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Beware! Unpatched Safari Browser Hack Lets Attackers Spoof URLs


한 보안 연구원이 공격자들이 윈도우용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웹 브라우저와 iOS용 사파리에서 웹사이트 주소를 스푸핑하도록 허용하는 심각한 취약점을 발견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달 정기 업데이트를 통해 주소창 URL 스푸핑 취약점을 수정했지만, 사파리는 여전히 패치 되지 않아 애플 사용자들이 피싱 공격에 취약하게 됐습니다.


오늘날의 피싱 공격은 매우 정교하며 점점 더 발견이 어렵기 때문에, 새로 발견 된 이 취약점은 사용자가 웹사이트의 진위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본 지표인 URL과 SSL을 우회할 수 있어 많은 피해가 우려됩니다.


보안 연구원인 Rafay Baloch가 발견한 이 취약점 (CVE-2018-8383)은 웹브라우저가 페이지가 로딩하는 도중 JavaScript가 URL 주소창 페이지 주소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허용해 발생하는 race condition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



URL 스푸핑 취약점 동작법


이 결점을 성공적으로 악용할 경우 공격자가 처음에는 합법적인 페이지를 로딩해 주소창에는 해당 페이지의 주소가 표시 되는 사이 웹페이지의 코드를 악성 코드로 재빨리 교체할 수 있게 됩니다.


“존재하지 않는 포트에서 데이터를 요청하면, 주소는 보존되어 존재하지 않는 포트에서 요청 된 리소스와 setInterval 함수로 발생 되는 딜레이의 결함으로 인한 race condition으로 주소창 스푸핑이 가능하게 됩니다.”


“이로써 브라우저가 주소창의 주소는 그대로 보존하되 스푸핑 된 페이지의 내용을 로드하게 됩니다. 브라우저는 결국 리소스를 로드하지만, setInterval 함수로 생성 된 지연으로 인해 주소창 스푸핑을 촉발시키기에 충분합니다.”


주소 창에 표시 된 URL은 변경 되지 않기 때문에, 이 피싱 공격은 숙련 된 사용자라도 탐지해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을 사용하면 공격자는 Gmail, Facebook, Twitter, 은행 웹사이트 등 어떤 웹페이지로든 가장해 사용자의 주소창에는 합법적 URL이 표시 된 상태에서 가짜 로그인 화면이나 크리덴셜 등 정보를 훔치기 위한 다른 양식을 표시할 수 있게 됩니다.


Baloch는 취약점 테스트를 위한 PoC 페이지를 만들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엣지와 애플 사파리 브라우저 모두 “자바스크립트가 페이지가 아직 로딩 중임에도 주소창을 업데이트하도록 허용했다”고 밝혔습니다.


Baloch에 따르면, 구글 크롬과 모질라 파이어폭스 웹 브라우저는 이 취약점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문제를 2018년 8월 ‘패치 화요일’을 통해 이미 수정했으나, Baloch은 애플에 지난 6월 2일 제보했음에도 아직까지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원은 취약점을 제보한지 90일 이후 엣지용 기술적 세부사항 및 PoC 코드를 모두 공개했습니다.


하지만 이를 수정한 사파리 브라우저의 다음 버전이 나오기 전까지는 애플용 PoC 코드는 공개하지 않을 것이라 밝혔습니다.



http://blog.alyac.co.kr/1887?category=750247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무심

2018.10.12 21:29
가입일: 2018:10.04
총 게시물수: 12
총 댓글수: 1882

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보안 게시판 신설 file + 8 Op 2016-10-16 586
445 보안 소식 금융 악성코드 드리덱스의 영리한 ‘위장’ 주의! + 4 ordo 04-03 54
444 보안 소식 [4.5 버그리포트] CVE-2016,2017 + 6 ordo 04-06 54
443 보안 소식 갠드크랩 다음은 블루크랩? 신종 랜섬웨어 '비상' 돌까루 05-28 54
442 보안 소식 서울에 모인 이더리움 개발자들 "블록체인으로 세상 바꾸자" 돌까루 05-28 54
441 보안 소식 보안, 구매자 끌어당기는 셀링 포인트 될 수 있을까? file + 6 따봉 12-27 55
440 보안 소식 [4.6 버그리포트] CVE-2017 + 5 ordo 04-07 55
439 보안 소식 국방부의 해킹 대응, 아쉬운 컨트롤타워 역할 + 5 ordo 04-09 55
438 보안 소식 오픈소스DB '마이SQL' 노린 랜섬웨어 공격 발생 돌까루 05-28 55
437 보안 소식 2016년 버그바운티 성과 보고서: 얻은 것과 잃은 것 file + 7 따봉 12-29 56
436 보안 소식 씁쓸하고 치밀하新 해커들: 2017년 보안 위협 전망 file + 5 따봉 01-04 56
435 보안 소식 '안면인식' 논쟁 불붙은 美…"범죄자 추적 유용" vs "사생활 침해" 돌까루 05-28 56
434 보안 소식 해커들의 연말연시 하루 일과를 예상해 본다면? file + 9 따봉 12-23 57
433 보안 소식 상반기 결산] 보안업계 ‘합종연횡’ 실태...하반기 ‘지각변동’ 예고 file + 7 따봉 12-27 57
432 보안 소식 '스타크래프트'로 위장한 악성 파일 유포 발견 + 3 크로커스 04-04 57
431 보안 소식 프랑스 해커, 모든 삼성 스마트폰 벽돌로 만들 수 있는 방법 발견 kargans 05-27 57
430 보안 소식 CA API 관리 솔루션, ‘자본시장 공동 핀테크 오픈플랫폼’ 지원 file + 8 따봉 12-27 58
429 보안 소식 비주얼 해킹, 어느 산업군이 가장 취약할까? file + 7 따봉 12-26 59
428 보안 소식 [3.31 버그리포트] CVE-2017-7359 外 + 4 ordo 04-01 59
427 보안 소식 세계는 차세대 대규모 랜섬웨어 공격에 대비하고 있는가 루시드림 03-07 59
426 보안 소식 연말 쇼핑시즌, 쇼핑몰 사칭 랜섬웨어 주의하세요 file + 11 따봉 12-12 60
425 보안 소식 2016년, 보안 업계를 깜짝 놀래킨 서프라이즈 5 file + 9 따봉 12-21 60
424 보안 소식 대통령 탄핵 정국! 온라인 토론의 장 노리는 해커들 file + 10 따봉 12-23 60
423 보안 소식 이제 비행기 티켓도 해커들의 먹잇감 되나 file + 6 따봉 01-04 60
422 보안 소식 [4.4 버그리포트] CVE-2017 + 3 ordo 04-05 60
421 보안 소식 2016년 악성링크·랜섬웨어 통계현황 분석해보니 file + 9 따봉 12-21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