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st Posts Recent Comments 문의사항 신고하기 이용안내 이벤트 포인트 리스트 공지사항 관리자문의

공지사항

고정공지

(자유게시판에서 질문 금지) 질문하신 유저는 통보 없이 "계정정리" 될수 있습니다.

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profile 일반정보 평평한지구

작성자: 엔돌핀 조회 수: 281 PC모드

URL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pqxp8cY1gZw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
­
엮인글 :

의견쓰기::  상업광고, 인신공격,비방, 욕설, 아주강한음담패설등의 코멘트는 예고없이 삭제될수 있습니다. 회원정리 게시판

profile

프리네

2016.10.25 22:56
가입일: 2016:05.06
총 게시물수: 310
총 댓글수: 13182

잘 보았습니다.

profile

메이데이컴퓨터

2016.10.25 23:24
가입일: 2015:11.29
총 게시물수: 84
총 댓글수: 2876

아~ 영어 딸려서~~ ㅋㅋ

profile

고감맨

2016.10.26 09:10
가입일: 2016:05.12
총 게시물수: 239
총 댓글수: 3144

잘 봤어요..^^

profile

랑유

2016.10.26 09:18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26

첫번째, Oil Platform 은 4.65 Miles(7.48345km) 떨어진 거리에서 14.4 feet(4.38912m) 해수면 밑으로 가라앉아야 되나 관측시 차이 없음.


두번째, 플로리다의 Monroe 호수는 5 Miles(8.04672km) 떨어진 거리에서 33.33 feet(10.158984m) 밑으로 가라앉아야 되나 관측시 차이 없음.


세번째, 워싱턴 Puget Sound 만 에서는 거리 11.3 Miles(18.185587km) 떨어진 배 (운항 하는 배 중 제일 큰 배를 기준으로 87 feet)를 기준으로 85.12 feet(25.944576m) 밑으로 가라앉아야 되나 관측시 차이 없음.


네번째, 도버해협은 20.6 Miles(33.152486km) 떨어진 거리에서 282.9 feet(86.22792m) 밑으로 가라앉아야 되나 관측시 차이 없음.


다섯번째, 캘리포니아 Newport Beach 에서 Catalina 섬 까지 34 Miles(54.717696km) 떨어진 거리에서 770 feet(234.696m) 밑으로 가라앉아야 되나 관측시 차이 없음.


여섯번째, 캐나다 토론토주 Ontario 호수 반대편 해안선 까지 36.2322 Miles(58.310074km) 떨어진 거리에서 640 feet(195.072m) 밑으로 가라앉아야 되나 CN Tower 로 보이는 건물(높이 457m/약 1500 feet)이 물 위로 멀쩡하게 떠 있음.


일곱번째, 영국 남부해안선 까지 거리 36 Miles(57.936384km) 에서 864 feet(263.3472m) 밑으로 가라앉아야 되나 관측시 차이 없음.


여덟번째, 캐나다 토론토에서 나이아가라 폭포 까지 거리 41 Miles(65.983104km) 에서 1120 feet(341.376m) 밑으로 가라앉아야 되나 관측시 차이 없음.


아홉번째, 하와이 Kauai 섬에서 Oahu 섬 까지 거리 90 Miles(144.84096km), 5400 feet(1645.92m) 밑으로 가라앉아야 되나. 관측시 차이 없음.


열번째, 뉴질랜드 Owhiro Bay 에서 반대편 섬 Tapuae-O-Ueneku 산(해발 2885m/9465 feet) 주변 까지 거리 90 Miles(144.84096km), 5400 feet(1645.92m) 밑으로 가라앉아야 되나 관측시 차이 없음.


그러므로 지구는 둥글지 않다.


뭐 이런 영상입니다.


보통 대기 굴절 현상이라고 하는데 유튜브의 댓글에 답이 있어 긁어 왔습니다.


-----------------------------------------------------------------------------------------

대기 굴절(Atmospheric refraction) 현상은, 대기가 고도가 상승함에 따라 밀도가 점차 낮아지기 때문에, 대기를 매질로하여 통과하는 빛이 굴절되어 발생하는 현상이다.

빛은 매질을 통과할때 파동성을 갖고, 매질의 성질이 바뀌면 굴절되어 꺾인다는 사실은 초등학생들도 알만큼 잘 알려진 사실이다.

대기 굴절 현상은 1872년 로보탐이 베드포드 수평실험을 시행하기 훨씬 이전에 잘 알려진 사실이였으며, 수준측량이나 항공, 항해 항법 계산시에는 일상적으로 고려되는 현상이다.

측정위치가 땅과 충분히 가까운 경우에 이러한 대기 굴절 현상과 지구 곡률 효과는 서로를 상쇄시켜서 "시각적 수단"에만 의존한 관측에서는 지구가 평평한 것으로 보이게 된다.

대기 굴절 현상은 시각적 관측을 할 때 언제나 나타난다.

---------------------------------------------------------------------------------------


라고 합니다.

profile

pcmeca

2016.10.26 12:39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51

정말일까 ?

profile

아쿠

2016.10.26 21:44
가입일:
총 게시물수: 0
총 댓글수: 396

잘봤습니다~

profile

아파야낫는다

2017.05.03 08:02
가입일: 2015:11.27
총 게시물수: 7
총 댓글수: 1065

좋은 소식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