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다른 싸이트에서 가져온 정보 입니다...


TTL 값은 Time-To-Live 라는 값으로 장비를 거치면서(홉) TTL 값을 하나씩 감소시키고 TTL 값이 0이 되게 되면 패킷을 드롭하게 됩니다.

패킷이 경로를 찾지 못하고 떠돌때 영원히 패킷이 돌아다니는 것을 방지하는 필드값으로 이를 통해 장비에 대한 운영체제의 종류나 현재 자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있는지 어느정도는 파악할 수 있습니다.

 1465383A50778ECE2AA04A.jpg


위 이미지를 보시면

차례로 Linux 서버 / Windows PC / Cisco 장비로 핑을 친 것입니다.

 

보시면 각각 TTL 값이 크게 차이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운영체제에 따라서 TTL 시작값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Linux = 64

Windows = 128

Cisco = 256

 

장비마다 ttl 값이 틀리기도 하겠지만 일반적으로는 위와 같습니다.

 

그리고 제일 위의 ping 에 대한 TTL값을 보면 47로 나오는데 이렇게 나오는 이유는...

 

tracert 라는 커맨드를 이용해서 이동하는 홉 지점마다 경로를 기록하여 아래와 같이 경로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그럼 왜 47 이라는 TTL 값이 나왔는지 알아보면....

 01240033507790BD244BE4.jpg


마지막 18번째 경로는 목적지 경로이므로 17개의 장비(홉)을 거쳐 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ping의 TTL 값이 64 - 17 = 47로 나오는 것입니다.

 

만약 목적지 장비가 Cisco 장비였다면 256 - 17 = 239 / 윈도우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다면 128 - 17 = 111 이 나왔겠네요~

 

출처: http://ryusstory.tistory.com/entry/ping을-통한-TTL-값에-따른-운영체제-확인-TTL-256-128-64 [Ryu's Story]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너경고

2019.02.19 10:44
가입일: 2015:11.27
총 게시물수: 24
총 댓글수: 295

전혀 몰랐습니다. 평소에 자주 접하지만 그안에서 새로운 지식을 알게 되어 기쁘네요.

profile

꽃참치

2019.02.19 14:06
가입일: 2019:01.23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8
오 이런 좋은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profile

레몬슈퍼

2019.02.19 17:39
가입일: 2018:11.15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188

신기 하네요. 감사합니다.

profile

두쌤

2019.02.19 19:48
가입일: 2018:12.18
총 게시물수: 17
총 댓글수: 193

사실 별로 생각없이 높게 나오면 왜이러지? 이생각만 했었는데ㅋㅋㅋ 신기하네요

고맙습니다!!

profile

사야걸리지

2019.02.21 09:35
가입일: 2018:10.31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44

감사합니다.

profile

상민아빠

2019.03.27 23:09
가입일: 2018:10.28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26

엄지 척~~~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