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Warning!  자유 게시판에서 질문을 하시면 바로 강퇴 됩니다.
분류 :
정보
조회 수 : 779
추천 수 : 0
등록일 : 2016.05.03 22:40:51
글 수 1,989
URL 링크 :
36. 부마(駙馬) - 말
駙 : 곁말 부 馬 : 말 마
임금의 사위를 <부마>라고 하는데, 원래는 천자(天子)의 예비 수레(副車)에 매다는 말이다. 출전은 진나라 간보(干寶)가 지은 《수신기(授神記)》. 
 
37. 부저유어(釜底游魚) - 물고기
釜 : 가마 부 底 : 밑 저 游 : 헤엄칠 유 魚 : 고기 어
물고기가 솥바닥에서 헤엄친다는 뜻으로, 상황(狀況)이 극히 위험(危險)한 상태(狀態)에 이름을 비유한 말. 
 
38. 불입호혈 부득호자(不入虎穴 不得虎子) - 호랑이
不 : 아니 불 入 : 들 입 虎 : 호랑이 호 穴 : 구멍 혈 得 : 얻을 득 子 : 아들 자
<호랑이 굴에 들어가지 않으면, 호랑이 새끼를 얻을 수 없다.>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위험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출전은 《후한서》「반초전(班超傳)」. 
 
39. 붕정만리(鵬程萬里) - 붕새
鵬 : 붕새 붕 程 : 길 정 萬 : 일만 만 里 : 이 리
붕새를 타고 만리를 나는 것을 뜻하며 먼 길 또는 먼 장래를 이르는 말. 
 
40. 빈계지신(牝鷄之晨) - 닭
牝 : 암컷 빈 鷄 : 닭 계 之 : 어조사 지 晨 : 새벽 신
암탉이 울어 새벽을 알린다는 뜻으로,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는 말.
 
41. 사인선사마(謝人先射馬) - 말
射 : 쏠 사 人 : 사람 인 先 : 앞 선 射 : 궁술 사 馬 : 말 마
<사람을 쏘려면 먼저 말을 쏴라.> 상대를 굴복시키려면 먼저 상대가 의지하고 있는 것을 쓰러뜨리라는 말이다. 또 상대와 가장 관계 깊은 인물이나 사물을 먼저 손에 넣어야 상황을 타개할 수 있다는 뜻도 된다. 출전은 두보가 지은 <전출새 (前出塞)>. 
 
42. 사자신중충(獅子身中蟲) - 사자
獅 : 사자 사 子 : 아들 자 身 : 몸 신 中 : 가운데 중 蟲 : 벌레 충
<사자 몸속의 벌레>. 원래 불교 신도로서 불교에 해를 끼치는 사람을 비유한 것이다. 나중에 자기편에 해를 끼치는 사람, 내부에서 재앙을 가져오는 사람이란 뜻으로 쓰였다. 즉 어떤 조직이나 단체의 구성원이면서도, 조직에 해를 끼쳐 내부 붕괴를 야기하는 사람을 사자 몸속의 벌레라고 말한다. 출전은 《범망경(梵網經)》 
 
43. 사자후(獅子吼) - 사자
獅 : 사자 사 子 : 아들 자 吼 : 외칠 후
<사자의 외침>. 권위와 위엄이 있는 소리를 뜻하는데, 부처님의 설법을 말한다. 
 
44. 사족(蛇足) - 뱀
蛇 : 뱀 사 足 : 발 족
<뱀의 발>. 뱀을 그리는데 발을 덧붙이다(畵蛇添足)를 줄인 말. 쓸데없는 말이나 행동을 덧붙임으로써 일을 그르칠 때 <사족을 붙인다>고 말한다. 또 책을 다 쓰고 나서 뒤에 몇 마디 덧붙일 때 겸양의 표현으로 사족이라고 한다. 
 
45. 삼인성시호(三人成市虎) - 호랑이
三 : 석 삼 人 : 사람 인 成 : 이룰 성 市 : 시장 시 虎 : 범 호
세 명이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곧이 믿게 된다는 뜻으로,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똑같이 하면 믿게 된다는 말. 
 
46. 상가지구(喪家之狗) - 개
喪 : 초상 상 家 : 집 가 之 : 어조사 지 狗 : 개 구
상갓집 개라는 뜻으로, 수척하고 초라한 모습으로 여기 저기를 떠돌아다니며 얻어 먹을 것만 찾아다니는 사람을 비유한 말. 
 
47. 새옹지마(塞翁之馬) - 말
塞 : 변방 새 翁 : 늙은이 옹 之 : 갈 지 馬 : 말 마
인생에 있어서 길흉화복은 항상 바뀌어 미리 헤아릴 수가 없다는 뜻. 
 
48. 수어지교(水魚之交) - 물고기
水 : 물 수 魚 : 물고기 어 之 : 갈 지 交 : 사귈 교
매우 친밀하게 사귀어 떨어질 수 없는 사이. 
 
49. 수주대토(守株待兎) - 토끼
守 : 지킬 수 株 : 그루터기 주 待 : 기다릴 대 兎 : 토끼 토
어떤 착각에 빠져 되지도 않을 일을 공연히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비유하는 말. 
 
50. 수청무대어(水淸無大魚) - 물고기
水 : 물 수 淸 : 맑을 청 無 : 없을 무 大 : 클 대 魚 : 고기 어
물이 너무 맑으면 큰 물고기가 살 수 없다는 말로 사람이 너무 결백하면 사람들이 가까이하지 않는다는 뜻.

51. 숙호충비(宿虎衝鼻) - 호랑이
宿 : 묵을 숙 虎 : 범 호 衝 : 찌를 충 鼻 : 코 비
자는 호랑이의 코를 찌른다는 뜻으로, 가만히 있는 사람을 공연히 건드려서 화를 입거나 일을 불리하게 만듦을 이르는 말. 
 
52. 신상구(愼桑龜) - 거북이
愼 : 삼갈 신 桑 : 뽕나무 상 龜 : 거북 구
자신들이 오래 살았다고 뽐내던 뽕나무와 거북이를 잡아서 뽕나무를 태워 거북이를 삶았다는 이야기처럼 말을 신중히 해야 한다는 뜻 
 
53. 안서(雁書) - 기러기
雁 : 기러기 안 書 : 글 서
<기러기의 편지.> 편지나 소식을 뜻하며, 안신(雁信), 안백(雁帛)이라고도 한다. 
 
54. 양두구육(羊頭狗肉) - 양, 개
羊 : 양 양 頭 : 머리 두 狗 : 개 구 肉 : 고기 육
선전은 버젓하지만 내실이 따르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55. 양호유환(養虎遺患) - 호랑이
養 : 기를 양 虎 : 범 호 遺 : 남길 유 患 : 근심 환
호랑이를 길러 근심을 남긴다는 말로, 남의 사정을 봐주었다가 후에 화를 입게 된다는 뜻. 
 
56. 여호모피(與虎謀皮) - 호랑이
與 : 더불 여 虎 : 범 호 謀 : 꾀할 모 皮 : 가죽 피
'호랑이와 호랑이 가죽을 구할 일을 도모하다'라는 뜻으로, 요구하는 일이 상대방의 이해와 상충하여 이루어질 수 없음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태평어람(太平御覽)》에서 유래되었다. 
 
57. 연목구어(緣木求魚) - 물고기
緣 : 인연   연 木 : 나무   목 求 : 구할   구 魚 : 물고기 어
나무에 올라 고기를 얻으려고 한다는 뜻으로, 목적과 수단이 맞지 않아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하는 말.  
 
58. 연작안지홍곡지지(燕雀安知鴻鵠之志) - 백조
鵠 : 백조 곡 之 : 어조사 지 志 : 뜻 지 燕 : 제비 연 雀 : 참새 작 安 : 어찌 안 知 : 알 지 鴻 : 기러기 홍
<제비나 참새같이 작은 새가 어찌 기러기나 백조처럼 멀리 나는 큰 새의 뜻을 알겠는가?> 자기가 품고 있는 커다란 뜻을 상대가 몰라줄 때 쓰인다. 출전은 《사기》 「진승세가(陳勝世家)」. 
 
59. 영위계구 무위우후(寧爲鷄口 無爲牛後) - 닭
寧 : 차라리 영, 편안할 영 爲 : 할 위, 될 위 鷄 : 닭 계 口 : 입 구 無 : 없을 무 牛 : 소 우 後 : 뒤 후
<닭의 머리가 될지언정 소꼬리는 되지 말라.> <닭 머리>는 작지만 귀중한 것이요, 소꼬리는 크지만 보잘것없는 것이다. 큰 것만을 따르다 말단의 인물이 되지 말고, 작더라도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핵심 인물이 되라는 뜻이다. 
 
60. 오비이락(烏飛梨落) - 까마귀
烏 : 까마귀 오 飛 : 날 비 梨 : 배나무 리 落 : 떨어질 락
아무런 관계도 없이 한 일이 우연히 동시에 일어나, 다른 일과 관계된 것처럼 남의 혐의를 받게 됨을 비유하는 말. 
 
61. 오조사정(烏鳥私情) - 까마귀
烏 : 까마귀 오 鳥 : 새 조 私 : 사사 사 情 : 뜻 정
'까마귀의 사사로운 정'이라는 뜻으로, 까마귀가 자라서 길러준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먹여 은혜를 갚는 것과 마찬가지로 부모를 섬기는 자식의 지극한 효심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진(晉)나라 때 이밀(李密)이 지은 〈진정표(陳情表)〉에서 유래되었다. 
 
62. 오합지중(烏合之衆) - 까마귀
烏 : 까마귀 오 合 : 합할 합 之 : 갈 지 衆 : 무리 중
까마귀 떼처럼 아무런 통제 없는 무리를 비유하는 말. 
 
63. 요동지시(遼東之豕) - 돼지
遼 : 멀 요 東 : 동녘 동 之 : 갈 지 豕 : 돼지 시  
<요동 지방의 돼지>. 하찮은 공적을 마치 큰 공이나 되는 것처럼 자랑하는 것을 요동시라고 한다. 또 남이 보면 당연한 것을 자신은 신기하다고 자랑하는 걸 뜻하기도 한다. 
 
64. 용두사미(龍頭蛇尾) - 용, 뱀
龍 : 용 용 頭 : 머리 두 蛇 : 뱀 사 尾 : 꼬리 미
용 머리에 뱀의 꼬리란 말로 시작은 그럴 듯하나 끝이 흐지부지함. 
 
65. 용미봉탕(龍味鳳湯) - 용, 봉황
龍 : 용 룡 味 : 맛 미 鳳 : 봉새 봉 湯 : 넘어질 탕
맛이 매우 좋은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전글 다음글
List of Articles
공지 불편 ※ 박제 (댓글도배) 리스트 ※ (Updated 2019-08-21) 14 file
은소라
2399   2019-08-13 2022-01-12 07:38
공지 정보 오에스 매니아 [ OSManias ] 게시판 및 댓글 이용 안내 [ V : 3.0 ]
UzinSG
3027   2019-04-30 2019-08-17 14:24
공지 정보 오에스 매니아 [ OSManias ] 게시판 이용 안내 [ V : 3.0 ]
UzinSG
2307   2019-04-30 2019-08-17 14:20
공지 불편 오매에서 주관적인 댓글 작성하지 마세요 56 file
Op
3241   2019-04-10 2023-05-16 17: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