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 링크 : |
---|
66. 우수마발(牛溲馬勃) - 소, 말
牛 : 소 우 溲 : 반죽할 수 馬 : 말 마 勃 : 우쩍 일어날 발
소의 오줌과 말의 똥이라는 뜻으로, 가치 없는 말이나 글 또는 품질이 나빠 쓸 수 없는 약재 따위를 이르는 말.
67. 우이독경(牛耳讀經) - 소
牛 : 소 우 耳 : 귀 이 讀 : 읽을 독 經 : 날 경
쇠귀에 경 읽기라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말
68. 우정팽계(牛鼎烹鷄) - 소, 닭
牛:소 우 鼎:솥 정 烹:삶을 팽 鷄:닭 계
'소를 삶는 큰 솥에 닭을 삶는다'라는 뜻으로, 큰 인재를 알맞은 곳에 쓰지 못하고 소소한 일을 맡기는 경우를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후한(後漢) 시대에 채옹(蔡邕)이 변양(邊讓)을 천거한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69. 이전투구(泥田鬪狗) - 개
泥:진흙 니 田:밭 전 鬪:싸울 투 狗:개 구
'진흙탕에서 싸우는 개'라는 뜻으로, 자기 이익을 위하여 볼썽사납게 싸우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옛날 우리나라의 8도 사람들에 대한 평가에서 유래되었다.
70. 일석이조(一石二鳥) - 새
一 : 한 일 石 : 돌 석 二 : 두 이 鳥 : 새 조
돌 한 개를 던져 새 두 마리를 잡는다는 뜻으로, 동시에 두 가지 이득을 봄을 이르는
71. 일어탁수(一魚濁水) - 물고기
一 : 한 일 魚 : 물고기 어 濁 : 흐릴 탁 水 : 물 수
한 마리의 물고기가 물을 흐린다는 뜻으로, 한 사람의 잘못으로 여러 사람이 피해를 입게 됨을 이르는 말.
72. 장사진(長蛇陣) - 뱀
長 : 길 장 蛇 : 뱀 사 陣 : 줄 진
많은 사람이 줄을 지어 길게 늘어선 모양을 이르는 말.
73. 조족지혈(鳥足之血) - 새
鳥 : 새 조 足 : 발 족 之 : 갈 지 血 : 피 혈
새 발의 피라는 뜻으로, 매우 적은 분량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74. 주마가편(走馬加鞭) - 말
走 : 달릴 주 馬 : 말 마 加 : 더할 가 鞭 : 채찍 편
달리는 말에 채찍질한다는 뜻으로, 잘하는 사람을 더욱 장려함을 이르는 말.
75. 주마간산(走馬看山) - 말
走 : 달릴 주 馬 : 말 마 看 : 볼 간 山 : 뫼 산
달리는 말 위에서 산을 본다. 사물의 외면만을 슬쩍 지나쳐 볼 뿐, 그 깊은 내용을 음미하지 못함
76. 중원축록(中原逐鹿) - 사슴
中 : 가운데 중 原 : 근원, 들, 벌판 원 逐 : 쫓을 축 鹿 : 사슴 록
중원의 사슴을 쫓는다는 뜻으로, 제위를 두고 다툼을 비유하는 말.
77. 정저지와(井底之蛙) - 개구리
井 : 우물 정 底 : 밑 저 之 : 갈 지 蛙 : 개구리 와
<우물 안 개구리> <우물 안 개구리는 바다를 알지 못한다(井中之蛙 不知大海)>에서 유래했다. 사물을 보는 눈이 좁고 치우친 자는 보다 큰 전체적인 국면을 보지 못한다는 뜻
78. 지록위마(指鹿爲馬) - 사슴
指 : 가리킬 지 鹿 : 사슴 록 爲 : 할 위 馬 : 말 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는 뜻으로, 윗사람을 농락하고 권세를 함부로 부리는 것을 비유한 말.
79. 지어지앙(池魚之殃) - 물고기
池 : 못 지 魚 : 고기 어 之 : 갈 지 殃 : 재앙 앙
연못 속 물고기의 재앙이라는 뜻으로, 뜻밖의 횡액을 당함을 비유하는 말.
80. 질석성양(叱石成羊) - 양
叱 : 꾸짖을 질 石 : 돌 석 成 : 이룰 성 羊 : 양 양
신기한 기술(技術)이나 괴이(怪異)한 현상을 비유한 말.
81. 천고마비(天高馬肥) - 말
天 : 하늘 천 高 : 높을 고 馬 : 말 마 肥 : 살찔 비
가을 하늘이 높으니 말이 살찐다는 뜻으로, 가을은 기후가 매우 좋은 계절임을 형용하여 이르거나 활동하기 좋은 계절을 이르는 말.
82. 천양지피불여일호지액(千羊之皮不如一狐之腋) - 양, 여우
千 : 일천 천 羊 : 양 양 之 : 어조사 지 皮 : 가죽 피 不 : 아니 불 如 : 같을 여 一 : 하나 일 狐 : 여우 호 腋 : 겨드랑이 액, 겨드랑이 가죽 액
<양 천 마리의 가죽은 여우 한 마리의 겨드랑이 가죽보다 못하다>. 어리석은 사람은 아무리 많이 있어 보았자 현명한 사람 하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뜻.
83. 축록자불견산(逐鹿者不見山) - 사슴
逐 : 쫓을 축 鹿 : 사슴 록 者 : 놈 자 不 : 아니 불 見 : 볼 견 山 : 뫼 산
<사슴을 쫓는 자는 산을 보지 못한다>. 명예나 이익에 눈이 먼 사람은 주변도 무시하고 도리도 저버린다는 뜻. 또는 한 가지 일에 마음을 뺏긴 사람이 그 밖의 다른 일을 돌보지 않을 때도 쓰인다. 출전은 《회남자》 「설림훈(說林訓)」편.
84. 토사구팽(兎死狗烹)
兎 : 토끼 토 死 : 죽을 사 狗 : 개 구 烹 : 삶을 팽
교활한 토끼가 잡히고 나면 충실했던 사냥개도 쓸모가 없어져 잡아먹게 된다는 뜻.
85. 포호빙하(暴虎馮河) - 호랑이
暴 : 사나울 포 虎 : 범 호 馮 : 탈 빙 河 : 물 하
범을 맨손으로 때려잡고 황허강[黃河]을 걸어서 건넌다는 뜻으로,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무모한 용기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86. 표변(豹變) - 표범
豹 : 표범 표 變 : 변할 변
<표범으로 변한다.> 다정하게 굴다가 갑자기 안색을 바꿔 사납게 굴 때 <표변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원래는 정반대의 뜻을 담고 있다.
87. 표사유피인사유명(豹死留皮人死留名) - 표범
豹 : 표범 표 死 : 죽을 사 留 : 남길 유 皮 : 가죽 피 人 : 사람 인 名 : 이름 명
<표범은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 우리나라에서는 표범 대신 호랑이를 넣어서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라는 표현을 주로 쓴다.
88. 풍마우불상급(風馬牛不相及) - 소, 말
風 : 바람 풍 馬 : 말 마 牛 : 소 우 不 : 아닐 불 相 : 서로 상 及 : 미칠 급
바람난 말과 소라 할지라도 서로 미치지 못한다는 뜻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 전혀 무관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89. 학수고대(鶴首苦待) - 학
鶴 : 학 학 首 : 머리 수 苦 : 쓸 고 待 : 기다릴 대
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림. ≒학수(鶴首).
90. 한우충동(汗牛充棟) - 소
汗 : 땀 한 牛 : 소 우 充 : 가득할 충 棟 : 마룻대 동
수레에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리고 집에 쌓으면 대들보까지 닿게 된다는 뜻으로 책이 많은 것을 비유한 말.
91. 할계언용우도(割鷄焉用牛刀) - 닭, 소
割 : 가를 할 鷄 : 닭 계 焉 : 어찌 언 用 : 쓸 용 牛 : 소 우 刀 : 칼 도
<닭을 잡는데 어찌 소 잡는 칼을 쓰겠는가?> 사소한 일을 처리하는데 큰 일을 다루는 사람이 나설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92. 호가호위(狐假虎威) - 여우, 호랑이
狐 : 여우 호 假 : 거짓 가 虎 : 범 호 威 : 위엄 위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다른 짐승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남의 권세를 빌려 허세를 부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93. 호구여생(虎口餘生) - 호랑이
虎:호랑이 호 口:입 구 餘:남을 여 生:날 생
'호랑이 아가리에서 살아났다'는 뜻으로, 죽을 뻔한 고비를 넘기고 살아남은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송(宋)나라 때 주태(朱泰)라는 효자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94. 호랑지국(虎狼之國) - 호랑이, 이리
虎:호랑이 호 狼:이리 랑 之:어조사 지 國:나라 국
'호랑이와 이리의 나라'라는 뜻으로, 포학한 강대국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전국시대의 최강국이었던 진(秦)나라를 지칭한 데서 유래되었다.
95. 호사토비(狐死兎悲) - 여우, 토끼
狐:여우 호 死:죽을 사 兎:토끼 토 悲:슬플 비
'여우가 죽으니 토끼가 슬퍼한다'라는 뜻으로, 동류(同類)의 불행을 슬퍼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남송(南宋) 시대의 양묘진(楊妙眞)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96. 호시탐탐(虎視耽耽)
虎 : 범 호 視 : 볼 시 耽 : 즐길 탐 耽 : 즐길 탐
호랑이가 눈을 부릅뜨고 먹이를 노려본다는 뜻으로, 공격이나 침략의 기회를 노리는 모양. 또는 어떤 일에 대비하여 방심하지 않고 가만히 정세를 관망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