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735만 개 감소 예상… 대책 세우면 161만 개로 축소 가능
경제산업성 '4차 산업혁명의 고용영향' 분석 첫 정부보고서
(서울=연합뉴스) 이해영 기자 = 인공지능(AI)과 로봇 등의 기술혁신에 적절히 대처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면 2030년까지 일본 국내 고용이 735만 명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일본 전체 노동력 인구(2015년 평균)의 10% 이상에 해당하는 것이다.
반면 구조개혁과 혁신을 추진해 새로운 고용을 창출하고 규제와 교육개혁 등 산업간 칸막이를 뛰어넘는 기업제휴 등을 추진하면 고용감소를 161만명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됐다.
28일 아사히(朝日),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경제산업성은 AI와 빅 데이터 등이 초래할 '제4차 산업혁명'이 고용에 미칠 영향을 예측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일본 정부가 AI와 로봇 등 기술혁신이 고용구조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작성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제산업성은 직업을 9종류로 나눠 15년 후 각 직업별 종사자수 변화를 '현상 방치'했을 경우와 '혁신'으로 대처할 경우 등 2개의 시나리오로 구분해 분석했다.
매장의 캐셔나 공장 생산라인 종업원 같은 직업은 AI나 로봇으로 대체되기 때문에 저임금인 일부 업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고용이 줄어든다. 이들 업종은 '현상 방치'나 '혁신' 시나리오 모두에서 60만 명 이상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개발 등 부가가치가 높은 분야도 '현상 방치' 시나리오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서 앞선 외국 기업에 일자리를 뺏길 가능성이 높다.
반면 인재육성에 공을 들이고 노동력을 성장분야로 옮기는 등 '혁신' 시나리오에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업 등이 성장해 고용감소를 보완할 고소득 업무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예를 들어 고도의 컨설팅을 수반하는 영업·판매직은 변혁 시나리오에서 15년 후인 2030년까지 114만 명 증가한다. 고객수요 심층 분석이나 새로운 서비스가 생겨나기 때문에 데이터 분석 등의 기술을 가진 인력이 점점 더 필요해 진다는 것이다. 반대로 현상을 방치하면 새로운 고객 서비스 창출이 이뤄지지 않아 종사자 수가 62만 명 줄어든다.
경제산업성은 "혁신을 한다는 결의를 갖고 대처하지 않으면 점차 가난해질 것"이라며 업계에 지금까지의 연장 선상이 아닌 말 그대로 혁신을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다음은 직업별 전망. (현상 방치/혁신)
▲상류 공정(경영전략, 연구개발) 136만 명↓/96만 명↑
▲생산·조달(생산직, 조달관리) 262만 명↓/297만 명↓
▲대체가 어려운 영업판매(고액 보험영업) 62만 명↓/114만 명↑
▲대체되기 쉬운 영업판매(정형 보험판매, 매장 캐셔) 62만 명↓/68만 명↓
▲대체가 어려운 서비스(고급점포의 접객, 자잘한 간병) 6만 명↓/179만 명↑
▲대체되기 쉬운 서비스(콜센터, 은행창구업무) 23만 명↑/51만 명↓
▲IT(개발자, 보안) 3만 명↓/45만 명↑
▲지원업무(경리, 급여관리, 데이터 입력) 145만 명↓/143만 명↓
▲기타(건설현장 근로자) 82만 명↓/37만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