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URL 링크 : https://osmanias.com/ 

1) 파워서플라이 코드에 사용되는 전선은 어떤 종류인지 살펴본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IEC 53(VCTF) 전선 (범용 비닐 시스 코드)

용도 : 옥내에서 사용되는 300V 이하의 소형 전기기계기구에 사용되는 전선

 

 

2) 파워서플라이 코드에는 IEC 53(VCTF) 전선과 아래 두 가지 구성 요소가 추가됩니다.

 

코드 구성 요소 : 플러그 + 전선 + 커넥터

 

 

파워코드_커넥터-2-1.jpg

 

 

3) 한국에서 사용되는 플러그는 대부분 16A 250V 용으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전선의 허용 전류가 16A냐 10A냐에 따라 바꿀 필요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초고출력 기기에 적합한 16A 커넥터가 달린 코드의 경우 플러그도 16A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 커넥터에도 규격이 있으며 구분은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10A 커넥터 (일반적인 파워서플라이에 사용)

10A-커넥터-.jpg

 

16A 커넥터 (일부 초고출력 파워서플라이에 사용)

16A-커넥터-.jpg

 

 

5) 파워서플라이 코드 규격 정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코드의 길이가 2 m 미만인 경우, 공칭 단면적

- 코드셋과 상호 연결 코드셋이 10 A인 경우:0.75㎟ 

 

코드의 길이가 2 m 초과인 경우, 공칭 단면적

- 코드셋과 상호 연결 코드셋이 10 A인 경우:1.00㎟

- 코드셋과 상호 연결 코드셋이 16 A인 경우:1.50㎟ 

 

 

- 정격전류 10A 코드셋 : 플러그 (10A) + 전선 (10A 1.00㎟) + 커넥터 10A [국제 표준]

2미터 미만의 총 길이인 경우 전선(10A 0.75㎟)로 사용해도 됩니다. 

 

- 정격전류 16A 코드셋 : 플러그 (16A) + 전선 (16A 1.50㎟) + 커넥터 16A

 

16A 커넥터는 전선 규격 (16A 1.50㎟)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정리하면 코드 길이와 코드셋 정격전류에 따른 규격에 맞게 사용해야 하고 갑작스러운 소비전력 증가나 돌발 상황에서 규격에 맞지 않는 파워서플라이 코드 사용은 전기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겁니다.

 

 

6) 전선의 규격 확인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쇼핑몰 제품 정보가 VCTF 250V 16A (1.5mm² X 3C) 2m인 경우 일반적인 파워 서플라이에 사용되는 전선이며 250V 16A에 공칭 단면적이 1.5mm²인 심선 3개로 구성된 2미터 길이의 굵은 코드라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인 파워에겐 베스트 초이스)

 

만약 각자 사용하고 있는 전선에 아래와 같은 표기가 되어있다면 그 해석은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KSC IEC 60227-5 300/500V  60227 KS IEC 53  3C   X  0.75㎟

 

 

 

- 오랜지색 : KC 인증을 받기 위한 한국산업표준을 적용하여 인증받았음을 의미함 (KC 인증)

- 빨간색 : 정격 주위 온도에서 연속하여 가할 수 있는 전압의 최대값 (300V 이하의 소형 전기기계기구에 사용되는 전선으로 380V 회로에는 사용이 불가)

- 파란색 : 파워코드 규격 기호 범용 비닐 시스 코드를 의미함 (VCTF)

- 녹색 : 내부 심선의 수를 나타냄

- 노란색 : 심선의 공칭 단면적을 나타냄 (이게 글을 작성한 핵심) 

 

 

해외 직구 UL 인증 전선의 경우 오랜지색에 해당하는 위치에 아래와 같이 UL 인증 번호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UL) E138949

 

 

7) 공칭 단면적이 핵심이라고 했는데 저게 높으면 무엇이 달라지는지도 살펴보겠습니다.

 

공칭 단면적이 크면 심선을 이루는 소선 하나의 지름 값이 크거나 소선 개수가 많거나 둘 다 크거나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장 크게 와닿는 표현을 한다면 내부 선이 굵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공칭 단면적이 커지면 최대 도체저항값이 낮아져 더 큰 전류를 보낼 수 있고 선에서 발생하는 열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심선이 굵을수록 허용전류가 높아지게 되며 안정성이 올라가게 됩니다. (min5162 님 의견 반영 수정)

 

VCTF-.jpg

 

 

이와 별개로 코드 길이와 코드셋 정격전류에 따른 규격에 맞게 사용해야 안전하다는 것은 다시 한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중요한 이야기입니다.

파워 서플라이에 표기된 Input current (A)는 정격출력(W)를 정격전류(A)로 환산한 값이 아니며 파워 모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안전과 관련 있음)

 

 

8) 파워 서플라이 코드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16A 플러그 + 16A 전선 (1.5mm²)+ 16A 커넥터 (일부 초고출력 파워서플라이, 네모 모양 커넥터)

 

② 16A 플러그 + 16A 전선 (1.5mm²)+ 10A 커넥터 (일반적인 파워서플라이 베스트 초이스)

 

③ 16A /10A 플러그 + 10A 전선 (1.0mm²) + 10A 커넥터 (국제표준 250V 10A)

 

④ 16A /10A 플러그 + 10A 전선 (0.75mm²)  + 10A 커넥터 (대부분의 2미터 미만 일반적인 파워서플라이 코드)

 

 

 

수정됨_20181201_225217 (2).jpg

 

 

 

단면도.jpg

 

 

 

9) 위의 정보에서 더 나아가 한국전기안전공사의 온도보정계수를 적용한 최대 허용전류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IEC 53-.jpg

 

 

 

10) 실제 파워서플라이 스펙을 통해 적절한 코드 선택을 알아보겠습니다.

 

EX)

Input Voltage (VAC) : 240V, Input current (A) : 7.5A

 

위 파워의 경우 온도보정계수를 적용한 최대 허용전류표를 적용하면 공칭 단면적 1.0mm² 이상인 전선이 필요합니다. 이때 총 길이 1.5미터인 코드이면 공칭 단면적 0.75mm²인 전선을 사용해도 되지만 더 안정적인 것은 공칭 단면적 1.0mm² 이상인 전선을 사용한 코드입니다. 

 

참고로 모 회사 해외 직구 850W 파워의 경우 13A 플러그 + 13A 커넥터 + 공칭 단면적 1.31mm² 전선인 굵은 UL 인증 코드가 기본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열린이

2019.07.22 07:53
가입일: 2018:11.21
총 게시물수: 105
총 댓글수: 327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스톨게

2019.08.14 11:03
가입일: 2018:01.16
총 게시물수: 66
총 댓글수: 320

감사합니다

profile

파란천사

2019.11.10 14:59
가입일: 2018:10.15
총 게시물수: 24
총 댓글수: 315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37 정보 알아두면 좋은 키보드 팁 + 32 ehant 07-03 1120
136 정보 로그인 암호 초기화하기 + 33 ehant 07-03 1953
135 일반 저는 한글이 아닌 글은 좀 어려워요...... 이럴때는 + 23 빨강모자 07-02 1243
134 윈도우 hit 윈도우 10 에 숨겨진 기능을 활용하자! + 33 달림이 06-29 2671
133 기타 hit 랜섬웨어 총정리 ; 펌 + 43 달림이 06-28 2107
132 일반 동영상 광고, 사이트 광고 차단에 효과적인 크롬 브라우저 확장프로그램 + 28 로임 06-26 1770
131 네트워크 <이 웹사이트의 추가기능을 실행하지 못했습니다> 오류 해결방법 + 18 해마천사 06-24 1894
130 네트워크 hit 윈도우 엣지 시작페이지 변경/설정 방법 + 30 해마천사 06-24 3628
129 PCTip hit 엇~!! 갑자기 각 드라이브마다 이상한 폴더가 보인다??? + 37 Addi 06-23 2397
128 윈도우 hit 초보자용 Win10PE 활용하여 UEFI 윈도 설치하기 + 50 범접할수가없다능 06-21 3728
127 PCTip hit 각 메인보드 바이오스 진입키 2 + 33 ehant 06-17 2225
126 PCTip 각 메인보드 바이오스 진입키 1 + 20 ehant 06-17 1624
125 윈도우 컴퓨터를 바꿔야 되는 기준은 + 23 ehant 06-16 1602
124 유틸리티 컴 부팅 메뉴 모음 + 30 ehant 06-16 1973
123 윈도우 hit 노트북 공장초기화 방법 + 27 ehant 06-16 4850
122 PCTip 한영 전환 안될때! + 25 애신각라 06-15 1684
121 유틸리티 졸갱이님께서 소개해주신 SfileLink 프로그램 사용에대한 데이터 소비부분의 SfileLink에서 받은 답변 올려드립니다. + 16 이노 06-14 1119
120 모바일 hit 소문을 안낼래야 안낼 수 밖에 없는 SFileLink + 62 졸갱이 06-11 2627
119 유틸리티 hit 울트라iso로 wim파일 또는 esd파일 바꾸는방법 + 25 별마 06-10 2332
118 일반 VMWare Workstation으로 OS리뷰 작성하는방법 + 50 별마 06-10 1517
117 PCTip Portable 앱에서의 Drag & Drop에 관한 보충글입니다. file + 24 성운아범 06-02 747
116 일반 말 그대로 오매 팁이네요. 알림 사용. + 30 조아조아 06-01 1510
115 윈도우 hit 윈도우10 파일탐색기에서 바로가기메뉴 삭제하기 + 13 졸갱이 06-01 3792
114 일반 hit 유튜브 동영상 재생오류 해결방법 + 16 졸갱이 06-01 2395
113 유틸리티 hit 일러스트레이터CS, 포토샵CS 등에서 글꼴이름 깨짐현상및 시스템충돌 해결 + 10 졸갱이 05-31 2900
112 일반 LED 모니터의 내부 구조 및 작동원리. + 21 매니안 05-29 1578
111 PCTip Portable 사용시 마우스로 끌어 놓기가 안될 때 + 18 성운아범 05-27 1681
110 윈도우 hit (추가)크롬과 램디스크 최고의 꼴라보~정리 + 43 Addi 05-20 4337
109 PCTip hit chrome 화면 깜박거림(flickering) 해결하기 + 16 메인보드 05-20 5441
108 윈도우 hit Windows Search 서비스 끄기 레지스트리 + 49 Mania 05-17 3063
107 유틸리티 일본어 Text 깨짐 현상 해결방법 + 11 악귀 05-17 1920
106 기타 PC동영상 Rip구별로 화질 구분하기 + 22 악귀 05-17 1674
105 윈도우 윈도우10 검색을 Google로 바꾸기 + 21 악귀 05-17 1738
104 윈도우 hit 관리 목적의 공유폴더 삭제 file + 24 드림컴 05-15 2474
103 윈도우 hit 자동 업데이트 차단 레지스트리 + 39 Mania 05-13 2471
102 윈도우 hit 예약 대역폭 제한 해제하여 인터넷 속도 업 + 54 Addi 05-11 3251
101 윈도우 윈도우 검색(Search) 기능이 안될때 file + 11 티피 05-10 1649
100 일반 hit CorelDRAW X8 한글 패치 후 프리징 해결 방법 + 17 bluesea 05-09 2938
99 PCTip hit 유용한 엑셀 add-in [xlhscroll 다운로드] shift + 마우스휠 로 가로 스크롤 이동하기 ; 펌 + 32 달림이 05-07 2935
98 PCTip 노트북 CPU, Chip, Graphic Core 수리가 되네요. + 29 블루바다 05-04 1735
97 윈도우 오프라인 누적 업데이트 문제점 + 18 Mania 04-30 1951
96 윈도우 xp 작업관리자 활성화 방법 입니다. + 11 v투덜이v 04-28 1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