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글로벌 홈 사물인터넷(IoT), 스마트홈 시장 경쟁에서 구글, 아마존 등이 앞서가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네트워크를 보유한 통신사업자들이 더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라베이스는 최근 리포트를 통해 오는 2025년까지 109억달러(약 13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스마트홈 시장을 버라이즌, AT&T 등 통신사들이 지배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스트라베이스는 “미래의 스마트홈 산업에서는 인공지능(AI) 스피커, 스마트 조명, 스마트 자물쇠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 자체보다는 서비스가 더 중요하다”며 “통신사는 소비자가 기대하는 각종 스마트홈 서비스와 경험을 제공할 최상의 위치를 점유했다”고 분석했다. 


초연결시대에 접어들며 수많은 스마트 기기들이 쏟아지면서 통신 네트워크의 역할은 더욱 커졌다. 소비자는 현재 판매되는 다양한 스마트홈, IoT 기기를 통해 각각의 기능뿐만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결된 서비스를 이용하길 원하는데 이러한 호환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국내서도 통신사 진영과 가전 및 플랫폼 사업자 사이의 스마트홈 경쟁이 이어지는 상태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사 뿐만 아니라 삼성전자, LG전자, 네이버, 카카오 등이 스마트홈 시장에 뛰어들었다. 

스트라베이스는 “스마트홈과 관련, 통신사의 분명한 이점 중 하나는 초고속인터넷 케이블, 기지국 등 기존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이라며 “가까운 장래에 아마존, 애플, 구글 등이 직접 통신서비스에 나서기 쉽지 않은 만큼, 그들이 제공하는 스마트 기기 역시 기존의 통신 네트워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다만, 인터넷제공사업자(ISP)나 통신사가 스마트홈 시장에서 ‘단순 망제공자(덤파이트, dumb pipes)’로 전락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과거 통신사들이 단순히 데이터 전송 통로 역할만 할 뿐 킬러콘텐츠를 창출하지 못함으로써, 넷플릭스, 유튜브 등 콘텐츠 사업자의 고속성장을 바라볼 수밖에 없었던 사례도 있다. 

스트라베이스는 “통신업계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취했던 무기력한 대응을 스마트홈 시장에서도 반복한다면 제3자의 서비스와 플랫폼을 위한 덤파이프 역할에 그칠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통신사가 와이파이 라우터를 스마트 홈허브로 업그레이드 하거나 무료 스마트홈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앱)을 가입자에 제공하는 등 스마트홈 생태계에 대한 적극적 투자에 나선다면 통신사들도 아마존, 구글, 애플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엮인글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쾌걸맨

2019.07.19 18:01
가입일: 2018:02.25
총 게시물수: 50
총 댓글수: 307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