알아 가시는데 있어서 안되는 문제들을 전부 사용기를 통해 일일히~배우기란

힘든 문제일것 같습니다.....그리고 개인이 한 설정의 문제도 있는데....?? 그것을 사용기를 통해서 

모두~풀수도 없는 문제일것 같구요.....


우선~지금 본문에도 보니 당연히 돼야 하는데도 안되는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이 한 설정문제도 있는데 그 복잡환 과정을 해결 하기란 바로 옆에서 코치를 하지 않는 이상에는

지면상으로는 한계가 있다보니 해결도 힘든 문제일것 같구요.....


되도록이면 담부터는 한 게시물에 PE-테스트 결과~? 안되는 문제라던가~? 

아니면~? 평소에 안되는 문제들을 올리시면~? 성심껏 아는 한도내에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E를 알아 가시는데 있어서 한번에 다 할려고 하지 마시고~ 속도를 늦춰 주십시요.....


이 본문에 대한 답은 저도 해결의 실마리를 드릴수가 없겠군요....

오해는 마시고~? 실망을 드렸다면~? 부디~용서 해 주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즐거운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왕초보

2016.11.15 17:56:07

좋은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아직 pe에 대해서는 아는것이 적다보니..당연히 되어야 하는데 안되고 있어서...나름대로 관련 내용을 찾아보니..어떤 고수님도..도저히 안되어서 고생을 하시는 내용도 있었습니다

특정 설정등이 되어 있어서 혹시 안될수도 있어서...사용기에 이런 경우도 있네요 하고 보고를 드리게 된것입니다


저 또한...새벽까지 해볼려고 노력도 해고...도움을 주신 고수님도 계시지만..결국 이렇게 해결이 되지 못하였습니다..나름대로 노력을 했지만 .초보라는 한계가 있네요


시작메뉴의 등록도 헤메이고 있을때..선뜻 도와주셔서..이제서야..어떻게 되는것인지 파악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친절하게 도움을 주고 계십니다...저에 입장에서는 너무 고마운 일입니다...


이번에 좋은 선물을 주신 덕분에 선물도 챙기고..이렇게 공부도 할수 있는 기회가 된것 같습니다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개인적으로..빠른실행에 등록이 되지 않아도...사용하는데에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꼭 필요한것만...몇개 빠른실행에 두고...시작메뉴에 바로기기등을 두는 것으로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로켓독이 있어서...pe부팅시에..자동실행을 시켜 놓으니까..폼도나고..프로그램들도 있고 하여서 좋습니다  로켓독이나 런처를 사용하지 않다보니..로켓독이나 런처의 장점을 잘 모르고 있다가..이번에..실제 장점들을 경험하게 되네요..



배려를 해주시는 따뜻한 글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약담사

2016.11.15 21:06:04

추천
1
비추천
0

소중한 정보들 고맙습니다.

프리네

2016.11.16 16:22:26

오늘도 덕분에 배워봅니다. 아직까지 잘되지 않는것들이 많은데 점점 나아지겠죠....추천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67 테스트 Windows 10 Pro for WKS(RS5.17755.1.IP) 트윅(다크테마) [4] 데스윙 2018-09-11 513
66 테스트 Windows 10 17758.1 사용자 전화 테스트 [4] 데스윙 2018-09-12 429
65 테스트 Windows Update Manage Tool 베타 테스트 file [10] 데스윙 2018-09-19 335
64 테스트 WIndows 10 RS5 Your Phone 17755 vs 17763 테스트 [1] 데스윙 2018-09-21 395
63 에러제보 Windows 10 RS5 인텔 랜카드(219-v or ALL)시리즈 드라이버 설치주의 [4] 데스윙 2018-09-27 573
62 테스트 Windows 10 튜닝버전 삭제된 앱(XBOX) 복구 테스트 file [3] 데스윙 2018-10-03 526
61 테스트 내 PC 랜섬웨어 감염 여부 검사를(취약점테스트) file [6] 데스윙 2018-10-09 673
60 테스트 WIndows 10 RS5 17763.55 업데이트 테스트 완료! file [10] 데스윙 2018-10-10 766
59 [벤치마크] [벤치마크] 윈도우 7 vs 윈도우 10, 오버워치 성능 비교 [6] Op 2018-10-16 824
58 [벤치마크] [벤치마크] 윈도우7 RC vs 윈도우비스타 vs 윈도우XP file Op 2018-10-16 447
57 테스트 CyberLink PowerDirector Ultimate 17.0.2126.0 file [6] chlalduf53 2018-10-18 470
56 테스트 레**님 ★ Win10 Ent LTSC RS5(17763.55) x64 유틸통합 2018.10 테스트 후기 file [19] nannaya 2018-10-18 2150
55 테스트 Windows 10 RS5 Home/Pro/LTSC 6in1 Optimize 2018-10-21 (17763.104) updatefile + 420 사용기 [7] 달림이 2018-10-25 1205
54 테스트 1060 3g 리버제품 구입기 입니다.... file [25] 검정이 2018-11-11 577
53 기타 Windows 10 광고, 오피스 제안 및 기타 불만 사항 제거 [1] 춘삼 2018-11-15 576
52 기타 Audials One 2019 스트리밍 캡처 춘삼 2018-11-15 247
51 에러제보 윈도우10~ 익스플로러 다운로드 실행 오류 문제[해결] file [21] 빽이 2018-11-16 1472
50 에러제보 LTSC 2종류 오류 제보입니다. [5] 수유리우동 2018-11-21 819
49 테스트 Win10 LTSC 두 종류 설치 테스트입니다. ( 멀티 설치) file [6] 호명 2018-11-22 979
48 테스트 네트워크 원격 부팅(PXE) 복구 및 테스트 [8] 데스윙 2018-11-22 956
47 에러제보 Windows 10 Redstone 5 October 2018 Update Utility Software x64 - PIN 설정 에러 [1] sbg2005 2018-11-24 601
46 에러제보 FolderHighlight 파일탐색기와 충돌 file 데스윙 2018-11-25 394
45 에러제보 PE 부팅 iso (swm) - WinNTSetup, RSImageX 설치 방법 file [31] 뎅장 2018-12-08 3761
44 테스트 Windows 10 Pro(LTSC) for Chrome Tweak(DUAL) TEST file [10] 데스윙 2018-12-23 615
43 에러제보 Windows 10 Pro x64 DVD Release by StartSoft[KO] 설치기 위험수위 2018-12-25 436
42 기타 뎅*님의12월 MSDN RS5_PE_WinSetup.iso 사용기및 약간의 수정사용기.. file [20] 포토엔유 2018-12-28 1239
41 테스트 도킹스테이션 D162 클론 테스트 file [2] 데스윙 2019-01-06 602
40 에러제보 Win10 Ent LTSC RS5 실사용시 치명적인 단점 (레**님 바*님ver) file [50] 브루스리 2019-01-12 2298
39 기타 LTSC 깔고 윈도우스토어(xbox)게임 로그인 안됨 해결방법 file [4] 이노tm 2019-01-13 658
38 에러제보 저 역시도 LTSC 사용시 유툽 4k 재생 중 끊김이 발생했습니다 file [16] VicBoss 2019-01-15 989
37 테스트 CM님 [Sysprep] 1월입니다 설치후기 입니다. file [4] 머신2 2019-01-18 406
36 에러제보 데XX님 버전 ko_windows_10_1809_updated_jan_2019_x64 순정 [3] 9공수 2019-01-18 405
35 에러제보 ㄷㅈ님 win10 pro x64 익스플로러 바이러스가 계속 떠서 확인좀 부탁드려요 file [11] 엣지없는나야 2019-01-19 915
34 테스트 레** 윈도우10 Mac Pro (맥프로 15 2013 early) BOOT CAMP(부트캠프) 설치기 file [30] KSCabba 2019-01-24 1499
33 테스트 컴OO님 [Sysprep] 1월 설치 테스트입니다. file [10] 니즈 2019-01-24 547
32 테스트 Gun-Win8PE3.2 - 월**님 테스트 file [10] 쇼류켄 2019-01-31 819
31 테스트 190124 윈도우7 얼티메이트K x64 순정&커피레이크,Nvme 사용기 file [14] 왕형 2019-02-02 1163
30 에러제보 도X님 Win10PE_SE_20190205 피드백 부탁 드립니다. file [5] 산나들이 2019-02-07 763
29 abby finereader 설치에러 피드백부탁드립니다^^ file [6] 차범근 2019-02-13 420
28 테스트 뎅o님의 Win10_Pro_RS5_17763.316_x64_190213 설치 테스트 입니다. file [12] protec1294 2019-02-14 1105
27 테스트 Win10 x64 RS5.316 TWEAK(DUAL)SE 리뷰 file [33] 데스윙 2019-02-14 1733
26 테스트 국어X전님 MiniTool ShadowMaker Pro 3.1 WinPE 사용기 file [5] protec1294 2019-03-23 672
25 테스트 KJ님의 Win10XPE4.2 와 철이님의 Win10PE_RS5_x64_Admin를 sources에 붙여넣기 합체한 후, file [6] 김공자 2019-04-07 820
24 기타 3월 MSDN RS5_PE_WinSetup_뎅x 일부 파일에 대하여... [2] 왕미 2019-04-08 457
23 에러제보 레**님 유틸통합 버전으로 인플레이스 시도 좌절... file [3] 천둥 2019-04-10 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