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 출 처 : 중앙일보

 

국민 10명 중 6명은 법적 결혼 이외의 동거 같은 혼인 형태에 대해 차별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절반 이상은 비혼동거 가족의 자녀를 본인이나 자식의 결혼상대로는 여기지 않았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이 같은 조사내용이 담긴 가족 다양성 국민 여론조사 결과를 26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우리 사회에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됐다. 지난 16~20일 만 19~79세 성인남녀 1009명에게 전화 설문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은 ±3.1%포인트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67%가 남녀가 결혼하지 않고 동거하는 것을 수용할 수 있다고 답했다. 20대 이하(89.7%)와 30대(81.0%), 40대(74.3%)의 찬성 비율이 높았지만 50대(56.6%)와 70대(46.0%)도 적지 않았다. 또한 응답자의 63.4%는 “비혼 동거 등 법률혼 이외의 혼인에 대한 차별 폐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설문조사를 진행한 김영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젊은 세대는 한국의 확대가족적 문화를 기피한다. 대안 형태로 비혼 동거 등을 찾는다”며 “중장년 층은 이혼 이후 새로운 사랑을 만난 뒤 기존 가족에 피해가 갈 것 등을 우려해 비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양상은 다르지만 양쪽 세대 모두 법적 결혼만을 혼인으로 인정하는 한국사회에 대해 불만을 표시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하지만 비혼 동거 커플의 자녀에 대해선 결혼 상대로 선호하지는 않았다. 본인이나 자녀가 결혼 상대로 비혼동거 가족의 자녀를 찬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묻자 45.2%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50%가 넘는 비율은 결혼 상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60.3%로 찬성률이 가장 높았고, 60대가 30.0%로 가장 낮았다. 미혼 부모의 자녀에 대해서도 56.6%만이 결혼 상대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입양된 자녀(78.3%), 한부모 가족 자녀(78.1%), 다문화 가족(76.8%), 재혼 가족(75.6%)의 찬성 비율과 비교하면 차이가 컸다. 결혼하지 않고 자녀를 가지는 것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50.6%만이 수용할 수 있다고 답했다. 

김영란 연구위원은 “비혼 동거는 남은 해도 되지만 내 가족은 안 된다는 이중적 생각이 설문에 나타난 것”이라며 “한국 사회엔 정상적 형태의 가족과 맺어져야 한다는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프레임이 존재하는데 아직 비혼·미혼 가족은 정상 가족으로 보지 않는 시각이 존재하는 걸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미혼모ㆍ부의 경우 실제는 20대 이상 성인 비율이 높은데도, 미혼모ㆍ부라고 하면 미성년자인 경우를 떠올리는 경향이 반영돼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미성년이 자녀를 낳아 기르는 것에 대해선 29.5% 만 수용할 수 있다고 했다. 

결혼하고 아이를 갖지 않는 것에 대해선 응답자의 64.1%가 그럴 수 있다고 답했다. 특히 여성(68.9%)이 남성(59.3%)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이하가 90%이상, 30대와 40대는 70%이상인 반면 60대 이후는 30%대 이하로 젊은 세대일 수록 출산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혼인·혈연에 무관하게 생계와 주거를 같이 하면 가족이라는 생각에는 응답자의 66.3%가 동의했다. 생계와 주거를 같이하지 않아도 정서적 유대만 친밀하면 가족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48.5%가 동의하고 49.6%가 동의하지 않았다. 김영란 연구위원은 “그동안 한국 사회에서 전통적 의미의 가족에게 주어진 의무나 책임이 너무 커 세대가 흐를 수록 이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다”며 “변화된 시대에 맞게 가족으로 짊어져야 할 의무와 부담을 국가가 사회보장을 통해 덜어주는 대신, 가족 형태와 관계 없이 구성원 간의 정서적 유대를 높이는 방향으로 가족 문화를 전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