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URL 링크 : http://naver.me/xFXmSt3z 

0002073607_001_20190523171612562.jpg?typ원본보기


 

 

[디지털데일리 이중한기자] 자동차 산업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MaaS)으로 변하고 있다. 빠르면 2025년이면 자동차 산업 중심이 제조업에서 플랫폼 기반 맞춤형 이동서비스로 옮겨질 전망이다. 최근 상장한 미국의 차량공유 스타트업 우버의 시가총액은 697억달러(약 83조원)이다. 이는 국내 완성차 1위 업체인 현대차의 시가총액의 27조원의 3배 규모에 달한다.

 

23일 서울시 주최로 서울 양재R&CD혁신허브에서 ‘제4회 AI혁신포럼 - 아이포닷 드라이브’가 열렸다. 이날 손주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사진>은 ‘자율주행차 실용화를 위한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손주찬 책임은 “정부 자문활동을 하던 중 청와대 회의에서 고위공무원이 자율주행차 스타트업이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에 관해 묻더라”라며 “규제부터 풀고 얘기하자고 답했다”고 토로했다.

 

그는 이어 “거미줄처럼 얽힌 규제를 풀기 위해선 국토부, 산업부, 과기부, 행안부 등 유관부처의 ‘규제개선 통합 로드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손주찬 책임은 국내에서 주목할만한 자율주행 관련 스타트업으로 카메라 기반의 상황 판단·제어 기술을 지닌 ‘팬텀 AI’와 실제 도로 6만km 무사고 자율주행에 성공한 ‘토르 드라이브’를 꼽았다.

 

손 책임은 “사실 두 기업의 대표는 한국인이지만 규제를 피해 미국에 법인을 설립해 한국 기업이라고 하기는 애매하다”며 “국내에선 자율주행 사업 전개를 위한 규제장벽 해소에 5년이 걸릴지, 10년이 걸릴지 알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데다 협업이나 경쟁할 기업이 넘치는 실리콘밸리로 향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규제로 인한 실증데이터 부족과 데이터 공유 문화 부재 또한 모빌리티 해외 유출의 주 원인 중 하나다. 손 책임은 “실증주행 대부분은 정부부처, 지자체의 자율주행 관련 행사 및 등에서의 일회성 보여주기 시연에 그친다”며 “기술개발을 위해선 자생적이고 다변화된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규제장벽으로 위축돼 있는 투자 규모 또한 활성화를 막는 요인으로 꼽힌다. 손 책임은 “국내 모빌리티 스타트업 투자는 대부분 자동차 업계의 100억 미만의 시리즈A 투자에 그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국내 모빌리티 스타트업 스트라드비젼(STRAD VISION)은 딥러닝 기반 영상 인식 기술을 보유해 현대모비스, LG전자 등으로부터 165억원의 비교적 큰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며 “그렇지만 해외에서 활동했다면 500억원 이상의 투자를 받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모빌리티 스타트업이 기존 업계와 갈등하는 것에 대해선 “타다의 경우 택시기사의 생계 문제와 개인택시면허 가치 하락 등을 이유로 택시 업계와 갈등을 빚고 있다”며 “국내 자율주행차 산업은 궁극적으로 여객택시운수사업이 발목을 잡게 된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3~4년 이내에 규제개선과 여객택시운수사업법 혁신이 이뤄지고 신사업 육성의 전환점이 되지 않으면, 국내 자율주행 기술은 미래가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한편 미국의 구글은 자율주행 프로젝트 선두에 서 있다. 구글 웨이모는 이미 지난해에 고도 자동화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투자은행(IB) UBS는 2030년이면 웨이모 2600만대가 도로를 달리며, 세계 자율주행 택시 시장의 60%를 점유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중한 기자>leejh@ddaily.co.kr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엮인글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돌까루

2019.05.24 09:42
가입일: 2018:10.29
총 게시물수: 120
총 댓글수: 1193
작성자

규제가 필요하긴 하지만, 기술 발전을 더디하는 요소가 되기도 하지요.

List of Articles

기타정보 구글도 ‘화웨이 봉쇄’에 동참하나…“화웨이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거래 중단”

 세계 최대 검색엔진인 구글이 미국 정부의 거래제한 조치에 따라 중국 화웨이와의 일부 거래를 중단했다고 로이터통신 등이 19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보...

  • 등록일: 2019-05-20

30

VIEWS

기타정보 [과학핫이슈]희토류 전쟁

맨뒷줄 가운데 부터 시계방향으로 프라세오디뮴, 세륨, 란탄, 네오디뮴, 사마륨, 가돌리늄.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전쟁에서 희토류를 무기로 사용할까. 최근 시진...

  • 등록일: 2019-05-25

29

VIEWS

기타정보 정보]컬쳐랜드 스마일캐쉬 6월 한도 30만원 그대로! (~6/30) file

  다들 기존 10만원으로 떨어질거라 예상했지만    6월도 5월과 같이 프로모션 형식으로 30만원 고정입니다   다음달 충전할 상품권을 미리 사놔서 방금 들어갔...

  • 등록일: 2019-05-31

29

VIEWS

1

COMMENTED

27

VIEWS

기타정보 26일 아침 쌍소행성이 지구 곁을 지나간다

원본보기 소행성 ‘1999KW4’가 오는 25일 시속 7만7000km의 속도로 지구에 근접한다. NASA 제공 오는 26일 아침 8시경(한국시간) 지름 1.6km 크기의 소행성이 약 5...

  • 등록일: 2019-05-24

26

VIEWS

기타정보 라이엇 게임즈 우리 왕실의 유물, 고국 환수 성공

아래는 라이엇게임즈 코리아 리그오브레전드 홈피에 올라온 전문     우리 왕실의 유물, 고국 환수 성공     플레이어 여러분, 2012년 이후 계속해온 한국 문화재...

  • 등록일: 2019-06-21

26

VIEWS

3

COMMENTED

기타정보 불법으로 '윤서체' 쓰시면 지우세요.

교직원들 서체 불법다운 확인… 250만원 내고 사용 안하면 소송” 업체, 서울 모든 사립학교에 공문 교육청 “불법성 몰라… 시비 가릴것”   “귀하의 학교 교직원들이...

  • 등록일: 2019-05-22

23

VIEWS

기타정보 국내 유망 모빌리티 스타트업, 규제 피해 미국 간다

원본보기     [디지털데일리 이중한기자] 자동차 산업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MaaS)으로 변하고 있다. 빠르면 2025년이면 자동차 산업 중심이 제조업에서 플랫폼 ...

  • 등록일: 2019-05-24

22

VIEWS

1

COMMENTED

기타정보 PC 온라인게임 월 결제한도, 역사의 뒤안길로

16년만에 PC 온라인게임에 대한 월 결제한도가 폐지될 전망이다. 이 경우 WHO(세계보건기구)의 게임이용장애 질병 결정 등 대내외 악재가 산적한 게임업계에 숨통...

  • 등록일: 2019-06-21

22

VIEWS

2

COMMENTED

기타정보 'Z세대의 공습' … 회사는 그들을 어떻게 다뤄야 할까

Let"s Study (1) 리더십 인터넷 환경속에서 자란 세대 간결한 의사소통 방식에 익숙 “요즘 젊은 애들은 도통 이해할 수가 없다니까.” 일전에 만난 관리자 한 분이...

  • 등록일: 2019-05-23

21

VIEWS

기타정보 "아마존 스몰팀 보라…실패할 각오로, 작은 혁신부터 시도"

기조 강연 - 버너 보겔스 아마존 최고기술책임자 아마존의 혁신 비법 조직, 최대한 작은 단위로 쪼개 작은 혁신부터 차곡차곡 쌓아야 실패 독려 '실험실 문화'도 ...

  • 등록일: 2019-05-23

19

VIEWS

기타정보 HP·델, 中 생산라인 30% 동남아 이전 추진...분쟁 장기화 우려

휴렛 팩커드(HP), 델 등 미국 대형 컴퓨터 제조사가 중국 내 노트북 생산라인 중 최대 30%를 동남아시아로 이전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다. 닛케이 신문은 "두 업...

  • 등록일: 2019-07-04

12

VIEWS

1

COM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