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파랗게 질리지 말고 자세히 보자, 블루스크린!


오늘 김 모 과장의 아침은 제법 괜찮게 시작됐다. 딱 맞게 지하철이 도착하질 않나, 평소와 같은 칸을 탔건만 생각보다 사람이 많지 않은데다 한 정거장쯤 지났을 때 앞에 앉았던 승객이 일어나기까지! 왠지 운이 좋다고 느끼며 출근한 김 과장은 그러나 자리에 앉아 노트북을 켜려는 순간, “헉-!”하고 숨을 들이마셨다. 한 동안 잊고 있던 존재가 나타난 것이다, 블.루.스.크.린!!  

'도대체 왜?! 어쩌다? 내가 뭘 잘못했길래?!' 라는 생각도 잠시, 동공지진에 이어 이마에 송글송글 땀이 맺히기 시작한 김 모 과장은 딱히 다른 방법이 떠오르지 않았다. 결국 블루스크린이 나타날 때면 늘 그랬듯, 혹여나 노트북을 포맷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어쩌나 하는 불안감에도 전원 버튼에 손을 뻗어 강제 종료를 시도했다.  

 

1805022399487204.PNG
(*이미지 출처: Shutterstock.com) 

 

누구나 한번쯤은 겪었을, 윈도우의 파란 화면 ‘블루스크린’. 이때 많은 사람들이 유사한 행동을 한다. 속으로 “망했다!”를 외치며 전원 버튼을 누르는 것. 

 

블루스크린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표시되는 화면으로, 영어로는 BSoD(Blue Screen of Death)라고 부른다. 일종의 커널 패닉 현상으로 화면상 ‘응답없음’을 자세하게 보여주는 화면이다. 과거 윈도우 XP 전후 버전 때 특히 자주 접했던 블루스크린은 그야말로 공포 그 자체였다. 이 화면을 만나는 순간 그동안 작업했던 모든 것들이 물거품이 되는 걸 경험했던 탓이다. 이러한 블루스크린은 윈도우7이 나온 이후 많이 줄어들긴 했지만 윈도우 사용자들에겐 아직도 보고 싶지 않은 존재이다.

 

한때 컴퓨터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땐 무조건 전원 스위치를 누르고 리부팅하는게 유일한, 혹은 가장 현명한 방법으로 통했다. 하지만 블루스크린이 떴다고 당황하기에 앞서 파란 화면 위의 하얀 글자들을 자세히 볼 필요가 있다. 물론, 영어로 쓰여있어 자세히 보고 싶지 않은 마음이 드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만 하다. 그러나 이 영어로 된 하얀 글자들 중 ‘에러 코드’가 라는 왜, 어떤 이유로 블루스크린이 나타나야만 했는지, 내 컴퓨터의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알려주기 때문이다. 수십 가지의 블루스크린 에러 코드 중 자주 발생한다는 10가지를 정리해봤다.

 

자주 발생하는 블루스크린 에러 코드 Top 10

블루스크린은 오류 화면 자체라기 보다는 ‘오류에 대한 원인을 알려주는 알림 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 주로 드라이버나 시스템 서비스파일(DLL) 오류로 나타나는 화면이다. 윈도우7 버전까지는 화면 가득히 안내와 숫자로 가득했던 블루스크린은 윈도우8 이후 [그림 2]와 같이 심플하게 바뀌었는데 여기에도 에러 코드는 찾아볼 수 있다. 

 

1805022400142354.PNG 

[그림 1] 윈도우7 블루스크린 에러 코드 위치

 

 1805022400366900.PNG 

[그림 2] 윈도우8 이상 버전의 블루스크린 에러 코드 위치

 

1. STOP: 0x0000001E - KMODE_EXCEPTION_NOT_HANDLED

이 에러 코드는 특정 부품의 드라이버 파일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경우나 메모리 주소, I/O 주소, IRQ가 충돌하는 경우,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또는 실행이 허용되지 않거나 알 수 없는 CPU 명령이 윈도우에 인식될 경우에 나타난다. 이 경우에는 백신 프로그램이나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등과 같이 시스템 자원을 잠식하는 프로그램(업데이트, 재설치 등)을 확인하고 메인보드 바이오스(BIOS)의 호환성 문제일 수도 있으니 바이오스를 업그레이드한다. 그래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것이 좋다

 

2. STOP: 0x00000050 - PAGE_FAULT_IN_NONPAGED_AREA

이 에러 코드는 컴퓨터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가 메모리에 없을 경우에 나타난다. 블루스크린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오류이다. 간혹 윈도우와 호환되지 않는 프로그램을 설치한 경우나 문제가 있는 메모리가 추가되었을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해결 방법으로는 잘못 설치(또는 업데이트)된 부품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하고 현재 꽂혀있는 부품(그래픽 카드 등)의 드라이버 파일을 삭제한 후 재설치하는 게 좋다.

 

3. STOP: 0x0000007B - INACCESSIBLE_BOOT_DEVICE

이 에러 코드는 부팅 장치에 접근 불가능하다는 의미로, 하드디스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나타난다.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부팅 영역이 손상된 경우나 윈도우 자체에 문제가 생겨 부팅 파티션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이 메시지를 볼 수 있다. 해결 방법으로는 바이오스(BIOS) 설정 중 부팅 순서가 하드디스크 우선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현재 CD-ROM이나 USB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등이 꽂혀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새로 추가한 하드디스크가 있다면 제거 후 재시도해본다.

 

4. STOP: 0x0000007F - UNEXPECTED_KERNEL_MODE_TRAP

이 에러 코드는 추가 설치(증설)한 메모리에 문제가 있는 경우(메모리 타입 등)에 발생한다. 또는 과열로 인해 CPU가 오작동하는 경우, 특히 CPU 쿨러 이상이나 과도한 오버클러킹으로 인한 오작동 시에도 나타난다. 이 경우에는 CPU와 관련된 모든 설정(클럭)을 초기화하고 CPU 쿨러 및 컴퓨터 케이스 등의 쿨러 정상 작동을 확인한다. 현재 컴퓨터와 호환되지 않는 특정 프로그램을 점검하고 삭제하는 게 좋고 윈도우 업데이트 등을 통한 패치를 권한다.

 

5. STOP: 0x0000009F - DRIVER_POWER_STATE_FAILURE

이 에러 코드는 시스템 종료나 대기 모드, 또는 최대 절전모드 등을 사용하다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갑작스러운 전력 공급 변동에 의한 경우에도 발생한다. 문제 해결 방법으로는 새로 설치된 프로그램(백신, 원격 제어, 백업 프로그램 등) 또는 하드웨어의 상태 확인 후 이상이 있는 부분을 제거하는 것. 각 하드웨어 드라이버 업데이트 내역을 확인하고 패치하며 대기모드, 최대 절전모드 사용 해제 후 점검하는 게 필요하다.

 

6. STOP: 0x000000D1 - DRIVER_IRQL_NOT_LESS_OR_EQUAL

이 에러 코드도 자주 등장하는 단골 에러이다. 각 부품 드라이버가 잘못 설치된 경우이거나 호환되지 않는 메모리를 장착한 경우에 발생한다. 백신 프로그램,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등 특정 프로그램이 오류를 일으키거나 시스템과 충돌 시 나타난다. 이 경우엔 드라이버 롤백 기능이나 시스템 복원 기능을 통해 이전 상태로 복구해보고 백신,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등을 삭제 후 점검해보자. 메모리의 장착 상태를 확인하고 재장착하는 것도 좋다.

 

7. STOP: 0x000000EA - THREAD_STUCK_IN_DEVICE_DRIVER

이 에러 코드는 주로 그래픽 카드의 드라이버가 잘못 설치된 경우에 발생한다.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를 제거 후 재설치하거나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면 된다.

 

8. STOP: 0x00000024 - NTFS_FILE_SYSTEM

이 에러 코드는 하드디스크 파티션 내의 오류(NTFS.sys 파일 오류)로 인해 발생한다. 하드디스크 내의 알 수 없는 오류로 인한 경우에도 나타난다. 만약 파티션이 깨지거나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주요 데이터를 백업한 후 포맷하고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게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하드디스크의 물리적인 에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 디스크 제조사의 점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게 좋다

 

9. STOP: 0xC0000218 - UNKNOWN_HARD_ERROR

‘Unknown hard’라는 부분 때문에 하드웨어와 관련된 문제라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윈도우 레지스트리의 문제일 가능성이 더 크다. 윈도우 레지스트리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윈도우를 포맷하고 재설치하는 게 좋다. 평소 컴퓨터에 대해 흥미와 지식이 있는 사용자라면 레지스트리 백업본으로 복구 또는 시스템 복원을 통해 복원해볼 수 있다. 간혹 경우에 따라 시스템 누전이 원인일 수 있으니 전원 확인과 하드디스크 케이블 연결 상태도 확인해보길 바란다.

 

10. STOP: 0xC0000221 - STATUS_IMAGE_CHECKSUM_MISMATCH

이 에러 코드는 '미스매치'된 부분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각 장치 드라이버, 파일 시스템, 하드디스크, 메모리 등이 원인일 수 있다. 따라서 장치 드라이버, 파일 시스템, 하드디스크, 메모리 등 모든 하드웨어를 각각 점검해야 하며 하드웨어에 문제가 없으면 윈도우를 재설치해야 한다.

 

블루스크린이 나타났을 때의 ‘체크리스트’ 

대부분의 블루스크린은 하드웨어 문제로 발생한다. 에러 코드에 문제가 있다고 나타난 PC 부품이 정상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어쩌다 가끔 한번씩 블루스크린이 나타날 수도 있지만 짧은 시간 내에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PC 하드웨어 및 윈도우 운영체제가 정상적인 상태가 아님을 나타내는 것이다. 단, 미리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한 후 윈도우를 재설치하거나 포맷해야 하도록 주의하자. 

 

만약 하드웨어적인 원인이라면 윈도우를 포맷하고 재설치하는 것이 의미 없다. 새 하드웨어를 다시 장착하거나 교체하는 게 답이다. 소프트웨어 문제도 단순한 충돌 문제일 수가 있어 무조건 포맷하는 게 정답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백신을 설치한 다음에 블루스크린이 떴다면 백신을 지우고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해보자. 포맷은 방법이 없거나 모를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블루스크린 대처를 위한 체크리스트>

1. 이벤트 뷰어를 확인한다. 시스템과 응용프로그램 항목에서 원인이 될 만한 사항이 있는지 주의깊게 확인한다. 부팅이 전혀 안되는 경우엔 ERD COMMANDER를 이용해 확인할 수 있다.

2. 새로 장착한 하드웨어가 있으면 제거하고 오류를 재확인한다.

3. 가능한 모든 방법을 총동원하여 하드웨어의 진단을 실시한다. 신뢰할 만한 진단 프로그램을 사용해 본다.

4. 장치 드라이버와 바이오스(BIOS)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한다.

5. 드라이버 업데이트 직후 BSOD(블루스크린)가 발생하면 구버전의 드라이버로 다시 설치해준다. 구형의 시스템에 최신의 장치(그래픽카드, 랜카드, 사운드카드, 메인보드 etc)를 사용하는 경우 블루스크린이 발생할 수도 있다.

6. 시스템 내부의 장치들이 확실히 장칙되었는가를 확인하며 전기접점을 가진 부품은 접점의 청소도 함께 실시한다(메모리, 그래픽카드, 사운드카드, 랜카드 등).

7. 인터넷 검색을 통해 시스템의 주요 부품이 다른 PC에서도 현재의 오류와 동일한 오류를 일으킨 경우가 있는지 찾아본다. 부품 제조회사 홈페이지와 마이크로소프트의 하드웨어 호환성 리스트(HCL)도 확인한다.

8. 백신 프로그램의 ‘정밀 검사’ 기능을 이용해 바이러스, 스파이웨어 등 악성코드를 철저히 검사한다.

9. 최근에 설치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하나씩 제거해 보며 오류를 재확인해 본다.

10. 바이오스 셋업 메뉴에서 메모리 관련 설정들을 하나씩 변경해본다. 캐시(Cache) 옵션, 쉐도우(Shadow) 옵션, 타이밍 옵션 등의 설정을 하나씩 변경해 본다.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99 PCTip 크롬에서 카카오맵(다음지도) Flash 항상 허용 file + 8 파란점하나 03-13 722
598 일반 제가 하는 WIM파일 만드는법 재도전합니다. file + 27 감자맨 06-25 722
597 정보 옷에 잉크얼룩 지우기 + 14 골드킹82 08-21 722
596 유틸리티 그리고보니 UpdatePack7R2 이거 집파일로 바꾸면 업데이트 목록 볼수있네요. file + 6 송건 01-19 723
595 PCTip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컴퓨터에서 가장 위험한 고장.. + 5 매니안 12-06 724
594 정보 LGA 775 펜티엄 4 리마킹한 가짜 코어 i5-9600K 등장 + 10 MinAngel 03-16 724
593 NAS(나스) NAS 구축을 위한 CPU 선택 file + 12 챤스 09-16 725
592 드라이버 RS5 업데이트 후 블루투스 잡히지 않는 문제 해결법 file + 9 kungms 10-15 726
591 윈도우 노트북 (ThinkPad) 에서 고주파음 안나게 하는 방법 file + 8 반돌 05-15 730
590 일반 진통제 없이 두통 물리치는 7가지 생활요법 + 10 haum 08-15 731
589 정보 키보드 접촉 불량 수리기 (접점 부활제) file + 8 OS초보99 02-23 732
588 일반 PE용 WIM파일에 포함된 프로그램 버전업 시키기 file + 17 HWLEE 03-19 732
587 일반 windows 10 부팅중 F8 안전모드 들어가기 + 3 구영탄 05-22 732
586 PCTip WinNTSetup 이용한 VHD 생성 후 이미지 풀기 + 7 daLda 12-13 733
585 관리/보안 NAS 만들기 준비 및 최소사항 #1 file + 13 데스윙 12-09 733
584 일반 PE에서 윈도우 폰트 사용하기 file + 1 Mania 03-08 734
583 정보 칼퇴를 부르는 협업 툴 Best 6 + 4 구피 03-21 735
582 PCTip Remix OS for PC 설치부터 한국어 설정, 구글 플레이 설치 후 안드로이드 게임 실행 까지 file + 7 매니안 10-22 739
581 정보 Windows 10 Home 버전 상위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기 file + 8 데스윙 10-03 743
580 정보 ipfilter 업데이트 수시로 올라오는 사이트 + 3 루시드림 02-23 743
579 일반 COM Surrogate 중지 오류 해결 file + 8 큰나무 03-20 746
578 PCTip DDU가 완벽하지는 않는것 같네요. + 6 마이스토리 02-13 749
577 일반 인생떡볶이 레시피!! file + 35 고마워요 04-01 751
576 일반 6월1일 이후 바이두 로그인 6/23 19:50 현재 전화인증 + 6 담비 06-23 754
575 정보 1.노트북에 윈도우 설치시 도움되는 설정 [Fast BIOS[도스모드]-Disabled] + 5 동자승 01-31 756
574 일반 윈도우10(1809버전 이상가능) 클립보드 히스토리 + 24 스프린터 07-22 756
573 일반 성범죄자가 되지 않기 위한 필수사항들 file + 19 푸른바다처럼 07-20 758
572 관리/보안 자동으로 휴지통과 임시 파일 정리하기 file + 6 오예스 11-12 759
571 PCTip 윈도우7 시작에서 전원 단추동작메뉴 바꾸기 + 19 윈포맨 08-13 761
570 PCTip 모니터의 컬러를 결정하는 명암비와 시야각 + 7 구피 04-09 761
569 일반 [ 이전윈도우즈설치(windows.old)파일 삭제 방법 ] + 3 숲속의빈터 10-06 764
568 정보 알아두면 유용한 사이트 모음 + 15 구영탄 01-31 764
567 유틸리티 WinMend Folder Hidden 2.3.0 file + 11 발자국 02-27 769
566 일반 파워서플라이 계산기 file + 25 와일드 02-05 770
565 PCTip Portable 앱에서의 Drag & Drop에 관한 보충글입니다. file + 24 성운아범 06-02 774
564 윈도우 윈도우즈 서비스 팩, 업데이트 파일 삭제하기 + 14 나도리 09-07 774
563 일반 Windows 10 작업관리자의 백그라운드 앱 프로세스 끄기 + 12 소금과빛 07-01 774
562 PCTip 쉽게 PC조립을 해보자, 윈도우설치(조립컴 가이드) 누구나 쉽게 가능! - 심프팀 (How To Assemble a PC) + 19 매니안 05-04 783
561 일반 저작권 관련 무료글꼴 정리 2 file + 37 교정치료 04-05 786
560 일반 rufus 세부항목 설명 + 21 구영탄 06-25 787
559 정보 Windows 10 수명 주기 file + 13 데스윙 12-19 789
558 PCTip 파폭 - 유투브 HTML5 동영상 플레이어 MSE & WebM VP9 부분 빨간 느낌표 문제 + 18 코요테 08-16 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