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https를 이용하지 않는 홈페이지는 안전하지 않다고 경고하겠다는 구글이 이번에는 https 기술을 쓰더라도 구형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면 위험하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구글은 올해 초부터 안전한 인터넷 환경 구축을 목표로 삼고 개인, 기업, 정부 모두 홈페이지에 https 및 최신 암호화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고 적극 홍보하기 시작했다. 크롬 56 버전부터 https를 적용하지 않고 개인정보를 입력 받는 홈페이지에 '안전하지 않음'이라고 경고창을 띄우는 것 역시 이러한 안전한 인터넷 환경 구축의 일환이다.

이번에는 https의 핵심 기술 가운데 하나인 SHA(Secure Hash Algorithm, 안전한 해시 알고리즘)의 보안 취약점에 대한 경고를 하고 나섰다. 구글은 자사의 보안 블로그(https://security.googleblog.com/2017/02/announcing-first-sha1-collision.html)를 통해 과거의 표준 암호화 기술인 SHA-1에서 '암호화 해시 충돌(cryptographic hash collision)' 기법을 이용해 통신으로 주고받는 내용물을 가로챌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이 확인되었다고 23일(현지시각) 발표했다.

0003045241_001_20170224181304423.jpg?typ암호화 해시 충돌<암호화 해시 충돌 (사진=구글 시큐리티 블로그)>
SHA란 서버(홈페이지)와 클라이언트(사용자)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중간에 훔쳐볼 수 없도록 통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술이다.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1993년 최초로 설계했고, 이후 인터넷 보안 표준으로 채택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1995년 후속 기술인 SHA-1이 발표되었고, 2001년 SHA-1을 대체하기 위해 SHA-256, SHA-384, SHA-512가 공개됐다. SHA-1에 이론상으로 보안 취약점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중의 상당 수 홈페이지가 SHA-1을 활용해 암호화를 진행했다. 이론상에서만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이라 실제로 보안이 취약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이번 구글의 발표는 그동안 이론상으로만 존재했던 SHA-1의 보안 취약점이 실제로 존재함을 입증한 것이다. 암호화 해시 충돌 기법을 이용하면 해커가 중간에 데이터를 가로채 파일을 위변조할 수 있다. 구글은 실제로 SHA 해시 코드는 동일하지만 내용물이 다른 2개의 PDF 파일을 공개해 이 기법을 통해 해커가 침입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이러한 문제를 파악한 후 구글은 지메일과 지스위트(구글의 업무용 SaaS)를 암호화해 자사 서비스에서 해커가 암호화 해시 충돌을 이용할 수 없게 했고, 홈페이지에 문제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무료 검출 서비스(http://shattered.io/)도 공개했다. 구글은 90일 후 암호화 해시 충돌에 이용할 수 있는 PDF 파일을 생성하는 코드를 공개하겠다고 함께 밝혔다.

구글은 최신 버전 크롬을 통해 보안 취약점이 실제로 발견된 SHA-1을 활용해 암호화된 홈페이지는 '더 이상 쓸모가 없는(obsolete)' 기술을 활용해 암호화된 페이지라고 표시하고 있다. 반면 SHA-256을 활용해 암호화된 홈페이지는 '강력한(Strong)' 기술을 활용해 암호화된 페이지라고 표시한다. 특정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크롬 개발자 메뉴 > 시큐리티 > 인증서 확인 항목에서 이러한 문구를 발견할 수 있다.

0003045241_002_20170224181304441.jpg?typ
구글의 이러한 발견은 이미 작년 말부터 업계에 널리 알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제 3자 인증을 발급하는 보안 기관들은 작년을 기점으로 더 이상 SHA-1을 활용한 제 3자 인증서를 발급하지 않고, SHA-256을 활용한 제 3자 인증서를 새로 발급받아야 한다고 공문을 발송한 상태다.

물론 당장 SHA-1를 이용한다고 해서 엄청난 보안 취약점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된 SHA-1을 계속 이용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22년 동안 이용했던 구형 암호화 기술을 이제 놓아주고 현재 널리 이용되는 보다 안전한 암호화 기술을 이용해야 할 시점이다.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Bobono

2017.02.26 10:45
가입일: 2016:12.05
총 게시물수: 17
총 댓글수: 815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profile

프리네

2017.02.27 04:49
가입일: 2016:05.06
총 게시물수: 310
총 댓글수: 13182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shaula

2017.02.27 10:09
가입일: 2018:10.08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567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쪼쪼

2017.02.27 10:36
가입일: 2017:02.15
총 게시물수: 9
총 댓글수: 325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네네

2017.02.27 11:36
가입일: 2016:12.28
총 게시물수: 2
총 댓글수: 51

뚫는 자와 막으려는 자.

전쟁이 치열한 것 같습니다.


컴퓨터 전공이 아니라서 깊은 내용은 알지못하지만, 개략적인 내용이라도 접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대공

2017.09.02 15:20
가입일: 2018:11.01
총 게시물수: 26
총 댓글수: 1150

안전한게 없슴

profile

세계일주

2017.09.28 22:21
가입일: 2018:10.09
총 게시물수: 86
총 댓글수: 737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보안 게시판 신설 file + 8 Op 2016-10-16 639
91 보안 소식 “올해도 여전히…” 새해 벽두부터 찾아오는 ‘악성코드’ 주의 + 6 크로커스 01-03 43
90 보안 소식 학회가 뽑은 2017년 정보보호 10대 이슈 file + 7 따봉 01-02 84
89 보안 소식 신년, 간략히 짚어보는 버그바운티의 역사와 미래 file + 7 따봉 01-02 44
88 보안 소식 보안’은 쏙 빠진 ‘웹 호환성 우수 사이트’ 이대로 괜찮나 file + 7 따봉 01-02 54
87 보안 소식 2017년 3大 보안 키워드: 랜섬웨어와 IoT, 그리고 클라우드 file + 7 따봉 01-02 51
86 보안 소식 2017년 보안 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5가지 file + 7 따봉 01-02 47
85 보안 소식 2017년 사이버 보안, 대담한 예측 6가지 file + 6 따봉 01-02 49
84 보안 소식 2017년 3월 국내 최대 보안 이벤트 ‘SECON 2017’ 열린다 file + 7 따봉 01-02 73
83 보안 소식 변하는 랜섬웨어에 맞는 새로운 사이버 적응력 필요하다 file + 7 따봉 12-30 166
82 보안 소식 랜섬웨어, 올해 최악의 ‘사이버 보안위협’ 자리 굳혔다 file + 7 따봉 12-30 126
81 보안 소식 파일 암호화 대신 삭제하는 랜섬웨어, 랜스캠 등장 file + 9 따봉 12-30 143
80 보안 소식 삭제형 멀웨어 킬디스크, 랜섬웨어를 업고 나타나다 file + 8 따봉 12-30 140
79 보안 소식 지능정보시대, 정보보호산업 육성에 1,285억 투입” file + 6 따봉 12-30 117
78 보안 소식 “2017년, CCTV통합관제센터의 지능화 구현에 역점” file + 7 따봉 12-30 54
77 보안 소식 긴급] 박○헤 포○노 영상 사칭까지...악성코드 스미싱 기승 file + 13 따봉 12-29 272
76 보안 소식 미라이 봇넷과 디도스, 4년 전부터 알고 있었다 file + 8 따봉 12-29 142
75 보안 소식 미라이 아닌 또 다른 사물인터넷 디도스 봇넷 발견 file + 8 따봉 12-29 155
74 보안 소식 KISA가 IoT 기기 버그바운티를 시작하는 이유 file + 8 따봉 12-29 132
73 보안 소식 미 국방부 이어 미군도 사상 최초 버그바운티 시작 file + 8 따봉 12-29 155
72 보안 소식 2016년 버그바운티 성과 보고서: 얻은 것과 잃은 것 file + 7 따봉 12-29 60
71 보안 소식 보안담당자여! 우리옆 의사,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공략하라 file + 8 따봉 12-28 118
70 보안 소식 긴급] 사용자 PC ‘원격 제어’하는 악성 파일, 토렌트 통해 급속히 유포 중 file + 5 따봉 12-28 130
69 보안 소식 2016년, 보안 업계를 깜짝 놀래킨 서프라이즈 5 file + 6 따봉 12-28 113
68 보안 소식 CCTV 영상정보 보안의 끝...데이터 암호화, 위변조 방지 등 기술적 필수요건 file + 7 따봉 12-28 129
67 보안 소식 [한국정보보호학회 칼럼] 학회가 뽑은 2017년 정보보호 10대 이슈 file + 7 따봉 12-28 66
66 보안 소식 난리의 유럽 : 10대는 디도스, 프랑스는 사이버전 강화 file + 5 따봉 12-28 108
65 보안 소식 연말정산 문서 함부로 열었다간 랜섬웨어 감염 + 7 크로커스 12-28 161
64 보안 소식 CA API 관리 솔루션, ‘자본시장 공동 핀테크 오픈플랫폼’ 지원 file + 8 따봉 12-27 58
63 보안 소식 보안, 구매자 끌어당기는 셀링 포인트 될 수 있을까? file + 6 따봉 12-27 58
62 보안 소식 상반기 결산] 보안업계 ‘합종연횡’ 실태...하반기 ‘지각변동’ 예고 file + 7 따봉 12-27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