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https://tv.kakao.com/v/398866547

[뉴스데스크] ◀ 앵커 ▶

저희가 지난 주말 '로드맨' 코너를 통해 지적했었죠.

개인 땅인데 지자체가 공원 부지로 지정해놓고 사들이지 않은 전국의 공원이 '공원 일몰제가 끝나는' 내년 7월이면 그야말로 개인 땅으로 돌아갑니다.

그 면적이 서울시 면적의 절반 크기인데 오늘 정부와 여당이 부랴부랴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이준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서울숲 1/3 크기의 말죽거리공원.

완만한 경사에 체육시설도 있어 늘 주민들로 북적입니다.

[채이순·박찬영] "가까운 곳에 이렇게 맑은 공기 마시면서 좋은 산이 있다는 게 좋아서…"

그런데 공원 여기저기에 현수막들이 등장했습니다.

내년 7월 공원 부지 해제를 앞두고 구청이 공원을 유지하려고 땅주인들에게 내민 보상액을 두고 불만이 터진 겁니다.

[말죽거리공원 토지주] "(구청에서) 공시지가 3배 정도로 보상한다고 보통 얘기를 하는데 여기 공시지가로 따지면 3배라고 해도 3백만 원이 안 되는 금액이에요. 주변 땅 시세는 5천만 원이 넘어가거든요."

토지주들은 당장 며칠 내로 모든 공원 입구에 출입을 통제하는 울타리도 설치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공원지정이 풀려 사라질 위기에 처한 전국 공원 부지는 340㎢.

서울시 절반 크기로, 모두 사들이려면 공시지가로만 40조 원, 시세로는 100조 원 넘게 듭니다.

정부와 여당이 부랴부랴 대책을 내놨습니다.

국가가 주인인 국공유지, 또 그린벨트거나 산지라 개발 가능성이 낮은 사유지 일부는 그대로 두고, 나머지 130㎢를 지자체가 사들이거나 용도를 제한해 최대한 공원을 지키겠다는 계획입니다.

LH도 10곳을 사들여 공원으로 개발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지자체가 빚을 내서 땅을 사들이고 정부는 이자만 일부 지원하는 방식이라 벌써 반발이 터져 나옵니다.

[지자체 관계자] "국비 지원이 나왔다면 (문제의) 50% 지원이 됐다면 이렇게 하는 건 5%의 도움이 된다 이렇게 보시면 맞을 것 같습니다."

사들이지 못하는 일부 땅은 다른 법을 동원해 '도시자연공원 구역'으로 묶는 방안도 검토 중이지만, 땅주인들은 위헌 소송으로 맞설 태세입니다.

[관악산 공원 토지주] "재산세가 1억입니다. 1년에…주인에게 돌아온 혜택이 단돈 1원이라도 뭐가 있습니까 아무것도 없잖아요."

20년간 정부와 지자체가 손을 놓고 있던 사이 공원을 지키기 위한 사회적 비용만 눈덩이처럼 커졌다는 평가입니다.

MBC뉴스 이준희입니다.

(영상취재: 황성희 / 영상편집: 김관순)

이준희 기자 (letswin@mbc.co.kr )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