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Warning!  자유 게시판에서 질문을 하시면 바로 강퇴 됩니다.
분류 :
정보
조회 수 : 399
추천 수 : 3
등록일 : 2016.07.28 11:49:52
글 수 1,989
URL 링크 :
버라이즌(verizon)은 미국 뉴저지에 본사를 두고 있는 미국 내 1위 이통통신 사업자이다. 미국 내에서의 통신 커버리지는 버라이즌을 상대할 수 있는 이통사(AT&T, 스프린트, T-mobile)가 없을 만큼 절대적인 위치를 갖고 있다.

그런 버라이즌이 야후(Yahoo)를 인수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버라이즌이 야후를 인수하는데 들어간 인수금액은 48억달러이며, 한화로 약 5조 5천억 원이다.

최근 ARM을 인수한 소프트뱅크의 인수액(약 35조)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이라는 점과 요즘 인터넷 시장에서 야후(Yahoo)가 보여주는 신통치 못한 모습에서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인수라고 하지만 과거부터 이어진 야후의 인수 이야기를 조금만 살펴보면 '웃픈 이야기'가 숨겨져 있다.




야후 인수 실패가 MS에게 신의 한수였다?

야후(Yahoo) 인수와 관련된 이야기에서 'Microsoft(이하, 'MS'라고 함)'를 빼 놓을 수는 없다. MS와 야후의 인수 관련 이야기는 2008년 시작되었고, 2008년 상반기 '세기의 빅딜'은 결렬되고 말았다. 당시 MS 입장에서는 아쉬운 인수 결렬일 수 있지만, 약 8년이 지난 지금 생각해보면 '신의 한 수'라는 느낌도 든다.


2008년 2월 MS는 446억 달러(약 42조 1519억 원)에 야후(Yahoo)를 인수하겠다고 제안했다. 당시 MS의 야후 인수 제안은 '세기의 빅딜'로 알려질 정도로 IT 분야의 커다란 사건이었다. MS의 스티브 발머 CEO는 야후에 보낸 제안서에 '인수가인 주당 31달러는 1월 31일 기준 19.18달러 보다 62%의 프리미엄을 더한 것'으로 좋은 조건에 인수하겠다는 것을 강조했다.

MS가 야후를 인수하려고 한 이유는 당시 빠르게 사업을 확대하며 성장하고 있던 '구글(Google)'을 견제하기 위한 승부수였다.

MS - Yahoo


구글(Google)도 강력한 라이벌의 등장을 막기 위해서 야후와의 인터넷 광고 사업에서의 협력을 모색했고, 야후 역시 MS 인수 제안에 '야후의 성장 잠재력을 감안하면 주당 31달러(인수가)는 부족하며, 최소 주당 40달러은 되어야 한다'는 내용으로 거절아닌 거절은 했다!

만약 MS가 40달러로 야후를 인수했다면 인수가는 약 575억 달러(약 54조 3438억 원)가 되는 것이다. 현재 버라이즌에 인수되는 야후의 인수가를 생각하면 10배 이상의 금액을 부른 것이다.


통큰 MS도 주당 40달러를 주고 야후를 인수할 생각은 없었고, 적대적 M&A까지 생각했지만 2008년 4월 MS는 제안한 금액(446억 달러)가 아니라면 야후 인수 없이 독자적인 인터넷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리고 5월 스티브 발머 CEO와 제리 양 CEO가 막판 협상까지 벌였지만 결론은 인수가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한 인수 협상 결렬로 '세기의 빅딜'은 막을 내렸다.




인터넷을 대표하던 야후(Yahoo)의 인수

2008년 MS와 야후의 인수가 결렬 된 이후 꾸준히 성장하는 기업은 '구글(Google)'이었다. 검색 엔진은 물론이고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서 구글의 입지는 점점 커졌다.

특히, 동년도인 2008년 '안드로이드(Android)'라는 모바일 OS를 내놓으며 꾸준한 업그레이드를 통해서 지금은 모바일 사업에 있어서 구글의 안드로이드를 빼놓고 이야기를 할 수 없을 만큼 PC 시장에서 모바일 시장으로의 변화도 잘 맞춰 나가며 성장하고 있다.


MS와 야후는 어떨까? 올해 초부터 야후의 인수 이야기가 다시 인터넷에 등장했다. 하지만 MS는 2008년처럼 적극적인 인수 제안을 하지는 않았다. MS는 야후 인터넷사업 인수에 관여하는 투자자들에게 필요한 자금을 댈 의사는 있지만, 직접 인수에 뛰어들지는 않았다.

인수는 하지 않지만 인수 자금은 댈 수 있다는 것은 야후를 인수하는 기업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현재 MS가 야후와 맺고 있는 파트너 관계를 유지하기 위함이 아닐까 생각한다.

MS와 야후는 2010년 검색 제휴를 골자로 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야후는 MS에 검색 기술을 제공하고, MS는 빙(bing, MS의 검색엔진) 검색 결과를 야후에 제공한다는 파트너십이다. 야후는 검색광고 매출의 88%를 MS에게 지불했다. 양사는 2015년 2월 파트너십을 연장 계약했고 최초 계약부터 만료까지 약 10년동안 검색 제휴 기간을 유지하게 된다. 


야후 인수 관련


야후(Yahoo)는 MS 뿐만 아니라 구글과도 파트너 관계를 맺고 있지만 경영 상황은 그리 좋지 않았다. 1990년대 '인터넷(internet)'을 대표하던 야후가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 새로운 서비스(기업)에 밀리며 검색, 모바일, 소셜 미디어 시장에서 입지가 점점 줄어든 것이다. 그런 상황이 계속되면서 야후는 어쩔 수 없이 '인터넷 사업 매각'이라는 방안을 내놓았고, 버라이즌을 비롯한 다양한 기업이 야후의 인터넷 사업 매각에 비딩을 한 것이다!





버라이즌(verison)이 야후 인수에 뛰어든 이유!

버라이즌이 48억 달러에 인수하는 사업은 야후(Yahoo)의 검색, 뉴스, 이메일 등 인터넷 관련 핵심 사업 부분이다. 버라이즌(verizon)이 야후 인수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야후의 인터넷 플랫폼을 활용해 동영상 서비스와 온라인 광고 사업을 키우기 위함이다.

동영상과 온라인 광고 사업은 버라이즌의 차세대 성장 엔진으로 보고 있으며, 그 시작을 야후의 기술력으로 조금 더 안정된 시작을 하고 싶었을 것이다. 거기에 추가로 2015년에 인수한 AOL(America OnLine)과 결합한 디지털미디어 사업의 확대까지 이어질 듯 하다.

버라이즌(verizon) & 야후(YAHOO)


버라이즌의 휴대폰 가입자 1억 1200만명과 이메일과 검색 등 야후 서비스 이용자 10억명 그리고 AOL 가입자 200만명을 결합하여 온라인 광고 시장에서 거대 공룡이라고 불리는 구글, 페이스북과 경쟁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질 것이라는 계획 역시 예상할 수 있다.

버라이즌의 야후 인수설이 급물살을 받으며 야후 인터넷 사업 인수와 별개로 3,000여개의 야후 특허도 경매를 통해서 구입할 의사를 보이고 있다. 

이전글 다음글

프리네

2016.07.28
17:45:00
이렇게 또하나가 지는군요...

영원한

2016.07.28
17:45:00
세상은 돌고 도는법 새로운 시작을 알리고 있네요.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늘 행복하고 건강하세요^^

아버지

2016.07.28
17:45:00
정보 감사합니다...!!!

agong

2016.07.28
17:45:00
잘 봤습니다. 감사 합니다.

내레나

2016.07.28
17:45:00
재미난 이야기네요 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불편 ※ 박제 (댓글도배) 리스트 ※ (Updated 2019-08-21) [14] file 은소라 2019-08-13 2247
공지 정보 오에스 매니아 [ OSManias ] 게시판 및 댓글 이용 안내 [ V : 3.0 ] UzinSG 2019-04-30 2908
공지 정보 오에스 매니아 [ OSManias ] 게시판 이용 안내 [ V : 3.0 ] UzinSG 2019-04-30 2182
공지 불편 오매에서 주관적인 댓글 작성하지 마세요 [56] file Op 2019-04-10 3041
569 정보 출시일 1달 차이나는 갤럭시노트7과 아이폰7 국내선 언제쯤 [5] 자유인 2016-07-29 537
568 정보 2016년 7월 29일 [4] file 노봉방 2016-07-29 220
567 정보 2016년 7월 28일 [4] file 노봉방 2016-07-28 241
» 정보 446억 달러를 거절하고 48억 달러에 인수되는 야후 이야기 [5] 자유인 2016-07-28 399
565 정보 삼성 5위 추락! 중국시장 접수한 오포 비보 대격변 [8] 자유인 2016-07-28 518
564 정보 아이폰7은 없다? 3년주기 아이폰6se 가능성 점검 [4] 자유인 2016-07-28 479
563 정보 방금 인터파크 홈페이지 접속햇더니... 개인정보 유출 [6] 시루페 2016-07-27 513
562 정보 갤럭시노트7 홍채인식 맞설 LG V20 히든카드? [7] 자유인 2016-07-27 1016
561 정보 샤오미 노트북, 찻잔 속 태풍이 될 수밖에 없다? [7] 자유인 2016-07-27 448
560 정보 윈도우10 무료 업그레이드 미루는 진짜 이유 3가지 [12] 자유인 2016-07-27 788
559 정보 2016년 7월 27일 [4] file 노봉방 2016-07-27 275
558 정보 7. 26 화요일 [고발뉴스 조간브리핑] [6] 아이콘 2016-07-26 328
557 정보 2016년 7월 26일 [4] file 노봉방 2016-07-26 372
556 정보 [펌] 조리기구 이렇게 사용하세요 [9] 제갈량 2016-07-26 278
555 정보 2016년 7월 25일 [5] file 노봉방 2016-07-25 312
554 정보 7. 25 월요일 [고발뉴스 조간브리핑] [5] 아이콘 2016-07-25 310
553 정보 7월 25일 월요일 (음 6월 22일) [5] 아이콘 2016-07-25 189
552 정보 2016년 7월 24일 [6] file 노봉방 2016-07-24 296
551 정보 2016년 7월 23일 [7] file 노봉방 2016-07-23 297
550 정보 천조국의 캠핑카 클라스 [6] 풍각쟁이쓰리 2016-07-23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