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URL 링크 : https://www.yna.co.kr/view/AKR20190322131600017?input=1195m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1천명 설문…"스마트폰이 올드미디어에 PC 역할까지"

(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 스마트폰 이용자 약 10명 중 6명은 스마트폰만 있다면 TV나 PC, 책 등 다른 매체가 없어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4일 시장조사업체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스마트폰을 보유한 전국 19~59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중 58.1%는 '스마트폰이 있으면 다른 매체가 없어도 불편함이 없다'고 답했다.

지난 2013년 같은 조사에서는 43.9%가 이같이 응답했다.

이런 인식은 남성(52.8%)보다는 여성(63.4%), 나이대는 젊은 층(20대 60%·30대 64%·40대 59.6%·50대 48.8%)일수록 강하게 나타났다.

 

트렌드모니터는 "스마트폰이 TV와 라디오, 신문 등 기존 '올드미디어'는 물론 PC의 역할까지도 수행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스마트폰 하나로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인식도 강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미디어를 접하는 채널로 스마트폰을 주로 이용한다고 응답한 비율(복수응답)은 93.9%에 달했다. 이는 2013년 같은 조사의 81.9%보다 더 높아진 것이다.

TV(2013년 77.3%→2019년 78.2%)와 PC(2013년 80.4%→2019년 76.9%)의 사용빈도도 여전히 높았고, 라디오(2013년 11.1%→2019년 10.8%)의 영향력도 크게 변함없었다.

반면, 활자 매체의 영향력은 크게 줄어들었다. 주로 이용하는 미디어 채널로 책(2013년 14.5%→2019년 4.9%)과 신문(2013년 10.2%→2019년 3.5%)을 꼽은 비율은 6년 새 각각 ⅓로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대표적인 미디어 콘텐츠인 뉴스를 접하는 채널로도 스마트폰(2013년 36.4%→2019년 50.9%)이 단연 강세였다. 스마트폰으로 보거나 듣는 뉴스가 가장 빠르다는 생각(62.6%)도 확연했다.

통근 시간에 스마트폰 이용
통근 시간에 스마트폰 이용[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엮인글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lava

2019.03.24 11:20
가입일: 2016:07.28
총 게시물수: 52
총 댓글수: 672

불편하진 않은데 화면이 작아서 눈나빠질까 걱정입니다.

profile

FAKE

2019.03.24 14:44
가입일: 2016:02.09
총 게시물수: 30
총 댓글수: 1754

초등학생인 조카가 하루종일 스마트폰만 뚫어져라 보는데 결국 안경까지 쓰고

스마트폰이 사람을 점점 바보로 만들고 있는 느낌

profile

시피르

2019.03.25 08:55
가입일: 2019:01.04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160

어찌보면 이미 예정된 결과겠죠.

profile

사바나

2019.03.26 15:13
가입일: 2017:11.27
총 게시물수: 130
총 댓글수: 1142

게임할때만 조금 불편하고 나머지는....PC를 대처할듯

profile

고감맨

2019.03.26 15:46
가입일: 2016:05.12
총 게시물수: 239
총 댓글수: 3144

점점 스마트폰의 노예가 더 많이 양산 되겠네요..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