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터 일간 추천 베스트 |
놀이터 일간 조회 베스트 |

작성자: pCsOrI 조회 수: 406 PC모드
먼저 파일이 어떤 언어로 프로그래밍 되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ExeinfoPe를 사용하여 확인 가능합니다.
볼렌드 델파이 언어로 작성된 파일

비주얼 C++ 언어로 작성된 파일
기본적인 프로그램밍 언어에 대한 개략적인 지식이 필요합니다.(인터넷 검색을 사용하십시오)
또한, 파일 확장명을 알면 프로그램 다루기가 좀 더 쉬워집니다.
Resource Hacker 와 Sisulizer 4의 비교하기
이후 부터 사용되는 캡처 이미지는 Sisulizer.exe의 내용으로,
위의 Exeinfo로 확인했듯이 델파이 언어로 작성된 파일입니다.
단순 구조로 출력되므로 번역 및 수정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위의 화면은 대화 상자로 표시되는 내용이며,
리소스해커에서는 RCData에 나타납니다.
대화 상자의 크기는 수정하기 어려운 부분이기도 합니다.

리소스해커와 Sisulizer와 같은 항목의 좌표입니다.
리소스해커 보다는 작업하기가 쉬워졌습니다.
대화 상자로 표시되는 내용은 Forms에 나타납니다.
Sisulizer는 나만의 사전(용어집)을 만든 경우,
용어집을 사용하여 일괄 번역이 가능합니다.
용어집을 사용하여 일괄 번역이 가능한 프로그램:
Alchemy CATALYST: http://www.alchemysoftware.com
RC-WinTrans: http://www.schaudin.com/web/Home.aspx
SDL Passolo: http://www.translationzone.com/kr SDL Trados Studio
Sisulizer: https://www.sisulizer.com/
Lingobit Localizer: http://www.lingobit.com/
Multilizer: http://www2.multilizer.com/
Radialix:
이상이 프로그램의 간단한 비교 설명입니다.
이것으로 준비 과정을 마칩니다.
* 강좌 내용은 사전에 작성한 것이 아니라 오매에 접속할 때마다,
짬짬이 작성하므로 진도는 매우 느리며, 수정 내용이 있을 수도 있으며, 초보 사용자를 대상으로합니다.
경험있는 사용자의 댓글이 필요합니다. 참여해 주십시오.
자료만 받아갈줄 아는 회원님들께, 개발자님들에게 최소한의 경우는 우리가 피드백으로 보답하는 겁니다
문제가 있던 없던 그동안 고생하신 것을 생각하여 피드백 작성을 부탁 드립니다해보시면 그리 어렵지는 안을실겁니다 저도 예전에 다른 모사이트에서 한글화 작업 강좌보고 따라해본적 있는데 설명해주신 프로그램들 환경이 다 비슷비슷 합니다 어려운점이 있다면 패킹푸는것과 길이제한 있을때 폰트 글자 맞추는거 이런거하고 번역했을때 그 단어가 맞게 번역된건지 그게 해결하는게 가장어렵더라구요 이강좌 해주신 분이 한글화 고수 인걸루 압니다 자주 봤던 닉네임이라서요 ㅎㅎㅎ
알기 쉽게 강의 해주셔서 머리에 팍팍 들어오네요
다음 강의로 고고~~~