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Forum rules

포인트를 의식한 너무 짧은 내용이거나 내용이 부실한 피드백은 피드백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너무 부실한 내용이거나 너무 간단한 내용은 통보 없이 게시물 이동 합니다

그와 동시에 지급된 포인트를 모두 회수 합니다
URL 링크 :  

2018.04.29 내용추가 - USB 파티션 활성화 방법 추가합니다. Lakeside님 감사합니다.


아마 이게 윈도우 설치 방법 피드백으로는 마지막이 될 겁니다.

개인이 만든 4기가 넘는 wim파일을 USB(32기가 이하)로 BIOS(레거시), UEFI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려 합니다.


전 개인적으로 rufus로 작업하게 iso로 만들어달란 말이 가장 듣기 싫었습니다.ㅋㅋ

빨리 올리려고 했는데 이제서야 시간이 났습니다.ㅜㅜ


이거까지 보고도 iso, rufus만 찾는다면 그냥 GG 치겠습니다.



* 준비물


1. 준비물.jpg

FAT32 포맷, 파티션 활성화된 USB (제 자료 기준 16기가 이상 32기가 이하 USB)



- USB 드라이브 파티션 활성화 -


새로 구입한 USB, 자료 백업 용도로만 사용한 USB는 파티션 활성화가 되어있지 않을겁니다.

파티션 활성화를 해줘야 부팅이 가능합니다.


한 번 파티션 활성화를 해 놓으면 일부러 비활성화 하거나 디스크 삭제, 초기화 하지 않는 한 유지 됩니다. 

포맷, 파일 삭제 작업은 여러 번 해도 상관 없습니다.

 


- Win 10


윈도우키 + R 실행창 열기 - 열기에 diskmgmt.msc 적고 엔터,

디스크 관리로 가면 됨 (여러 방법이 있으니 아는 방법으로)


1. 활성화 되지 않은 드라이브.jpg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음 (이 상태에서는 부팅이 되지 않음)


2. 우클릭 - 활성 파티션으로 표시(M) 클릭.jpg

파티션 우클릭 - 활성 파티션으로 표시(M) 클릭


3. 활성화 완료.jpg

활성화 완료



- Win7, Win10 공용


RSImageX 로 가능합니다. 

RSImageX  <<  https://osmanias.com/feedback/1655558  준비물 참고


4. RSImageX 실행 - 파티션 클릭.jpg

윈도우 상에서 RSImageX 실행 - 파티션 클릭


5. USB 한 번 클릭 선택.jpg

디스크 - USB 드라이브 한 번 클릭 선택


6. 파티션 한 번 클릭 선택.jpg

파티션 한 번 클릭 선택


7. 활성화 클릭.jpg

활성화 클릭


8. 활성화 완료 - RSImageX 종료.jpg

활성화 완료 - RSImageX 종료



2. 준비물2.jpg

Dism++은  http://www.chuyu.me/en/index.html  <<  홈페이지에서  

Dism++ x86/x64/ARM64  <<  클릭 다운로드


WIN7_x64_UEFI  << WIN7_x64_UEFI.txt

WIN7_x86_x64_BIOS  <<WIN7_x86_x64_BIOS.txt

뼈대 (베이스) 는..

ko_windows_10_multi-edition_version_1709_updated_dec_2017_x64_dvd_100410908.iso

ko_windows_10_multi-edition_version_1709_updated_dec_2017_x86_dvd_100406377.iso  입니다.


Win7, Win10 wim (제가 만든 4기가 넘는 wim)


Win10 x64 MSDN iso (마지막 MSDN인 RS3)  <<http://jsb000.tistory.com/777?category=991974 홍차의 꿈님 블로그


*압축 파일들은 압축을 풀어서 준비합니다.



1. Win7_BIOS 설치


우선 wim 파일을 4기가 미만으로 분할해야 합니다.


3. Dism++ 더블 클릭 실행.jpg

Dism++ 더블 클릭 실행


4. 동의 클릭.jpg

동의 클릭


5. 파일 - WIM_ESD,SWM 클릭.jpg

파일 - WIM<-->ESD/SWM 클릭


6. 소스파일 경로 - 찾아보기 클릭.jpg

소스파일 경로 - 찾아보기 클릭

소스파일 = 통합 wim(4기가 이상)


7. wim 한 번 클릭 선택 - 열기 클릭.jpg

통합 wim 한 번 클릭 선택 - 열기 클릭


8. 대상파일 경로 - 찾아보기 클릭.jpg

대상파일 경로 - 찾아보기 클릭


9. WIM 이미지 파일 클릭 - WIM 이미지 분리 선택.jpg

WIM 이미지 파일 클릭 - WIM 이미지 분리 선택


10. 파일 이름 install 만 적고 - 저장 클릭.jpg

파일 이름 install 만 적고 - 저장 클릭


11. 마침 클릭.jpg

마침 클릭


12. v 클릭 - 4095 선택 - 확인 클릭.jpg

v 클릭 - 4095 선택 - 확인 클릭


13. 변환 중.jpg

변환 중


14. 성공 - 확인 클릭.jpg

성공 - 확인 클릭


15. X 클릭 - 창 닫기.jpg

X 클릭 - 창 닫기


16. 생성된 swm 파일.jpg

생성된 swm 파일


17. 내 PC 창 하나 더 열어 - USB 드라이브 열어 놓기.jpg

내 PC 창 하나 더 열어 - USB 드라이브 열어 놓기


18. BIOS 더블 클릭.jpg

WIN7_x86_x64_BIOS 폴더 더블 클릭


19. 우클릭 전체 드래그 - 복사.jpg

우클릭 드래그 전체 파일 선택 - 복사


20. USB 드라이브에 붙여넣기.jpg

위 PC 창 - USB 드라이브에 붙여넣기


21. 복사 완료.jpg

복사 완료


22. 아래 창 뒤로가기 - swm들 우클릭 드래그 전체 선택 - 복사.jpg

아래 PC 창 - 뒤로가기 - swm 우클릭 드래그 전체 선택 - 복사


23. USB 드라이브 - sources에 붙여넣기.jpg

위 PC 창 - USB 드라이브 - sources에 붙여넣기


24. 복사 완료.jpg

복사 완료


이제 USB - BIOS로 부팅해서 설치하면 됩니다.


25. USB 부팅 시 선택.jpg

BIOS 설치 시 USB 부팅 선택



2. Win7_UEFI 설치


26. USB 드라이브 - sources - swm 우클릭 드래그 전체 선택 - 잘라내기.jpg

같은 설치 파일인데 UEFI 설치하고 싶다면 swm은 유지하고 나머지 파일들만 교체하면 됨

USB 드라이브 - sources - swm 우클릭 드래그 전체 선택 - 잘라내기


27. 뒤로가기 - USB 드라이브에 붙여넣기.jpg

뒤로가기 - USB 드라이브에 붙여넣기


28. 붙여넣기 완료.jpg

붙여넣기 완료


29. 나머지 파일 우클릭 전체 드래그 - 삭제.jpg

swm 파일들 제외한 나머지 파일 우클릭 전체 드래그 - 삭제


30. 내 PC 창 하나 더 열어 - x64_ UEFI 폴더 더블 클릭.jpg

내 PC 창 하나 더 열어 - WIN7_x64_UEFI 폴더 더블 클릭


31. 우클릭 드래그 전체 선택 - 복사.jpg

우클릭 드래그 전체 파일 선택 - 복사


32. USB 드라이브 - 붙여넣기.jpg

아래 PC 창 - USB 드라이브 - 붙여넣기


33. 붙여넣기 완료.jpg

붙여넣기 완료


34. swm들 우클릭 전체 선택 - 잘라내기.jpg

아래 PC 창 - USB 드라이브 - swm 우클릭 전체 선택 - 잘라내기


35. USB 드라이브 - sources에 붙여넣기.jpg

USB 드라이브 - sources에 붙여넣기


36. 붙여넣기 완료.jpg

붙여넣기 완료


이제 USB - UEFI로 부팅해서 설치하면 됩니다.


37. USB 부팅 시 UEFI 선택.jpg

UEFI 설치 시 USB 부팅 선택



3. Win10_BIOS 설치


Win10의 경우 x64만 설명하겠습니다.

Win10 wim 역시 4기가 미만으로 분할해야 합니다.


38. Win10 wim 분할.jpg


39. 생성된 swm 파일.jpg

동일한 방법으로 분할


40. 우클릭 드래그 전체 파일 선택 - 삭제 클릭.jpg

USB 드라이브 - 우클릭 드래그 전체 파일 선택 - 삭제 클릭

처음에 한 번 FAT32로 포맷된 USB는 포맷 필요 없슴, 파일만 삭제하면 됨


41. 내 PC창 하나 더 열어 - iso 더블 클릭.jpg

내 PC창 하나 더 열어 - Win iso 더블 클릭


42. 자동으로 마운트 됨. 우클릭 드래그 전체 파일 선택 - 복사.jpg

자동으로 마운트 됨. 우클릭 드래그 전체 파일 선택 - 복사

Win7의 경우 UltraISO, 반디집을 이용해서 복사하면 됨(https://osmanias.com/feedback/1203064  참고)


43. USB 드라이브 - 붙여넣기.jpg

아래 PC 창 - USB 드라이브 - 붙여넣기


44. 건너뛰기 클릭.jpg

건너뛰기 클릭 (wim 파일이 4기가 넘어간다는 얘기)


45. 복사 완료.jpg

복사 완료


46. 마운트 된 드라이브 우클릭 - 꺼내기 클릭.jpg

위 PC 창 - 마운트 된 드라이브 우클릭 - 꺼내기 클릭


47. 위 PC 창 - 작업 드라이브 - swm 우클릭 전체 선택 - 복사.jpg

위 PC 창 - 작업 드라이브 - swm 우클릭 전체 선택 - 복사


48. USB 드라이브 - sources에 붙여넣기.jpg

아래 PC 창 - USB 드라이브 - sources에 붙여넣기


49. 복사 완료.jpg

복사 완료


이제 USB - BIOS로 부팅해서 설치하면 됩니다.


50. BIOS 설치 시 USB 부팅 선택.jpg

BIOS 설치 시 USB 부팅 선택



4. Win10_UEFI 설치


51. UEFI 설치 시 USB 부팅 선택.jpg

USB - UEFI로 부팅해서 설치하면 됨 (Win10은 부팅만 바꿔주면 됨)

Win10만 설치할 분들은 이 상태로 계속 wim(swm)만 교체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 만약 보드에서 BIOS (레거시), UEFI 둘 다 지원하는데 USB - BIOS 세팅 후 부팅이 안된다면 USB 문제입니다. 

간혹 이런 USB가 있습니다.


* 외장 하드 앞부분을 분할 (32기가 이하, FAT32 포맷, 파티션 활성화) 해서 동일하게 세팅 후 사용해도 됩니다.

첨부
엮인글 :

항아

2018.04.21 18:20:45

항상 고생 많으심에 감사드립니다 ^^.

f포메이션

2018.04.21 21:02:28

아하 트윅한 4기가 이상되는 것을 분할해서 적용시키는 방법이었군요...
어쩐지 뭔가 복잡해 보인다 했더니..

가운데 보니 2기가도 있고, 1기가도 있고, 너무 오래되서 어디 써먹기도 힘든 usb 사용할 때 좋아보이기도 하네요
아니면 남아도는 microSD 저용량이라든가

약담사

2018.04.21 21:06:43

자상한 설명과 스샷 감사합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늙은이최영순

2018.04.21 21:08:47

감사합니다

오카리나

2018.04.21 22:53:26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호명

2018.04.22 01:05:51

너무나 자세한 설명서~ 잘 배웠습니다.

프리네

2018.04.22 03:28:52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외장하드로 따라해 봐야겠습니다...^^

빙그레

2018.04.22 06:46:03

고수분들에겐 뭐? 이런걸..하겠지만
초보에겐 최고의 강좌입니다.
귀찮으실텐데도 시간들여 올리신 내용
챙겨갑니다. 배려에 감사드립니다!

나비꿈을꾸다

2018.04.22 10:07:29

저에게는 꼭 필요한 내용입니다. 고맙습니다.

음악해

2018.04.22 14:27:34

고맙습니다.

골프파더

2018.04.22 16:22:47

자세한 설명 , 감사합니다

blackshark

2018.04.22 17:10:54

수고하셨습니다.

나라하늘

2018.04.23 10:13:52

정성에 감사드립니다^^

무한해적

2018.04.23 10:41:50

자세한 설명 해주시는라 고생하셨습니다..

논끼

2018.04.23 14:49:43

전, rsimagex로 x장님의 최신 자료를 설치해서 사용중인데,
이 방법도 꼭 따라서 해봐야 겠어요...
수고 하셨습니다.

하늘보다가

2018.04.24 23:01:52

감사합니다

블루노트

2018.04.25 09:13:08

감사합니다.

DrKim

2018.04.26 12:29:41

뎅장님 소중한 정보 다루어 주셔소 고맙습니다.

저에게는 아주 중요한 꿀팁입니다.

관필선생

2018.04.26 13:00:46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이루

2018.04.27 09:41:04

수고에 항상 감사합니당~~

세라핌

2018.04.28 10:01:05

상당한 스샷 정말 감사합니다. ^^

너경고

2018.04.29 19:38:54

활성화단계를 추가해주셨군요. 의문점이 이제야 해소가 되네요^^;


한가지 건의 드리고 싶은게 있습니다.


rufus나 전용툴 사용자들을 위해 뼈대 iso를 만드는것도 좋은방법인것 같아요.


순정 iso에서 wim파일만 제거한 뼈대 iso는 용량도 적고 USB로 굽는시간도 절약되구요.


뼈대 iso를, 전용툴을 이용해 빠르게 부팅용 USB를 만들고 거기에 사용자들이 구한 고용량 wim파일을


분할해서 USB에 복사하면 전용툴 이용자들이 좋아할것 같아요.

godtel

2018.04.30 18:03:55

감사합니다. 덕분에 설치합니다

trek99

2018.05.01 08:19:50

쉽게 따라 할 수가 있겠네요..

군대리아버거

2018.05.01 20:36:06

감사합니다.

베르스퍼

2018.05.03 06:32:54

자세하게 설명해주셔 감사합니다. 따라해봐야겠습니다 ^^

smk513

2018.05.04 22:58:02

굳이 FAT32로 하지않고 NTFS 로 한다음 (RUFUS) 4기가넘는 WIM 파일 그대로 박으면 되지않나요?
제가 그렇게씁니다 ㅎ

뎅장

2018.05.05 00:43:39

추천
2
비추천
0
그 방법은 이미 예전에 설치 피드백 올렸습니다.

ntfs를 지원하지 않는 메인보드(완제품)나 UEFI 부팅만 되는 USB가 있습니다.

FAT32, 4기가 미만으로 wim을 분할해서 넣으면 어떤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설명한 겁니다.

리오딘

2018.05.09 16:00:44

파티션 우클릭 - 활성 파티션으로 표시(M) 클릭


전 이부분 자체가 활성화가 안되는데 어떻게 하죠? 유에스비는 FTA32로 포멧한상태입니다

뎅장

2018.05.09 18:03:54

RSImageX 로 해 보세요~

엘리시온

2018.05.09 20:26:37

포맷한 USB (4G 이상)에 윈도우10 부팅 USB를 WIM으로 만드려면

DIMM++로 wim파일을 쪼갠 뒤, Win10 x64 MSDN iso (마지막 MSDN인 RS3) <- 이 순정 iso 파일도 있어야 하나요??

lion

2018.05.09 21:01:55

솔직히.. 봐도 모르겠네요.. iso파일 만들어달라고 사람들이 할만한데요...; 에구구.. iso파일만 구하면 rufus로 클릭한방에 usb만들어지고 usb꼽고 부팅해서 설치하면 끝나는건데.. wim파일은 뭔가 너무 복잡해보이네요 ㅠㅠ 따라할 엄두가 안나네요 ㅠㅠ 흑흑

엘리시온

2018.05.10 00:05:27

이 가이드는 처음 wim 파일을 접하는 사람들은 전혀 중간에 막혀서 따라갈 수 가 없습니다. Win PE로 부팅을 해서 그 안에서 작업해야 한다는 것도 안 적혀있으니...그냥 알아서 대충 보고 이해해라 모르면 검색해서 이해해라 이런 느낌의 가이드....캡쳐하시느라 고생은 했는데 왜 사람들이 rufus, iso 요청하는 지 이해가 됩니다.;;;

뎅장

2018.05.10 00:26:28

추천
2
비추천
0

어느 부분이 대충 보고 이해해라 검색해서 이해해라 이런 느낌인지 정말 이해가 가지 않네요.


준비물부터 하는 방법 처음부터 끝까지 자세하게 스샷과 설명첨부 했는데..

PE부팅해서 작업하는 부분 없습니다. 잘 보세요~

4기가 넘는 wim을 모든 PC에 설치하려면 이렇게 하거나 PE부팅해서 설치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입석대

2018.05.11 19:31:03

컴초보인 제가 보기에는 어렵네요 ㅜㅜ

kungms

2018.05.12 12:56:44

우와! 이렇게 하니 4GB 넘는 wim 파일 설치하고자 PE 작업한다고 고생하거나 RSImageX 안 써도 되니 좋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뎅장

2018.05.12 13:30:18

이 방법이 정식 설치 방법입니다.

PE부팅 설치는 일종의 편법이죠.ㅋ 하지만 빠르고 간편하니 많이 애용하는 겁니다.

kungms

2018.05.12 19:34:46

그렇군요. 알려주신 방법으로 WIM만 10기가 넘는 걸 방금 노트북에 잘 설치했습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강글레리

2018.05.12 23:56:19

초보라서 그런가요? 알것 같으면서도 모를 것 같습니다^^;

호호형제아빠

2018.05.16 22:08:22

자세한 설명덕분에 성공했습니다
감사합니다

jkmpry

2018.05.29 21:14:30

충분히 이 커뮤니티의 회원분들이 rufus, iso파일을 요청할만 하네요 어느정도 지식이 있다면 wim 설치는 가능하겠으나 완전 "초보" 분들은 이글 보고 따라서 USB 활성화, wim파일 설치 분할 신나게 다해놨더니 갑자기 ISO파일을 마운트하라하면 초보분들은 무슨말인지 알수가 없죠 설명이 1도 없었는데 갑툭튀했으니 설명이 아쉬운 글이네요 ^^;

뎅장

2018.05.29 22:52:54

분명 준비물에 iso 받아 놓으라 했는데요.

또 제대로 안 보고 어렵다 하는 분들을 위해..


https://osmanias.com/feedback/1817075 <-- 여기에 RS4 최신파일 뼈대 올려놓았습니다.

jkmpry

2018.05.30 02:53:29

본문에서는

* 준비물

1. 준비물.jpg
FAT32 포맷, 파티션 활성화된 USB (제 자료 기준 16기가 이상 32기가 이하 USB)

준비물에 ISO 파일이 명시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ISO 파일 부분은 RSimageX 부분에 있습니다 윈도우10 내부 기능인 디스크 관리로 해결 하신분들은 윈도우7 사용자분들이나 읽어야할 RSimageX 부분은 당연 넘어가거나 읽더라도 대충 읽게 됩니다.(자신의 PC환경과 상관없으므로) 그래서 "초보" 분들이 따라하기가 어려운겁니다 WIM파일로 윈도우를 설치할수있는 지식을 갖고 있는사람이라면 문제 없겠으나, 초보일수록 글을 처음부터 그대로 따라가는 경향이 많은데 중간에 갑자기 언급도 없었던 ISO 파일이 갑툭튀하니 초보분들은 현실적으로 따라하기가 거의 불가능에 가깝겠지요. 댓글로 남겨주신 부분을 조금 더 초입부분에 명시해주시거나, 가독성을 높게 해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자라키

2018.05.31 19:06:02

뎅장님 안녕하세요!

윈도우7을 usb로 설치하려는데 uefi는 제 메인보드에서 지원을 하지 않네요....
USB - BIOS로 부팅해라고 말씀해주셨는데.. 이게 무슨 말씀이신지 잘모르겠습니다 ㅠㅠ

뎅장

2018.05.31 20:04:15

자라키님 안녕하세요~

아 그럼 더 쉽죠. 그냥 USB 부팅 하면 됩니다~

자라키

2018.05.31 20:49:48

감사합니다!

pe로 부팅해서 wim파일로 윈도우 설치하는게 편리해 보이는데 익숙해지기까지 저는 시간이 좀 걸릴 것 같네요 컴맹의 비애 ㅠ..ㅠ

뽀롱이주인

2018.06.05 16:40:51

고생하셨네요. 정성이 느껴집니다.

자라키

2018.06.16 19:32:49

뎅장님 안녕하세요!

제가 윈도우7 사용중인 컴퓨터에서 윈도우 설치 usb를 만들려고 하는데 usb 파티션 활성화를 윈도우10에서 하는 것처럼 diskmgmt.msc 에서 하면 부팅이 안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현재 사용중인 윈도우가 윈도우7 얼티메이트 버전이네요.

가루치고

2018.10.11 10:24:05

유용한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그동안 윈10이나 uefi 설치가 되는줄 알았는데 윈도우7 도 uefi 가 설치가 되는걸 처음알았습니다. 한수 배웁니다!

kkkk

2018.10.13 14:49:08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기타 Arcgis (아크맵) - X,Y 좌표 추가,변곡점,단계시험도 작성 [1]

◈ x,y 좌표가 없는 쉐입 데이타에 좌표를 만들어 주고 변곡점과 단계시험도를 만들어 주는 과정을 영상으로 만들었습니다. 1. X,Y 좌표값 추가 및 변곡점 생성. 2...

기타 Export to KML - 연속지적도를 Google Earth(구글어스)에 띄워보자 [1]

◈ 연속지적도만 보자면 언뜻 다각형의 면들의 조합이죠. 그래서 필지를 토대로 위치정보나 좀더 디테일한 정보를 얻을 수 없습니다. 이럴때 위치정보나 기타 정보...

기타 AutoCAD Map 3D 데이터(Shapefile) 엑세스 및 편집(Field 속성 수정) [1]

◈ 우리는 보통 쉐입 파일을 아크맵에서 주로 편집하곤 하죠. 그러나 편집하기 전에 기본적인 도형의 백트라이징은 캐드가 편한것도 사실입니다. 그런데요 그림은 ...

기타 ArcGis GeoReferncing(지리보정)툴 이용, 좌표 없는 이미지 파일 변환 [1]

◈ 좌표가 없는 즉 특정 위치 개념이 없는 이미지를 캐드의 러버시트와 마찬가지인 작업으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주로 좌표가 없는 지도영상이나 ...

기타 ArcGis, ArcCatalog 툴 이용 공간적 객체들간 관계(Topology) 알아보기

◈ arcgis의 토폴로지를 이용하여 각각의 객체나 피쳐간의 공간적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을 할 수 있습니다. 캐드의 토폴로지,도면정비와 거의 같다고 할 수 있습니...

기타 Microsoft Access, ArcGis, ArcCatalog OLE DB 연동 DBF 파일 만들기 [2]

◈ excel에서 table을 만들고 예전 엑셀 2003 버전에서는 dbf로 저장이 가능했습니다. 그러나 엑셀 2007 버전부터 dbf 저장이 사라졌죠. 그래서 엑셀에서 테이블을...

기타 Win10XPE (128 MB) 2018-07-12 테스트 file [17]

7월12일 자로 포스팅 된      win10xpe 를  가지고,  간단히  윈도우10 PE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우선 사이트는   theoven.org 입니다. 거기서  win10pe se 찾아...

기타 Windows10 RS4 x64 17134.112 Lite 사용기 file [5]

좋은 작품을 제공해 주신 Man..님께 감사인사드립니다. 꾸~벅 제가  좋아하는 라이트 작품은   여기  Man..님 작품하고, 다른데 티스토리 상에서  저명하신  디캄...

에러제보 제발 제 윈도우를 쓰지 말아주세요!!! [39]

제 윈도우를 사용하면서 에러가 난다면 저에게도 책임이 있겠지요. 저도 에러나는 부분은 빨리 수정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이런식의 댓글을 달면 저에게 너무 무...

  • Mania
  • 2018-06-17
  • 조회 수 1910

테스트 PE빌드 간단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file [6]

고수님들의 자료공유 받아 필요한 프로그램 과 배경 스타트뮤직 수정해서 빌드해봤습니다 부팅시 노래는 BTS의 신곡이 흘러나와서 좋네요^^ 테스트는 버추얼박스...

에러제보 RS4_PE_Win(x86,x64)Setup_통합뼈대 및 사용법 file [27]

06.06 수정사항 UEFI 부팅 시에도 한글로 나오게 수정했습니다. 사용상 문제는 없었지만 되지 않아서 엄청 삽질했는데ㅜㅜ 드디어 성공했습니다. ㅋㅋ RS4_x86_x6...

  • 뎅장
  • 2018-06-05
  • 조회 수 1821

에러제보 레**님 RS4 sfc /scannow 시스템손상 문제 [3]

마소 순정 이미지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하네요. 글삭제가 되지 않아 줄 그어두겠습니다. 레**님 RS4 설치후 cmd 관리자 권한에서 sfc /scannow를 하면 시스...

에러제보 RS4_x86_x64_통합뼈대 및 사용법 file [19]

제가 요즘 PE부팅 설치에서 정식 뼈대 설치로 넘어가는 중입니다. 그래서 공부 좀 하면서 만들다보니 통합뼈대까지 만들게 되었습니다.ㅋ 저는 Win7-10 x86, x64,...

  • 뎅장
  • 2018-05-31
  • 조회 수 1668

테스트 경량화 ISO뼈대에 Explorer++을 넣었습니다. [1]

경량화시킨 ISO뼈대에 Explorer++을 넣어봤어요. 간혹 명령창을 열어 사용하는데  여러가지 명령어를 배치파일로 만들어 사용하면 나름 편리할 것같아서...ㅎㅎ ...

  • Mania
  • 2018-05-30
  • 조회 수 396

에러제보 Win10 Lite Edtion AutoCAD용 누락파일 file [3]

AutoCAD가 실행이 Microsoft.NET의 파일 누락으로 실행이 되지 않았었습니다. 이전 버전부터 알고 있었던 부분이었지만 AutoCAD 어플도 없고 하여 테스트하지 못...

  • Mania
  • 2018-05-30
  • 조회 수 414

테스트 Mania님 라이트버전 사용기 file [9]

이것저것 셋팅 해보는중인데 2007은 잘실행되는데 2019에서는 설치후 치명적 오류라고 실행이 안되네요 2013도 마찬가지인데 혹시 어떤문제인지 아시는분 계실까...

에러제보 USB로 윈도우 (Win7, 10) BIOS, UEFI 설치하기용 RS4 최신 뼈대 file [23]

얼마 전 철X님 PE용 뼈대를 만들었는데 윈도우 설치용 뼈대도 만들어봤습니다. USB로 윈도우 (Win7, 10) BIOS, UEFI 설치하기용 RS4 최신 파일로 구성된 뼈대입니...

  • 뎅장
  • 2018-05-29
  • 조회 수 1794

에러제보 Win10 Lite Edition 누락파일입니다. file [6]

Win10 Lite Edition을 설치 후 한글 2018에서 수식을 쓰려할 때 에러가 납니다. 닷넷에서 파일이 누락되어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첨부된 압축파일을 여시고   Sy...

  • Mania
  • 2018-05-29
  • 조회 수 527

에러제보 Win10PE_RS4_x86_x64_Admin 뼈대 [66]

https://osmanias.com/feedback/1921740 << 로 대체합니다.

  • 뎅장
  • 2018-05-24
  • 조회 수 2856

에러제보 새로 빌드업이 되서 PE작업을 새로 해서 만들었습니다 file [10]

선x님하고 제이x님이 공유해주신 빌드로 새로 만들었습니다 샷하나 올립니다

에러제보 ★ Win10 RS4(17134.48) x64x86 유틸통합 2018.05 Re******님 설치기... file [8]

오랜많에 설치기를 올려봅니다....그동안 컴퓨터가 없어서 오로지 모바일로만 사용하다가.... 오래된 컴퓨터가 들어와서 새로이 설치를 해봅니다.... 펜티엄 듀얼...

테스트 이제 PE작업에서 벗어났으면 좋겠습니다. [2]

시스템계정과 관리자계정을 두고 고민하다가 둘다 그냥 쓸어넣었습니다. 주력으로 쓸 PE가 시스템 계정이므로  boot.wim 파일도 시스템계정에 맞게 극최소화한 ...

  • Mania
  • 2018-05-19
  • 조회 수 605

테스트 Win10 RS4 x64 PE 어드민계정용 테스트 [4]

이번에는 Win10 RS4 x64 PE를 어드민계정으로 만들어 여기까지 왔습니다. 크롬 IE11 잘 동작하네요. 극 최소화중입니다. 심지어 로그인화면도 CMD창으로 뜬다는....

  • Mania
  • 2018-05-16
  • 조회 수 722

테스트 Windows10 RS4 Lite Edition 마무리 단계입니다. [13]

파일 삭제시 삭제 대화상자 표시되도록 수정했습니다. x64 Pro 설치직후의 용량입니다. 역시 모든 앱을 제거하여 깔금한 시작메뉴입니다. 닷넷 3.5를 사전설치...

  • Mania
  • 2018-05-07
  • 조회 수 942

에러제보 크롬 업데이트 후 네이버 실시간 방송 안 나올때... [7]

이번 크롬업데이트(66.0.3359.117)에서도  네이버 실시간 방송이 안 나오네요..ㅠㅠ 잘 나오던 실시간 방송이 크롬 업데이트 후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네이버 플...

  • Mania
  • 2018-04-22
  • 조회 수 765

에러제보 USB로 윈도우 (Win7, 10) BIOS, UEFI 설치하기 file [53]

2018.04.29 내용추가 - USB 파티션 활성화 방법 추가합니다. Lakeside님 감사합니다. 아마 이게 윈도우 설치 방법 피드백으로는 마지막이 될 겁니다. 개인이 만든...

  • 뎅장
  • 2018-04-21
  • 조회 수 9797

테스트 Win10 PE RS4 x64버전 마무리샷~ (추가) file [23]

17133에서 해결 안되던 것들이  17134로 바꾸고 나서 하나씩 해결되네요..ㅎㅎ Virtual BOX가 정상작동됩니다. 17133에서는 아무리 뜯어봐도 안되던 것이 17134로...

  • Mania
  • 2018-04-18
  • 조회 수 883

에러제보 Win7 wim 파일에 드라이버 (USB 3.0_3.1, Nvme) 추가하기 file [47]

  PE부팅 wim설치 시에 USB 드라이버는 간단하게 추가가 가능합니다.   RSImageX 에서는 드라이버 설치 오른쪽 Hotfix를 통해 동시 설치 가능함.   드라이버설치,...

  • 뎅장
  • 2018-04-15
  • 조회 수 2661

테스트 UpdateAction_100_WINTTF.exe-x 오진 입니다 [13]

이번에 올라온 자료중 "UpdateAction_100_WINTTF.exe-x" 이분이 문제가 있어서 여러 회원님들이 걱정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확인 해보니 오진 인것 같습니다...

  • Op
  • 2018-04-11
  • 조회 수 644

테스트 Malwarebytes 한글 2018 검사테스트 file [49]

레미X님 자료가 올라왔는데 Malwarebytes에서 비트코인 악성코드가 나온다는 댓글을 보고, 제 자료도 마찬가지일거라는 생각이 들어서 제 윈도우상에서 직접 해봤...

  • 뎅장
  • 2018-04-09
  • 조회 수 3711

테스트 또 다른 NGD 작업 시작... RS4... file [14]

현재 여기까지 구현했습니다. 빌더가 불안정하여 노가다 아니면 어렵습니다.

  • Mania
  • 2018-04-02
  • 조회 수 761

에러제보 Win10 PE x64 Super Lite 드디어 끝? file [47]

이제 정말 더 이상 줄이고 싶어도 줄일 수 없을 지경입니다. 용량은 이제 늘어나면 늘어나지 절대 줄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줄인다면 검색기능일 것입니다. 하...

  • Mania
  • 2018-04-01
  • 조회 수 2366

테스트 윈도우10 시스템 글꼴을 나눔고딕으로 쉽게 교체하기 [13]

보통 윈도우의 한글 시스템 글꼴은 두 가지입니다. 굴림체와 맑은고딕입니다. 하지만 두 글꼴의 용량은 13MB정도로 꽤 큰편입니다. 여기에서는 큰 용량의 글꼴의 ...

  • Mania
  • 2018-03-31
  • 조회 수 2610

에러제보 Win10 PE x64 Super Lite 바로가기 관련입니다. file [7]

저와 비슷한 상황이신 분들이 있으실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3개의 하드에 윈도우가 2개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윈도우 설치후..뒤죽박죽인 드라이브 문자를 제가 ...

에러제보 Win10 Pro x64 RS4 17127.1 -> 17218.1 업데이트 (내용 추가) file [14]

Win10 Pro x64 RS4 17127.1 유틸 통합 180321 설치하신 분들 업데이트 하세요~  이 말 취소합니다. 웬만하면 하지마세요~ 오른쪽 하단 평가본 워터마크 사라졌네...

  • 뎅장
  • 2018-03-24
  • 조회 수 866

테스트 Win10 PE x64 Super Lite Edition 설명서 [19]

Win10 PE x64 Super Lite Edition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틈나는대로 스샷 먼저 보여드리겠습니다. 가상PC에서의 메모리 점유율입니다. 실컴에서는 좀더 ...

  • Mania
  • 2018-03-23
  • 조회 수 1032

에러제보 remi@ 님의 windows10 home 64 170630 후기 file

매우 늦은 감이 있지만 레mz 님의 통합윈도우는 예~전에 윈7부터 지금까지 계속 써오고 있습니다. 레밎ㅡ님의 윈도우는 좀 지난걸 설치해도 업데이트만 진행하면 ...

에러제보 wim 통합 및 추출 file [25]

필요한 wim 이미지들만 통합하거나 통합 wim에서 필요한 wim 이미지만 추출 (내보내기) 하는 방법을  wim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님들을 위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

  • 뎅장
  • 2018-03-21
  • 조회 수 4013

에러제보 Acronis True Image 2018 Build 9202 Multilingual Bootable ISO 한글은 없을까요? [5]

Acronis True Image 2018 Build 9202 Multilingual Bootable ISO 를 usb로 구워봤습니다. 부팅을 해보니 영문판입니다. Multilingual 라는건 아마 설치시에만 해...

테스트 PE 시작메뉴를 쉽게 수정하고 추가할 수 있습니다. [22]

기존 WinPE에서는 wim파일을 마운트하셔서 수정하고 다시 wim파일을 만드셔야 합니다. 이런 작업은 좀 귀찮고 초보인 경우에는 어려운 작업(?)으로 여겨지는 부분...

  • Mania
  • 2018-03-12
  • 조회 수 1188

테스트 Win Update Stop v1.0 테스트 file [9]

* 이 프로그램에 대해 어떠한 악의적인 감정이 없음을 알려 드립니다 최근들어 Windows 업데이트만 하면 피해 보는 사용자가 많아 졌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CPU...

테스트 Win PE를 새롭게 구성하고 있습니다. [21]

첫번째 목표  가능한한 유틸을 단일파일로 만들고 외부 폴더로 연견하고 어떤 드라이브문자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기. 물론 USB부팅 혹은 CD로 부팅하더라...

  • Mania
  • 2018-03-11
  • 조회 수 1116

에러제보 윈10 프로/홈 RS3(16299.125) x64 Remiz 2017.12 사용 후 통합유틸 피드백 file [6]

언제부터인가 레미쯔님의 통합 os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얼마전 공유해주신 아래 윈7 , 윈10 사용해보고 한가지 요청이 있어서 올립니다.  윈10 프로/홈 RS3(16...

에러제보 PE 부팅 Win10 UEFI 설치 file [49]

Win10 UEFI 설치 방법을 한 이틀 동안 공부해봤습니다.  검색해서 실제 실행해보니 귀찮거나 안되거나 처음 설치는 되는데 재설치시 문제가 나타났습니다. 이 방...

  • 뎅장
  • 2018-03-01
  • 조회 수 12514

에러제보 [Sysprep] Windows 7 18in Hotfix 180111 With App file [4]

간단 설치및 사용기입니다.... 윈10에서 WinNtSetup을 이용해서 VHD를 생성해서 실컴에 설치하고 EastBCD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부팅 정리 했습니다... 똥컴이지만...

  • 왕형
  • 2018-03-01
  • 조회 수 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