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최근 Satori 악성코드가 발견되었는데, 확인해본 결과 최근 12시간동안 이미 28만개의 각기 다른 IP로 활성화 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는 Mirai 악성코드의 변종 이기도 합니다. 



Satori 변종과 Mirai는 다르다


Mirai의 Satori 변종은 지금까지 발견되었던 모든 Mirai 악성코드들은 다릅니다. 지금까지 발견된 Mirai 악성코드들은 IoT 디바이스들을 감염 시킨 후 telnet 스캐너 모듈을 내려받아 다른 Mirai에 감염된 호스트를 스캔합니다. 하지만 Satori는 이러한 스캐너를 사용하지 않으며, 두개의 exp를 사용하여 37215와 52869번 포트로 원격 접속을 시도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Satori는 IoT 네트워크에서 웜처럼 자신이 스스로 자신을 전파시킬 수 있습니다. 


Netlab에서 관찰해 본 결과 12시간 동안 263250개의 IP가 37215번 포트를 스캔하였고, 19403개의 IP가 52869번 포츠를 스캔하였다고 밝혔습니다. 


993FE9335A2A3EF612EB24

<이미지 출처 :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satori-botnet-has-sudden-awakening-with-over-280-000-active-bots/>



이정도 규모의 봇넷은 매우 보기 드물며, Satori 악성코드가 이렇게 급속도로 유포될 수 있었던 것은 자가전파가 가능한 특징 때문이며, 이 자가전파 기능은 제로데이 취약점을 이용했을 것이라고 추측됩니다. 


CenturyLink의 안 보안연구원은, 이러한 봇넷은 화웨이의 가정용 라우터 제로데이 취약점을 이용하며, 이는 Check Point가 11월 말에 발견한 원격코드실행 취약점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보안연구원과 Bleeping Computer은 해당 exp와 관련된 세부 내용을 공유했으며, Shodan 검색을 통해 그 영향성을 확인한 결과, 해당 취약점에 영향받는 디바이스들이 2250,000개가 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9987D1335A2A3F011031DA

<이미지 출처 :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satori-botnet-has-sudden-awakening-with-over-280-000-active-bots/>



52869포트의 취약점은 Realtek 디바이스에서 발생했었던 오래된 취약점(CVE-2014-8361)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 취악점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패치를 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Satori와 Mirai의 관련성


Mirai Satori 변종과 이전까지 발견된 Mirai를 비교해 본 결과, 봇넷 중의 파일명,정적특성 및 C2 프로토콜 등 일부 정보들이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이번에 발견된 Satori는 11월달에 발견된 Mirai 악성코드의 변종이 아닐까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995939335A2A3F570F51F1




출처 : 

https://www.bleepingcomputer.com/news/security/satori-botnet-has-sudden-awakening-with-over-280-000-active-bots/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과일집

2017.12.09 12:45
가입일:
총 게시물수: 8
총 댓글수: 246

새로운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은희사랑

2017.12.09 13:08
가입일: 2017:11.18
총 게시물수: 81
총 댓글수: 360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두리번

2017.12.14 16:47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16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무무심

2017.12.20 22:31
가입일: 2018:10.04
총 게시물수: 12
총 댓글수: 1882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보스4444

2017.12.24 22:04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9

크 바이러스 미워요^^

profile

mantoman

2017.12.27 16:17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185

좋은자료 고맙습니다...

profile

상엽

2017.12.31 07:41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8

감사합니다.

profile

suhyou

2018.01.05 09:16
가입일:
총 게시물수: 1
총 댓글수: 784
정보 고맙습니다
profile

mantoman

2018.03.19 10:40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185
좋은자료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보안 게시판 신설 file + 8 Op 2016-10-16 596
95 바이러스 ASEC이 분석한 바이러스, 스파이웨어, 유해가능 프로그램, 모바일 악성코드 정보 바이러스 Trojan/Win32.Salsa.R198001 + 6 ordo 04-09 320
94 보안 소식 메가스터디 개인정보 또 유출 + 6 우오아아아웅 10-03 321
93 보안 소식 Windows SMB 취약점을 이용한 WannaCry 랜섬웨어 file + 11 Soundofsol 05-14 324
92 보안 소식 5G보안 기술자문협 내달 초 종료…화웨이 논란 변수될까 + 1 돌까루 05-29 325
91 보안 소식 악성코드 가득한 노트북, 14억에 팔렸다 + 4 돌까루 05-29 327
90 일반 백트랙을 활용한 모의해킹 강의 06 - 백트랙 환경 설치 실습 + 10 매니안 10-17 328
89 보안 소식 '비정상적인 로그인 알림' 위장 메일 주의…악성코드 감염 위험 kargans 06-10 330
88 일반 램섬웨어 + 18 썬키스트 10-16 332
87 보안 소식 해커, 악성 코드로 ATM 기기에서 현금 인출 + 6 우오아아아웅 10-03 332
86 보안 소식 카스퍼스키랩, Crysis 랜섬웨어 무료 복호화 툴 긴급 발표 + 17 크로커스 11-15 333
85 보안 소식 마크애니, 경기도의료원에 CCTV영상반출시스템 구축...“무분별한 영상 유출 방지” kargans 05-30 333
84 보안 소식 [KISA] 악성 어플로 모든 버전의 안드로이드 기기를 손상 가능 + 11 Soundofsol 06-04 335
83 바이러스 컴퓨터에서 감염된 파일을 수동으로 직접 제거하는 방법 file 루시드림 03-26 340
82 바이러스 [긴급] PC ‘원격 제어’ 악성 파일…토렌트 통해 급속 유포 중 file + 13 발자욱 12-24 342
81 보안 소식 아라드네트웍스, SH공사 스마트홈에 ‘세대 간 사이버 경계벽’ 납품 senny 06-12 343
80 보안 소식 카스퍼스키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도 사용 금지? + 5 티오피 12-05 351
79 보안 소식 Apache Struts2 원격코드실행 취약점 주의!(CVE-2017-5638, S2-046) + 5 ordo 03-27 352
78 일반 Live Update ASUS 서버 해킹 + 3 루릿페 03-26 353
77 보안 소식 2016년을 장식한 최악의 해킹 공격 7 file + 10 따봉 12-12 355
76 보안 소식 악성코드 가득한 노트북, 14억에 팔렸다 + 2 돌까루 05-29 355
75 보안 소식 미국 동부 인터넷 마비 시킨 ‘미라이’ 악성 파일, 국내서도 발견 + 12 크로커스 01-25 366
74 “가상화폐 거래소 10개사, 보안기준 통과업체 0곳” + 11 Op 01-25 367
73 보안 소식 “귀하의 계정이 해킹당했습니다” 혹스 이메일 피해 컸다 file + 2 티오피 09-30 370
72 보안 소식 CVE-2019-9510 취약점 통해 윈도우 잠금 화면 RDP 세션 우회 가능해 file kargans 06-10 372
71 보안 소식 윈도우 취약점 악용한 랜섬웨어 ‘Sodin’ 한국도 노렸다 file anonymous 09-24 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