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00500700_20180301.JPG




2011년 3월 최악의 원전 사고로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인근의 방사성 오염이 다음 세기까지 지속될 정도로 심각하다는 국제환경단체 전문가팀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그린피스는 1일 후쿠시마 원전 사고 7주년을 앞두고 이런 내용의 ‘후쿠시마를 돌아보며:7년간 지속되고 있는 재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그린피스의 방사선 방호 전문가들로 구성된 조사팀이 지난해 9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후쿠시마 현지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조사팀이 일본 정부가 지난해 3월 피난지시를 해제한 후쿠시마 제1원전 북서쪽 후쿠시마현 나미에와 이타테 지역의 집, 숲, 도로, 논밭 등 4만8000여개 지점에서 공간 방사선량률을 측정한 결과 일본 정부가 시행해 온 제염(방사성 오염 제거) 작업이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제염작업이 완료된 이타테 지역의 경우 여섯 가구 중 네 가구에서 일본 정부 장기 목표의 평균 세 배에 이르는 방사선 수치가 측정됐고, 일부 지점에서는 심지어 2015년보다 더 높은 수준의 방사선이 측정되기도 했다. 그린피스는 이것을 재오염의 결과일 것으로 추정했다.


피난지시가 해제된 나미에 지역 한 학교 인근 숲에서는 연간 일반인 피폭 한계치인 1mSv(밀리시버트)를 크게 웃도는 10mSv의 방사선이 측정돼, 제염작업이 학생들의 피폭 위험을 크게 줄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쿠시마 원전에서 서북서 방향으로 20km 떨어진 나미에 지역의 오보리 마을에서는 시간당 11.6μSv(마이크로시버트)에 이르는 방사선량률이 측정되기도 했다. 이는 연간 피폭량 101mSv에 해당해, 피폭 한계치의 100배를 넘는 것이다.


이런 조사 결과는 피난지시가 해제돼 오염지역에 돌아와 살고 있거나 살게 될 시민들이 심각한 위험에 놓여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조사팀을 이끈 그린피스 벨기에사무소의 전문가 얀 반데푸트는 “돌아와 사는 시민들의 상황은 매주 한 차례 흉부 엑스레이를 찍는 것과 같다.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심각한 인권 침해”라고 말했다.

그린피스는 이런 조사 결과가 일본 정부가 설정한 제염 목표(연간 1mSv, 시간당 0.23μSv)가 피난지시를 이미 해제한 지역에서는 적어도 21세기 중반까지, 여전히 피난구역인 지역에서는 22세기까지 달성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상황임에도 일본 정부는 피난민들에 대한 지원을 중단해 이들을 오염 지역으로 귀환시키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그럼에도 귀환율이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나이에 지역은 2.5%, 이타테 지역은 7%를 넘지 않자 아예 제염작업 목표인 장기 방사선량률 기준을 높이기 위한 검토에 착수해, 유엔국제인권이사회(UNHRC)로부터 지난해 11월 피난민 인권을 존중하라는 권고까지 받았다는 것이 그린피스의 설명이다.


그린피스 일본사무소의 에너지 캠페이너 스즈키 카즈에는 “이번 조사 결과 사고지역으로 돌아가는 피난민들의 건강과 안전에 중대한 위험이 있다는 점이 증명됐다”며 “일본 정부가 피난민들을 강제 귀환시키는 것을 즉각 멈추고, 유엔의 권고안을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